각종 통계로 본 한국사회의 빈익빈부익부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득 : 소득의 빈익빈 부익부 심화

2. 노동 : 비정규직 노동의 확산과 임금 양극화

3. 소비 : 상위 1%계층이 전체 소비량의 25%를 소비

4. 주택 : 전월세값 폭등으로 노동자·서민 주거비 부담 늘어나다.

5. 교육 : 노동자·서민은 가난을 대물림 한다.

본문내용

4세 실업률도 9.7%로 전체 실업률의 약 3배나 되어 OECD회원국 평균(1.8배)에 비해서도 높은 편이다.(「최근 노동시장의 행태변화와 체감실업률」,삼성경제연구소, 2001. 12)
<표6> 우리나라의 청년실업 추이
<표7> 주요국의 실업률 추이(2000년)
3. 소비 : 상위 1%계층이 전체 소비량의 25%를 소비
소득계층 상위 10%의 주택소유비율 하위 10%의 2배
통계청 2001년 3/4분기 도시가계조사 에 따르면 상위 10%의 주택소유 가구 비율은 82.1%인 데 비해 하위 10%는 40.5%로 약 2배를 나타내고 있다.
<표8> 소득계층별 주택소유가구 비율
98년
2000년
2001년 3/4분기
상위 10%
79
83
82
하위 10%
37
38
41
자료 : 통계청, 도시가계조사, 각 연도
<표9> 소득계층별 각종 생활수준 비교
자동차 보유(%)
교양오락비
교통통신비
상위 10%
88.6%(약4배)
22만2천원(7배)
59만6천원(4배)
하위 10%
23.5%
3만3천원
13만2천원
자료 : 통계청, 도시가계조사, 2001(3/4분기까지)
4. 주택 : 전월세값 폭등으로 노동자·서민 주거비 부담 늘어나다.
<표10> 2001년도 주택 평균 매매가격 증가율(세계일보, 2002.1.14)
강남지역
강북지역
17.5%
7.7%
<표11> 소득계층별 소득대비 주거비 부담율
2000.11
2001.8
소득상위 20% 이상
19.4%
18.4%
소득하위 30% 이상
28.2%
35.9%
자료 : 국토연구원, 2002.1
5. 교육 : 노동자·서민은 가난을 대물림 한다.
우리나라 사교육비 부담은 소득계층 상위 10%가 하위 10%의 8배 이상 지출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노동자·도시서민은 가난을 대물림하고 있으며, OECD 평균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표12> 고소득계층의 사교육비 지출규모
97년
99년
2000년
2001년(3/4까지)
소득상위10%
/소득하위10%
4.3배
5.1배
6.4배
8배
<그림4> GDP 대비 사교육비 비중 국제비교(1998년 기준)
실제로 지난해 서울대학교 신입생 중 아버지 직업이 기업체·사회단체 간부·고급공무원이거나 의사·교수·법조인 등 고소득 계층인 경우가 53%를 차지하고 있다.
<표13> 인터넷 이용에서도 빈부격차
컴퓨터 보급율
인터넷 이용율
연봉 3천만 이상
95%
67%
연봉 1천만 이하
36%
9%
자료 : 삼성경제연구원. 2001.8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6.02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