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의 인간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방법론의 기초 개념
3. `자유로운 인간`의 탄생
4. 근대세계의 통찰로서의 합리성
5. 결론

본문내용

면적인 가치를 가지고 추구하는 인간이다.
따라서 합리화된 자본주의의 피할 수 없는 운명이 맑스에게는 인류의 前史이며 맑스가 진정한 역사가 시작된다고 한 지점에서 베버는 무책임한 신념윤리의 시작을 보았다는 데 양자간의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다.
5.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베버의 인간론이 그의 방법론과 시대 진단에서 어떻게 드러나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론의 기초 개념들을 통해 통일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제된 인간론을 규명, 정의했으며, 인간론이 구성될 수 있었던 사회적 배경과 그 의미도 찾아보았다.
베버에게 있어서 인간은 삶이 따라야 하는 이성적 인간이며, 그는 문화의의를 지는 문화적 존재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맑스와의 비교를 통해 베버의 인간론이 합리화된 근대사회를 예 속의 틀을 벗고 영웅이 될 수 있는 자유의 장으로 인식함으로써 맑스와의 본질적인 차이를 만든 원리임을 드러냄으로써 인간론이 그의 분석의 주요한 근원적인 원리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베버의 인간론에 대한 분석은 더 나아가 서구 합리화의 비가역성과 막스 베버의 숙명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Johannes Weiss는 개인의 자유에도 불구하고 베버가 숙명주의에 빠지게 된 원인에 대해 칸트의 '예언적 역사'를 통한 해석을 시도했다. 칸트는 우리가 역사의 미래 과정에 대해 말할 때, 그 과정을 모양짓기를 바라고, 또한 바랄 수밖에 없는 정도로만 말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역사적 발전이라는 것은 지금, 그리고 미래에 살아 있고, 살아 있을 안건들의 의도를 따라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비가역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역사가 되돌려질 수 없는 것은 지식이 주어져 있는 상황에서 또 다른 확신을 주거나 실제로 실현될 많나 대체물이 없기 때문에, 인간들이 이에 기반한 그들의 이념과 이해에 비추어 볼 때 발전과정이 역전 될 것을 바라지도 않고, 바랄 수도 없기 때문인 것이다.
Weiss의 이러한 역사적 해석을 통해 베버의 서구 합리성에 대한 숙명주의를 분석한다면, 우리는 가치 이념에 관해 더욱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면, 사회적 행위자들의 궁극적인 가치에 대해 더욱 정교한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임영일 외 편역, "막스 베버 선집" 중 사회과학적 및 사회정책적 인식의 "객관성", 까치, 1994.
2. 칼 뢰비트, "베버와 마르크스", 문예, 1992.
3. Deiter Henrich, "막스 베버의 과학 방법론", 이삭신서,1983.
4. Scott Lash and Sam Whimster, Max Weber, Rationality and Modernity, Allen and Unwin, 1987.
5. 이기홍, "맑스의 역사적 유물론의 과학적 방법과 구조에 관한 일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보조문헌>
1. 안소니 기든스, "사회이론의 주요쟁점", 문예, 1993.
2. 프리드리히 텐부룩, "막스 베버의 사회과학 방법론", 문예, 1993.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6.0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