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연 발생성
2. Oparin의 `생명의 기원설`
3. Lamarck:획득 형질의 유전`,`용불용설`
4. 다윈의 `자연 선택설`
2. Oparin의 `생명의 기원설`
3. Lamarck:획득 형질의 유전`,`용불용설`
4. 다윈의 `자연 선택설`
본문내용
론의 입장에선 화석발굴의 불충분성을 이유로 들고 있다. 그러나 기린만이 아니라 모든 생물에 대해 중간형의 화석이 출현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무엇을 증명하는가! 이러한 다윈론의 약점을 바이러스 진화설에선 간단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기린은 목이 길어지는 괴이한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걸렸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한 얼토당토않은 생각들이 최근의 '점프하는 유전자'와 '트랜스포존' 이라는 유전자 조각의 발견으로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점프 유전자와 트랜스포존 모두 바이러스처럼 유전자 사이를 건너 다닐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러나 이처럼 종간의 수평적인 유전정보의 교환이 일어난다고 해도 그것이 종을 뛰어넘는 변화를 야기한다는 것은 지나친 도약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바이러스나 여러 도구에 의해 전달된 유전자는 거의가 올바른 유전자가 아닌 파괴된 유전자임이 밝혀져 있다. 바이러스에 의해 생물에 유리한 변화를 가져온 예가 지금까지 단 한번도 없었다. 거의가 생명체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거나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것을 진화론에 도입하는 것은 잘못된 이론을 설명하기위한 그들의 억지일 수 밖에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고전파 합리성 비판 : 진화론적 제도이론의 관점에서
복잡성의 이론 : 새로운 진화론적 패러다임
기독교창조 진화론과 과학
한시 작가 진화론
과학과 종교(창조론과 진화론)
[독후감, 비평문] 진화론자 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 평가문, 독후감
한국근현대 경제의 전개과정에서 사회진화론적 발전원리를 비판적 고찰
2강_ 행동의 생물학적, 진화론적 바탕(3장)
이기적 유전자와 진화론
[독후감] 웹 진화론1 _ 우메다 모치오(梅田望夫) 저
[정서이론] Plutchik의 심리진화론적 이론(Plutchik의 정서이론)
스토리텔링 진화론
장애를 보는 이론적 관점(사회진화론과 우생학, 낙인과 편견이론, 재활이론, 정상화이론)
테마도시의 7단계 진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