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야 한다.'
. 평가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의 평가
. 평가의 유용성, 실용성, 윤리, 기술적 적합성에 대한 서술적 및 판단적 정보를 수집·제공·활 용하는 과정
① 수행 평가 ② 메타 평가 ③ 형성 평가 ④ 총합 평가
57. 학교 운영 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당해 학교의 교원 대표·학부모 대표 및 지역 인사로 구성한다.
② 학교 운영 위원회는 심의 기구이며, 학교 발전 기금을 조성할 수 있다.
③ 국·공립 및 사립의 초·중·고등 학교는 의무적으로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④ 학교 운영의 자주성을 높이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제도이다.
58. 제7차 교육 과정의 성격을 바르게 말한 것만 고른 것은?
㉠ 교육청과 학교, 교원이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 과정이다.
㉡ 학교 교육 체제를 교과서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 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 과정이다.
㉣ 교육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 과정이다.
㉤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 과정이다.
① ㉠ ㉡ ② ㉡ ㉣ ③ ㉢ ㉣ ④ ㉢ ㉤
59. 다음 보기는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일정 규모의 단위 학교가 그에 상응한 표준적인 교육 여건을 확보한 상태에서 교육 과정이 제 시하는 정상적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건비나 관리 운영비 등의 최저 소요 경비이다.
·인건비와 운영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운영비는 다시 교수 활동(교과 활동비, 특별 활동비)와 공통 운영비(여비, 전기.수도 사용료, 일반 용품비, 연료비, 시설.장비 유지비, 재료 구입비 등) 등 으로 구성된다.
① 표준 교육비 ② 공교육비
③ 교육 기회 경비 ④ 최저 수준 교육비
60. 교원 노동 조합에 관한 규정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은?
① 교원은 임용권자의 허가를 얻어 노동 조합의 업무에만 종사할 수 있다.
② 교원의 노동 조합은 일체의 정치 활동은 금지되지만 쟁의 행위는 할 수 있다.
③ 교원은 시·도 단위 또는 전국 단위에 한하여 노동 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④ 노동 조합의 대표자는 조합원의 임금, 근무 조건, 후생 복지 등 경제적 사회적 지위 향상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교육부 장관, 교육감, 사립 학교 설립 경영자와 교섭하고 단체 협약을 체결할 권 한을 가진다.
<2. 바로 잡기> ③ 중학교 - 통일의 필요성 인식, 통일 국가의 번영을 위한 자세
'통일 이후의 삶에 대비하는 자세'는 고등 학교의 목표이다.
<4.해설> ② 환경으로부터의 교육 : 환경을 교육을 위한 매체로 이용하고 있으며, 생태 중심적 환 경주의와 관련된 유토피아적 입장이다.
③ 환경을 위한 교육 : 환경 복지를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9.해설> ① ④는 제도적 권위, ②는 기술적 권위이다.
<10.해설> ② 지식의 형식은 선험적 연역의 방식으로 정당성이 입증된다.
④ 지식의 형식은 독립된 것이고 어느 형식으로 대체할 수 없다.
<17.해설> 지능의 종류(9) : 언어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음악적 지능, 운동 감각 지능, 대인 관계 지능, 개인내 지능, 자연 관찰 지능, 실존 지능
<19.해설>
뇌의 좌반구
뇌의 우반구
1
언어적 지시나 설명에 잘 반응한다.
그림에 의한 설명에 잘 반응한다.
2
청각적 자극에 잘 반응한다.
동작에 잘 반응한다.
3
말하고 쓰는 것을 좋아한다.
그림 그리기, 물건 조작을 좋아한다.
4
은유나 유추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은유나 유추를 사용한다.
5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주관적으로 판단한다.
6
선다형 검사를 좋아한다.
자유 논술형 검사를 좋아한다.
7
감정을 통제한다.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한다.
8
구체적으로 계획된 연구나 일을 좋아한다.
구체적으로 계획되지 않는 일을 좋아한다.
9
내용을 부분으로 나누고,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를 좋아한다.
문제 해결을 전체적으로 주관적인 생각으로 해결하기를 좋아한다.
<21.해설> ②는 비고츠키의 견해이고, ③은 행동주의자(Skinner, Watson, Thorndike)의 주장이다.
<25.해설>·내용적 목표는 목표의 초점을 지식 그 자체에 두는 것, 즉 유용한 지식의 획득을 의미한다.
·과정적 목표는 지식의 획득 과정에 초점을 둔다. 즉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과 획득하는 방 법을 익히는 것을 의미한다. 발견 학습에서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과 같은 의미이다.
<26.해설> 성취 과제 분담 모형(STAD; student team achievement division)은 집단 보상, 개별적, 성취 결과의 균등 분배의 협동 전략을 쓴다.
<45.도우미> 실제성 : 문제 중심 학습에서는 학생들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가지고 시작한다. 학생들에게 세부적이고 아주 구체적인 맥락의 문제가 주어지면 주제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가설을 설정하고, 자료를 찾고, 경험하고, 해결안을 개발하고, 문제 해결 과정의 효과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는 실제 상황의 문제를 해결할 때 반영이 된다.
<46.도우미> 비구조적 문제를 통한 문제 중심 학습은 전략적 사고를 길러준다.
<46.보충> 구조적 문제의 특징
① 문제의 정의가 쉽게 규명된다.
②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제공된다.
③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다.
④ 단 하나의 정답만이 확인될 수 있다.
⑤ 문제 해결에 대한 동기가 낮다.
<제5회 교육학 모의 고사 정답>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정답
3
3
4
1
3
3
4
4
3
3
1
1
4
5
3
3
4
4
4
1
번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정답
1
2
3
3
4
2
1
3
4
3
3
1
2
4
3
1
4
1
2
1
번호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정답
1
1
4
2
1
5
1
3
4
2
2
2
1
2
4
2
2
4
1
2
. 평가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의 평가
. 평가의 유용성, 실용성, 윤리, 기술적 적합성에 대한 서술적 및 판단적 정보를 수집·제공·활 용하는 과정
① 수행 평가 ② 메타 평가 ③ 형성 평가 ④ 총합 평가
57. 학교 운영 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당해 학교의 교원 대표·학부모 대표 및 지역 인사로 구성한다.
② 학교 운영 위원회는 심의 기구이며, 학교 발전 기금을 조성할 수 있다.
③ 국·공립 및 사립의 초·중·고등 학교는 의무적으로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④ 학교 운영의 자주성을 높이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제도이다.
58. 제7차 교육 과정의 성격을 바르게 말한 것만 고른 것은?
㉠ 교육청과 학교, 교원이 함께 실현해 가는 교육 과정이다.
㉡ 학교 교육 체제를 교과서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교육 과정이다.
㉢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 과정이다.
㉣ 교육 결과의 질적 수준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교육 과정이다.
㉤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 과정이다.
① ㉠ ㉡ ② ㉡ ㉣ ③ ㉢ ㉣ ④ ㉢ ㉤
59. 다음 보기는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일정 규모의 단위 학교가 그에 상응한 표준적인 교육 여건을 확보한 상태에서 교육 과정이 제 시하는 정상적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건비나 관리 운영비 등의 최저 소요 경비이다.
·인건비와 운영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운영비는 다시 교수 활동(교과 활동비, 특별 활동비)와 공통 운영비(여비, 전기.수도 사용료, 일반 용품비, 연료비, 시설.장비 유지비, 재료 구입비 등) 등 으로 구성된다.
① 표준 교육비 ② 공교육비
③ 교육 기회 경비 ④ 최저 수준 교육비
60. 교원 노동 조합에 관한 규정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은?
① 교원은 임용권자의 허가를 얻어 노동 조합의 업무에만 종사할 수 있다.
② 교원의 노동 조합은 일체의 정치 활동은 금지되지만 쟁의 행위는 할 수 있다.
③ 교원은 시·도 단위 또는 전국 단위에 한하여 노동 조합을 설립할 수 있다.
④ 노동 조합의 대표자는 조합원의 임금, 근무 조건, 후생 복지 등 경제적 사회적 지위 향상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교육부 장관, 교육감, 사립 학교 설립 경영자와 교섭하고 단체 협약을 체결할 권 한을 가진다.
<2. 바로 잡기> ③ 중학교 - 통일의 필요성 인식, 통일 국가의 번영을 위한 자세
'통일 이후의 삶에 대비하는 자세'는 고등 학교의 목표이다.
<4.해설> ② 환경으로부터의 교육 : 환경을 교육을 위한 매체로 이용하고 있으며, 생태 중심적 환 경주의와 관련된 유토피아적 입장이다.
③ 환경을 위한 교육 : 환경 복지를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9.해설> ① ④는 제도적 권위, ②는 기술적 권위이다.
<10.해설> ② 지식의 형식은 선험적 연역의 방식으로 정당성이 입증된다.
④ 지식의 형식은 독립된 것이고 어느 형식으로 대체할 수 없다.
<17.해설> 지능의 종류(9) : 언어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음악적 지능, 운동 감각 지능, 대인 관계 지능, 개인내 지능, 자연 관찰 지능, 실존 지능
<19.해설>
뇌의 좌반구
뇌의 우반구
1
언어적 지시나 설명에 잘 반응한다.
그림에 의한 설명에 잘 반응한다.
2
청각적 자극에 잘 반응한다.
동작에 잘 반응한다.
3
말하고 쓰는 것을 좋아한다.
그림 그리기, 물건 조작을 좋아한다.
4
은유나 유추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은유나 유추를 사용한다.
5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주관적으로 판단한다.
6
선다형 검사를 좋아한다.
자유 논술형 검사를 좋아한다.
7
감정을 통제한다.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한다.
8
구체적으로 계획된 연구나 일을 좋아한다.
구체적으로 계획되지 않는 일을 좋아한다.
9
내용을 부분으로 나누고,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를 좋아한다.
문제 해결을 전체적으로 주관적인 생각으로 해결하기를 좋아한다.
<21.해설> ②는 비고츠키의 견해이고, ③은 행동주의자(Skinner, Watson, Thorndike)의 주장이다.
<25.해설>·내용적 목표는 목표의 초점을 지식 그 자체에 두는 것, 즉 유용한 지식의 획득을 의미한다.
·과정적 목표는 지식의 획득 과정에 초점을 둔다. 즉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과 획득하는 방 법을 익히는 것을 의미한다. 발견 학습에서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과 같은 의미이다.
<26.해설> 성취 과제 분담 모형(STAD; student team achievement division)은 집단 보상, 개별적, 성취 결과의 균등 분배의 협동 전략을 쓴다.
<45.도우미> 실제성 : 문제 중심 학습에서는 학생들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가지고 시작한다. 학생들에게 세부적이고 아주 구체적인 맥락의 문제가 주어지면 주제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가설을 설정하고, 자료를 찾고, 경험하고, 해결안을 개발하고, 문제 해결 과정의 효과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는 실제 상황의 문제를 해결할 때 반영이 된다.
<46.도우미> 비구조적 문제를 통한 문제 중심 학습은 전략적 사고를 길러준다.
<46.보충> 구조적 문제의 특징
① 문제의 정의가 쉽게 규명된다.
②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제공된다.
③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다.
④ 단 하나의 정답만이 확인될 수 있다.
⑤ 문제 해결에 대한 동기가 낮다.
<제5회 교육학 모의 고사 정답>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정답
3
3
4
1
3
3
4
4
3
3
1
1
4
5
3
3
4
4
4
1
번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정답
1
2
3
3
4
2
1
3
4
3
3
1
2
4
3
1
4
1
2
1
번호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정답
1
1
4
2
1
5
1
3
4
2
2
2
1
2
4
2
2
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