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정보화 추세
2. 인터넷과 민주주의
3. 인터넷과 선거운동
4. 국회의원 인터넷 홈페이지 비교
5. 결론
2. 인터넷과 민주주의
3. 인터넷과 선거운동
4. 국회의원 인터넷 홈페이지 비교
5. 결론
본문내용
위원회와의 링크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입법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의회도서관의 정보DB인 Thomas와 링
<표 7> 한국 국회의원의 홈페이지 특징: 링크
(단위: %)
한국 국회의원
한국 국회의원
링크: 국회 홈페이지
63.6
링크: 언론기관
45.5
링크: 국회 상임위원회
10.9
링크: 검색엔진
41.8
링크: 소속정당 홈페이지
49.1
링크: 동료의원 홈페이지
12.7
링크: 국회의원들의 연구모임
9.1
자유게시판
58.2
출처: 국회의원 홈페이지.
크되어 있는 홈페이지는 하원의원의 70%, 상원의원의 48%이다. 앞으로 우리 나라 국회의원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관련 있는 다른 웹사이트로 보다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서비스가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우리 나라 국회의원들의 홈페이지 중에서, 홈페이지 방문자수가 표시되는 경우는 49.1%이고, 홈페이지에 수록된 자료가 정기적으로 수정·보완되는 홈페이지는 30.9%에 불과하다.
아직 우리 나라 국회의원들의 인터넷에 대한 관심과 활용은 미흡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홈페이지의 비율도 미국보다 적으며, 그 유용성도 아직은 낮은 상태이다. 하지만 컴퓨터 보급률과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추세를 볼 때, 국회의원들도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5. 결론
최근 세계 각국은 정보화의 흐름에서 뒤지지 않기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나라도 1996년 발효된 「정보화촉진기본법」을 기초로 하여, 국가사회정보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제 다가오는 세기에는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사이버공간이 중요한 정치의 장(場)으로 등장할 것이다. 이미 지난 90년대 후반이후 목격되는 여러 현상들은 이러한 조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인터넷은 국민간, 국민과 정부간 쌍방향적·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정보의 공유와 유통을 보다 자유롭게 만들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매체이며, 또한 인터넷의 이용은 선거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는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미국과 한국 국회의원의 홈페이지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인터넷은 민주주의를 신장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는 막강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정보통신관련 기술은 보다 진보하고 가격은 더욱 저렴해질 것이며, 이용자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제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정치적 무관심과 불신을 해소하고 정치발전과 민주주의 신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정치인과 국민 모두가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유진, PC통신, 인터네트와 한국의 전자민주주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제31집 1호(한국정치학회, 1997), pp. 141-164.
정윤무, 『미디어정치론』, 서울: 정우당, 1995.
한국전산원, 『1998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 한국전산원, 1998..
한국전산원, 『97 국가정보화백서』, 서울: 한국전산원, 1997.
Berghel, Hal, Digital Politics, Communications of the ACM, 39-10 (Oct., 1996), pp. 19-25.
Berman, Jeffrey and Weitzner, Daniel J., Technology and democracy, Social Research, 64-3(Fall, 1997), pp1313-1319.
Bimber, Bruce, The Internet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Populism, Community, and Accelerated Pluralism, Polity, 31-1 (Fall, 1998), pp. 133-60.
Dulio, David A., Goff, Donald L., and Thurber, James A., Untangles Web: Internet use during the 1998 election, PS: Political Science & Politics, 32-1 (march, 1999), pp. 53-59.
Faucheux, Ron, How campaigns are using the Internet: an exclusive nationwide survey, Campaigns & Elections, 19-9 (Sept., 1998), pp. 22-25.
Johnson, Dan, Politics in cyberspace, The Futurist, 33 (Jan., 1991), p. 14.
Noble, Phil, International cyberspacing, Campaigns & Elections, 17-7 (July, 1996), p.29.
Owen, Diana, Davis, Richard, and Strickler, Vincent James, Congress and the Internet,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4-2 (Spring, 1999), pp. 10-29.
Porter David, ed., Internet Culture, New York: Routledge, 1997.
Poster, Mark, The Second Media Age, Cambridge: Polity Press, 1995.
Putnam, Robert,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93.
VALS, Exploring the World Wide Web population's other half, 1996..
Western, Tracy, Can Technology Save Democracy?, National Civic Review, 8-1 (Spring, 1998), pp. 47-56.
<표 7> 한국 국회의원의 홈페이지 특징: 링크
(단위: %)
한국 국회의원
한국 국회의원
링크: 국회 홈페이지
63.6
링크: 언론기관
45.5
링크: 국회 상임위원회
10.9
링크: 검색엔진
41.8
링크: 소속정당 홈페이지
49.1
링크: 동료의원 홈페이지
12.7
링크: 국회의원들의 연구모임
9.1
자유게시판
58.2
출처: 국회의원 홈페이지.
크되어 있는 홈페이지는 하원의원의 70%, 상원의원의 48%이다. 앞으로 우리 나라 국회의원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관련 있는 다른 웹사이트로 보다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서비스가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우리 나라 국회의원들의 홈페이지 중에서, 홈페이지 방문자수가 표시되는 경우는 49.1%이고, 홈페이지에 수록된 자료가 정기적으로 수정·보완되는 홈페이지는 30.9%에 불과하다.
아직 우리 나라 국회의원들의 인터넷에 대한 관심과 활용은 미흡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홈페이지의 비율도 미국보다 적으며, 그 유용성도 아직은 낮은 상태이다. 하지만 컴퓨터 보급률과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추세를 볼 때, 국회의원들도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5. 결론
최근 세계 각국은 정보화의 흐름에서 뒤지지 않기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나라도 1996년 발효된 「정보화촉진기본법」을 기초로 하여, 국가사회정보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제 다가오는 세기에는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사이버공간이 중요한 정치의 장(場)으로 등장할 것이다. 이미 지난 90년대 후반이후 목격되는 여러 현상들은 이러한 조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인터넷은 국민간, 국민과 정부간 쌍방향적·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정보의 공유와 유통을 보다 자유롭게 만들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매체이며, 또한 인터넷의 이용은 선거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는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미국과 한국 국회의원의 홈페이지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인터넷은 민주주의를 신장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는 막강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정보통신관련 기술은 보다 진보하고 가격은 더욱 저렴해질 것이며, 이용자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제 인터넷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정치적 무관심과 불신을 해소하고 정치발전과 민주주의 신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정치인과 국민 모두가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유진, PC통신, 인터네트와 한국의 전자민주주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제31집 1호(한국정치학회, 1997), pp. 141-164.
정윤무, 『미디어정치론』, 서울: 정우당, 1995.
한국전산원, 『1998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 한국전산원, 1998.
한국전산원, 『97 국가정보화백서』, 서울: 한국전산원, 1997.
Berghel, Hal, Digital Politics, Communications of the ACM, 39-10 (Oct., 1996), pp. 19-25.
Berman, Jeffrey and Weitzner, Daniel J., Technology and democracy, Social Research, 64-3(Fall, 1997), pp1313-1319.
Bimber, Bruce, The Internet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Populism, Community, and Accelerated Pluralism, Polity, 31-1 (Fall, 1998), pp. 133-60.
Dulio, David A., Goff, Donald L., and Thurber, James A., Untangles Web: Internet use during the 1998 election, PS: Political Science & Politics, 32-1 (march, 1999), pp. 53-59.
Faucheux, Ron, How campaigns are using the Internet: an exclusive nationwide survey, Campaigns & Elections, 19-9 (Sept., 1998), pp. 22-25.
Johnson, Dan, Politics in cyberspace, The Futurist, 33 (Jan., 1991), p. 14.
Noble, Phil, International cyberspacing, Campaigns & Elections, 17-7 (July, 1996), p.29.
Owen, Diana, Davis, Richard, and Strickler, Vincent James, Congress and the Internet,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4-2 (Spring, 1999), pp. 10-29.
Porter David, ed., Internet Culture, New York: Routledge, 1997.
Poster, Mark, The Second Media Age, Cambridge: Polity Press, 1995.
Putnam, Robert,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93.
VALS, Exploring the World Wide Web population's other half, 1996.
Western, Tracy, Can Technology Save Democracy?, National Civic Review, 8-1 (Spring, 1998), pp. 47-56.
추천자료
정보화시대 전자정치의 문제점
[인터넷][네티켓][넷티켓][사이버윤리][정보통신윤리]인터넷상에서의 네티켓과 사이버윤리 및...
[칠레][칠레문화][칠레의 문화][칠레의 경제][칠레의 사회][칠레의 정치]칠레의 정치, 칠레의...
[사회변화][인터넷][정보사회][지식경영][경영자리더십]사회변화와 인터넷, 사회변화와 정보...
정보사회의 정치현상
정보사회에서의 정치
시민권(시민의 권리)의 개념, 분류, 시민권(시민의 권리)의 범주와 역할, 형성, 시민권(시민...
[사이버인권]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의 개인정보, 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의 정체성, 사이...
[계급][계급균열][계급정치][계급양극화][조선시대계급]계급의 정의, 계급과 계급균열, 계급...
미국 교육정보화의 정부역할, 미국 교육정보화의 인재양성, 미국 교육정보화의 인터넷 교육자...
[정보자원][정보자원관리][정보자원평가][공공부문정보자원][인터넷정보자원][미국정보자원][...
세계의정치와경제2공통) 1.신자유주의의의 확산이 나의 삶과 사람들 일상에 미친 영향 서술. ...
[스마트smart 시대의 문제점] 정보격차와 인터넷 중독의 현황, 정보격차와 인터넷 중독 문제...
[경영정보론] 사물인터넷의 정의와 활성화 및 시장에서의 현황, 사물인터넷의 강점과 약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