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서 이항로의 시대사상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민족주의 사상
2.사회. 경제 사상
3. 통상 인지론
4. 국가 방위 사상

본문내용

준비하였다. 프랑스가 강화도를 점령하고 공격하자 대원군은 당황하고 그에 양헌수는 프랑스를 공격하여 프랑스군이 도주하였다. 그리하여 조선군의 사기는 높아졌다.
이항로는 프랑스군의 침공에 대해 군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그 기본을 주전 전수설에 두었다. 이 상소로 의병을 불러모으고 각 지역에 의군을 규합하도록 하였다.
이항로의 상소의 전폭적인 지지로 현직에 오르지는 않았지만 서울에 머물면서 문인들을 독려하여 관군들을 돕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항로의 보국 양이 위정척사 정신과 군사적 대응 정책은 곧바로 대원군에게 정신적 후원과 정책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항로의 국방 사상이 무비 척양론과 양적 방어론은 당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대원군에게 영향을 주고 병인양요 직후 척화론을 작성 반포하여 척화비를 종로에 세우게 했다.
국가의 방위적 증강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각 급 무인의 선발과 훈련을 건의하였고 율곡의 10만 양병 설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외침에 대비한 무비도 중요하지만, 단결된 민심을 바탕으로 한 국민의 사기를 중요하게 여겼다. 이처럼 이항로는 상소를 올리면서 민심의 단합을 위하고 양적을 방어하기 위한 내수 외양의 국방의 근본임을 역설하였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6.24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