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항로 (李恒老)의 생애와 사상기반 (思想基盤)」,『관동사학 Vol.2』, 관동사학회, 1984.
권오영, 「김평묵의 척사론과 (斥邪論) 연명유소 (聯名儒疏)」,『한국학보 Vol.15』, 일지사, 1989.
김근호,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낙론(洛論)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朱子大全集箚疑輯補)』이 있다.
6) 이항로의 묘
벽계 남쪽 정보의 서산 손좌원. 양평군 서종면 논문리 535번지에 있으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5호 지정되어 있다 신도비의 비명 은 문인인 최익현이 썼다. 노문리산 69의 7번지에 위치한 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정척사 정신과 군사적 대응 정책은 곧바로 대원군에게 정신적 후원과 정책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항로의 국방 사상이 무비 척양론과 양적 방어론은 당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대원군에게 영향을 주고 병인양요 직후 척화론을 작성 반포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준비하였다. 프랑스가 강화도를 점령하고 공격하자 대원군은 당황하고 그에 양헌수는 프랑스를 공격하여 프랑스군이 도주하였다. 그리하여 조선군의 사기는 높아졌다.
이항로는 프랑스군의 침공에 대해 군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그 기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항로 계열 유생, 보수적 양반층
- 전통질서 유지와 외세침략 배척
- 유교사상 수호
- 일본 침략 규탄과 배일사상 고취
전개
- 통상반대(1860)척화주전론 통상수교 거부
지지
- 개항반대(1870)왜양일체론 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