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우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언더우드
□ 총 페이지수 : 8
□ 목 차:
1.소년시절
2. 선교사 지원
3. 한국 지망
4. 한국 부임
5. 고아원 설립과 결혼
6. 최초의 개종자와 새문안 교회의 설립
7. 북한 전도 여행
8. 선교 정책의 확립과 활동
9. 그리스도 신문 간행과 기독교 청년회 설립
10. 일제의 탄압속에서
11. 큰 별 땅에 떨어지다.

본문내용

질레트'총무가 중국으로 추방되어 떠나게 되고 이어 한국 Y.M.C.A.는 일본 Y.M.C.A.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당시 언더우드는 건강이 악화되어 요양차 미국으로 떠나게 되었다.
1911년 9월 '예수교 장로교 조선 총회'가 조직되고 총회장에 언더우드, 부회장에 길선주가 각각 선출되었다. 총회 창립을 기념하여 박태로, 사병순, 김영훈 세 사람을 선교사로 중국 산동성 래양현에 파견하였다. 또한 1915년 언더우드 선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충청도 영동에 초가집이나마 교회가 세워졌다.
선교사들에게 많은 제재가 가해졌지만 언더우드는 이에 개의치 않고 선교 사업을 추진해 나갔다. 1915년 3월 5일 미국 북장로교, 감리교, 캐나다장로교 등 각 선교부와의 연합으로 서울 종로에 있는 기독교 청년회 회관에서 60여명의 학생으로 '경신학교 대학부'라는 이름의 대학을 세우게 되었다. 총독부에서는 신규칙을 공포하면서 성경을 가르치거나 기도회를 가져서는 안된다고 하였으나 언더우드는 이전의 방식대로 성경도 가르치고 기도회도 열었다.
개교 당시 언더우드는 교장에 취임하였으나 아직 총독부로부터 학교 설립 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인이 고등교육을 받고 높은 지식을 갖는 것을 바라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는 대학령을 두지 않고 있었다. 그래서 전문학교령에 의해 연희 전문학교가 되었다. 연희 대학교와 지금의 연세 대학교의 전신이 된다.
연희 전문학교는 1918년 4월 '차원관(한국동란때 없어짐)'이란 목조 2층 건물을 지어 Y.M.C.A.에서 이곳으로 옮겼다.
11. 큰 별 땅에 떨어지다.
일본의 교육령에 의하면 교육 사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나 일본어를 익혀야 했다. 그런데 언더우드는 서울에 대학을 세우기는 했으나 일본어를 하지 못했던 것이므로 예순 가까이된 나이에도 불구하고 1916년 1월초 동경에 건너가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는 동시에 일본 기독교계 지도자들과도 교제를 넓혔다.
그러나 이런 강행군 속에서 그의 건강은 점점 악화되었다. 인천에서 배를 타고 한국을 등지고 미국으로 향했다. 슬프게도 한국을 보는 마지막 순간인지도 모르고 떠나야 했다. 미국에 돌아가자 한동안 건강이 회복되기도 하였으나 7,8월에 이르러 열이 나기 시작하면서 지탱하기 힘들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애틀랜틱 시로 옮겨 간호를 했으나 1916년 10월 12일 오후 3시가 조금 지나 한국에서 그렇게도 많은 일을 했던 큰 별이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그의 건강은 육체적인 병으로 크게 악화되었으나 고등교육 기관, 즉 연희 전문학교 설치 문제로 동교 선교사들과의 의견 마찰로 몹시나 고민을 하였던, 이른바 정신적인 것도 크게 작용하였다. 그는 운명할 때까지 한국을 매우 사랑하였다. 병상곁에 서기를 앉히고 한국과의 연락을 지켜보았다.
그의 죽음은 [뉴욕타임즈] 9월 16일자와 [뉴욕헤랄드] 9월 18일자에 실렸다. 그의 유해는 아버지와 형이 묻혀있는 '그로브 교회'소속 묘지에 안장되었다. 1927년 그가 최초로 세운 새문안 교회에 기념비를 세우고 다음해 4월 24일 연희 전문학교 교정에는 언더우드의 동상이 세워졌다. 그러나 일제 말기 일본인들이 구리로 되어 있는 이 동상을 갖고 대포알을 만든다, 총알을 만든다 하고 앗아간 바 있어 다시 해방 이후 1948년 10월 16일 두번째로 동상을 세웠다. 그러나 이 동상도 한국 동란이 발발하자 곧 공산군에 의해 파괴되었다.
한편 언더우드에게 내린 훈장을 살펴보면, 일찍이 1906년 고종 황제가 태극 훈장을 내려 그의 활동을 기린바 있고, 1963년 8월 15일 광복 18주년을 맞이하여 대한민국 정부에서 다시 대통령상을 내려 기렸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6.2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