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상스키의 기원
2.우리나라의 스상스키
3.수상스키를 타려면
4.대회
5.수상스키의 종류
6.장비설명
7.안전수칙 십계명
2.우리나라의 스상스키
3.수상스키를 타려면
4.대회
5.수상스키의 종류
6.장비설명
7.안전수칙 십계명
본문내용
동작을 배울 수 있게 이끌어 주는 장비
☞ 브라이들(Bridle)
손잡이에 연결된 Y자형의 견인줄 부분
☞ 캄보즈(Combopair)
한쌍의 레크레이션용 스키로 한쪽은 원스키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진다.
☞ 풀(Pull)
보트 후방에서 양옆으로 이동할 때 사용되는 기술로 몸을 비스듬히 기울여 스키각을 세우고 견인줄을 끌어 당긴다.
☞ 건식슈트(Dry Suit)
스키어가 따뜻하고 건조된 몸상태를 유지하도록 디자인된 비시즌용 특수복
☞ 스키날(Edge)
스키의 측면 날로 스키에 엣지를 준다고 하는 것은 스키의 한쪽 날을 물 속으로 기울여서 가속과 감속을 쉽게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한다.
☞ 손보호대(Hand Protecter)
플라스틱 또는 탄성고무로 된 고형물로 손잡이에 끼워서 견인줄이 스키어의 손가락에 감기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 인보드(Inboard)
엔진이 보트 안에 장착되어 있고 선체 밑바닥에서 추진축이 구동되는 동력선(Power Boat)
☞ 니보드(Knee Board)
무릎스키보드로 서핑보드와 비슷한 수상스키용 장비로 윗부분은 무릎 꿇고 타기 좋게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 옵저버(Observer)
스키어를 지켜보면서 드라이버를 도아주는 승무원
☞ 오픈경기(Open Division)
가장 기량이 높은 선수들이 참가하게 되는 경기부문으로 남자오픈, 여자오픈이 있다.
☞ 마주잡기 그립(Opposed Grip)
손잡이를 야구방망이를 잡듯이 마주잡는 방법
☞ 아웃보드(OutBoard)
선체 바깥쪽에 엔진이 장착되어 구동되는 보트로서 엔진은 보통 선미를 가로질러 놓은 가로대(Transom)에 장착된다.
☞ 오버핸드 그립(Overhand Grip)
양 손가락 마디로 손잡이 끝을 잡는 방법
☞ PFD(Personal Flotation Device)
구명복, 인명보호복
☞ 피치(Pitch)
추진기 날의 각도
☞ 플레인(Plane)
스키밑면을 수면에 착 붙여서 타는 방법
☞ 견인봉(Pylon)
견인줄이 부착될 수 있게 보트내에 장착된 지주봉 혹은 삼각대
☞ 피라미드(Pyramid)
일부 스키어가 다른 스키어들의 어깨 위로 2,3층으로 겹겹이 쌓는 인간 탑쌓기 쇼
☞ 사이드슬라드(Sideslilde)
스키를 옆으로 타고가는 연기
☞ 스키어 신고동작(Skier's salute)
한쪽 스키를 벗기전에 물에서 들어 올리는 동작
☞ 슬라롬(Slalom)
원스키로 스키를 타면서 지그재그로 부이가 놓여진 슬라롬 코스를 질주하는 경기종목
☞ 도약(Spring)
선수가 보트에서 생긴 웨이크나 점프대를 지날 때 뛰어 오르는 동작
☞ 웨이크 테이블(Table)
웨이크 사이의 평평한 수역으로 스키어가 웨이크를 가로질러 갈 때 이곳을 지나간다.
☞ 플랫폼(Platform)
보트 뒤 가로대 아래로 낮게 놓인 발판으로 물에서 배로 올라올 때 사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 웨이크(Wake)
보트가 지나간 후에 남는 V자 모양으로 생기는 한쌍의 물자국
☞ 습식슈트(Wetsuit)
얇은 수막이 몸에 밀착되어 스키어의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주도록 만든 고무 보호복
☞ 브라이들(Bridle)
손잡이에 연결된 Y자형의 견인줄 부분
☞ 캄보즈(Combopair)
한쌍의 레크레이션용 스키로 한쪽은 원스키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진다.
☞ 풀(Pull)
보트 후방에서 양옆으로 이동할 때 사용되는 기술로 몸을 비스듬히 기울여 스키각을 세우고 견인줄을 끌어 당긴다.
☞ 건식슈트(Dry Suit)
스키어가 따뜻하고 건조된 몸상태를 유지하도록 디자인된 비시즌용 특수복
☞ 스키날(Edge)
스키의 측면 날로 스키에 엣지를 준다고 하는 것은 스키의 한쪽 날을 물 속으로 기울여서 가속과 감속을 쉽게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한다.
☞ 손보호대(Hand Protecter)
플라스틱 또는 탄성고무로 된 고형물로 손잡이에 끼워서 견인줄이 스키어의 손가락에 감기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 인보드(Inboard)
엔진이 보트 안에 장착되어 있고 선체 밑바닥에서 추진축이 구동되는 동력선(Power Boat)
☞ 니보드(Knee Board)
무릎스키보드로 서핑보드와 비슷한 수상스키용 장비로 윗부분은 무릎 꿇고 타기 좋게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 옵저버(Observer)
스키어를 지켜보면서 드라이버를 도아주는 승무원
☞ 오픈경기(Open Division)
가장 기량이 높은 선수들이 참가하게 되는 경기부문으로 남자오픈, 여자오픈이 있다.
☞ 마주잡기 그립(Opposed Grip)
손잡이를 야구방망이를 잡듯이 마주잡는 방법
☞ 아웃보드(OutBoard)
선체 바깥쪽에 엔진이 장착되어 구동되는 보트로서 엔진은 보통 선미를 가로질러 놓은 가로대(Transom)에 장착된다.
☞ 오버핸드 그립(Overhand Grip)
양 손가락 마디로 손잡이 끝을 잡는 방법
☞ PFD(Personal Flotation Device)
구명복, 인명보호복
☞ 피치(Pitch)
추진기 날의 각도
☞ 플레인(Plane)
스키밑면을 수면에 착 붙여서 타는 방법
☞ 견인봉(Pylon)
견인줄이 부착될 수 있게 보트내에 장착된 지주봉 혹은 삼각대
☞ 피라미드(Pyramid)
일부 스키어가 다른 스키어들의 어깨 위로 2,3층으로 겹겹이 쌓는 인간 탑쌓기 쇼
☞ 사이드슬라드(Sideslilde)
스키를 옆으로 타고가는 연기
☞ 스키어 신고동작(Skier's salute)
한쪽 스키를 벗기전에 물에서 들어 올리는 동작
☞ 슬라롬(Slalom)
원스키로 스키를 타면서 지그재그로 부이가 놓여진 슬라롬 코스를 질주하는 경기종목
☞ 도약(Spring)
선수가 보트에서 생긴 웨이크나 점프대를 지날 때 뛰어 오르는 동작
☞ 웨이크 테이블(Table)
웨이크 사이의 평평한 수역으로 스키어가 웨이크를 가로질러 갈 때 이곳을 지나간다.
☞ 플랫폼(Platform)
보트 뒤 가로대 아래로 낮게 놓인 발판으로 물에서 배로 올라올 때 사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 웨이크(Wake)
보트가 지나간 후에 남는 V자 모양으로 생기는 한쌍의 물자국
☞ 습식슈트(Wetsuit)
얇은 수막이 몸에 밀착되어 스키어의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주도록 만든 고무 보호복
추천자료
우리나라규제개혁의바람직한방향
팔당상수원-환경규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규제
공중파 방송 시간 규제 비판
[공기업민영화][공기업][민영화][공기업민영화정책][공기업개혁]공기업민영화의 정의, 공기업...
[방송통신융합][방송통신융합서비스][방송통신][방송환경][방송정책]방송통신융합의 의미, 방...
세이프가드와 조정정책 (Safeguards and Adjustment Policies)
인도의 무역정책 및 경제정책과 우리나라의 진출확대방안
[외주정책][외주제작]외주정책(외주제작)의 효과, 외주정책(외주제작)의 현황, 외주정책(외주...
정보통신산업정책 ; 정책 변화와 신제도주의
[수도권집중억제정책]수도권집중억제정책 유지와 수도권집중억제정책 폐기 찬반논의-수도권집...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정책
비관세장벽의 종류 중 하나를 사례로 들어 설명하고 그 결과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