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올림픽이란
2. 고대 올림픽의 기원
3. 고대 올림픽의 경기내용
4. 근대 올림픽
5. 올림픽 헌장
6. 올림픽의 시기와 기간
7. 성화와 선서
8. 올림픽 기
9. 아마추어리즘과 올림픽의 발전방향
2. 고대 올림픽의 기원
3. 고대 올림픽의 경기내용
4. 근대 올림픽
5. 올림픽 헌장
6. 올림픽의 시기와 기간
7. 성화와 선서
8. 올림픽 기
9. 아마추어리즘과 올림픽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말한다. 올림픽경기대회 기간 동안 경기장 내의 메인폴에 게양되며, 주경기장과 경기장 주변에 많은 참가국의 기와 함께 게양된다. 개회선언과 동시에 게양되었다가 폐회식 종료시에 내린다. 흰 바탕에 선을 두르지 않고 중앙에 오륜마크를 앉혔으며 좌측 상위 깃대 쪽에 청색이 오도록 단다.
처음으로 이 기가 피에르 쿠베르탱(Pierre Coubertin)에 의해서 언급된 것은 1913년 8월, IOC(Ineternational Olympic Committee:국제올림픽위원회) 잡지인 《올림픽 리뷰 Olympic Revue》의 기사에서였다.
올림픽마크와 마찬가지로 근대올림픽의 창시자인 쿠베르탱이 1914년 6월 파리의 소르본(파리)대학에서 열린 IOC 20주년 기념행사에서 첫선을 보였고, 이 자리에서 IOC의 공식기로 채택되었다.
그 이후에도 올림픽경기는 아니지만, 올림픽조직위원회를 대표하는 성격으로 1915년 3월 18일에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의 만국박람회장에서 공식적으로 올림픽기가 게양되었다. 그러나 1916년 올림픽 때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무산되어 이 기를 게양할 수가 없었다.
1914년 4월 3∼5일에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챗비운동장(Chatby Ground)에서 개최된 범이집트 경기에서 이 기가 선을 보였으며, 당시 이집트 IOC위원인 안젤로 볼라나키(Angelo Bolanaki)의 수중에 들어갔다가 나중에 그가 그리스로 이주한 뒤 1959년 IOC에게 되돌려주었다. 1920년 제7회 안트베르펜(Antwerpen) 대회 때부터 올림픽기는 개막식과 폐막식 행사의 한 부분이 되었으며, 올림픽 기간 동안 주경기장에 게양된다.
국경을 초월하는 것을 뜻하는 흰색 바탕에 위쪽 원은 왼쪽에서부터 파란색·검정색·빨간색이며, 아래의 원은 노란색과 초록색의 고리 5개가 서로 얽혀 있다. 5가지 색은 세계 여러 나라 국기에 대개 이 5가지 색이 들어 있어 세계의 결속이라는 의미에서 채택되었다. 동그란 고리 5개는 올림픽정신으로 하나가 된 유럽·아시아·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아메리카의 5개 대륙을 상징한다.
이 최초의 기는 1984년 올림픽경기 이후 마침내 사용을 마감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경기대회에서 새로운 올림픽기가 탄생하여 현재까지 사용해 오고 있다. 올림픽 폐막식에서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의 시장이 다음번 올림픽이 열릴 도시의 시장에게 이 기를 넘겨준다. 그리고 이양된 기는 다음 올림픽이 열릴 때까지 차기 개최도시의 시청에 보관된다.
☞ 아마추어리즘과 올림픽의 발전방안
아마추어리즘이란 스포츠를 금전적인 목적이 아닌 즐기기 위한 활동으로 생각하는 사고방식과 태도, 주장이다. 올림픽을 보면 처음에는 아마추어 선수위주로 선수를 선발하였는데 이제는 국가의 메달획득을 위해서 프로선수들이 주축을 이루는 종목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아마추어인들이 주축이 되던 올림픽이 이제는 상업적으로 물들어가기 시작했다. 올림픽에서는 국가의 명예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이 선수들간의 선의의 경쟁을 통한 기술의 습득이다. 우리는 올림픽을 기업의 마케팅수단으로 사용해 기업의 이윤창출을 이루어내는 것은 나쁘다고 할 수 없다. 다만 아마추어 중심인 올림픽에 프로선수들이 참여하는 것은 조금 지양해야 할 것이다. 올림픽이 프로선수들 없이 좋은 경기를 펼쳐야 그러기에는 아마추어 선수들의 기량이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올림픽에 출전하는 나라들은 아마추어 스포츠를 육성하고 프로 스포츠와 더불어 아마추어 스포츠에도 많은 투자와 지원이 요구된다. 그렇게 된다면 아마추어 스포츠도 경기력이 많이 양상되어 올림픽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것으로 생각된다.
처음으로 이 기가 피에르 쿠베르탱(Pierre Coubertin)에 의해서 언급된 것은 1913년 8월, IOC(Ineternational Olympic Committee:국제올림픽위원회) 잡지인 《올림픽 리뷰 Olympic Revue》의 기사에서였다.
올림픽마크와 마찬가지로 근대올림픽의 창시자인 쿠베르탱이 1914년 6월 파리의 소르본(파리)대학에서 열린 IOC 20주년 기념행사에서 첫선을 보였고, 이 자리에서 IOC의 공식기로 채택되었다.
그 이후에도 올림픽경기는 아니지만, 올림픽조직위원회를 대표하는 성격으로 1915년 3월 18일에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의 만국박람회장에서 공식적으로 올림픽기가 게양되었다. 그러나 1916년 올림픽 때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무산되어 이 기를 게양할 수가 없었다.
1914년 4월 3∼5일에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챗비운동장(Chatby Ground)에서 개최된 범이집트 경기에서 이 기가 선을 보였으며, 당시 이집트 IOC위원인 안젤로 볼라나키(Angelo Bolanaki)의 수중에 들어갔다가 나중에 그가 그리스로 이주한 뒤 1959년 IOC에게 되돌려주었다. 1920년 제7회 안트베르펜(Antwerpen) 대회 때부터 올림픽기는 개막식과 폐막식 행사의 한 부분이 되었으며, 올림픽 기간 동안 주경기장에 게양된다.
국경을 초월하는 것을 뜻하는 흰색 바탕에 위쪽 원은 왼쪽에서부터 파란색·검정색·빨간색이며, 아래의 원은 노란색과 초록색의 고리 5개가 서로 얽혀 있다. 5가지 색은 세계 여러 나라 국기에 대개 이 5가지 색이 들어 있어 세계의 결속이라는 의미에서 채택되었다. 동그란 고리 5개는 올림픽정신으로 하나가 된 유럽·아시아·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아메리카의 5개 대륙을 상징한다.
이 최초의 기는 1984년 올림픽경기 이후 마침내 사용을 마감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경기대회에서 새로운 올림픽기가 탄생하여 현재까지 사용해 오고 있다. 올림픽 폐막식에서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의 시장이 다음번 올림픽이 열릴 도시의 시장에게 이 기를 넘겨준다. 그리고 이양된 기는 다음 올림픽이 열릴 때까지 차기 개최도시의 시청에 보관된다.
☞ 아마추어리즘과 올림픽의 발전방안
아마추어리즘이란 스포츠를 금전적인 목적이 아닌 즐기기 위한 활동으로 생각하는 사고방식과 태도, 주장이다. 올림픽을 보면 처음에는 아마추어 선수위주로 선수를 선발하였는데 이제는 국가의 메달획득을 위해서 프로선수들이 주축을 이루는 종목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아마추어인들이 주축이 되던 올림픽이 이제는 상업적으로 물들어가기 시작했다. 올림픽에서는 국가의 명예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이 선수들간의 선의의 경쟁을 통한 기술의 습득이다. 우리는 올림픽을 기업의 마케팅수단으로 사용해 기업의 이윤창출을 이루어내는 것은 나쁘다고 할 수 없다. 다만 아마추어 중심인 올림픽에 프로선수들이 참여하는 것은 조금 지양해야 할 것이다. 올림픽이 프로선수들 없이 좋은 경기를 펼쳐야 그러기에는 아마추어 선수들의 기량이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올림픽에 출전하는 나라들은 아마추어 스포츠를 육성하고 프로 스포츠와 더불어 아마추어 스포츠에도 많은 투자와 지원이 요구된다. 그렇게 된다면 아마추어 스포츠도 경기력이 많이 양상되어 올림픽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