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말
Ⅱ.한국음악의 장단의 개요
Ⅲ.장단의 어원적 정의
Ⅳ.장단의 종류와 쓰임
Ⅴ. 맺는말
Ⅱ.한국음악의 장단의 개요
Ⅲ.장단의 어원적 정의
Ⅳ.장단의 종류와 쓰임
Ⅴ. 맺는말
본문내용
조가락도드리
¡
¡
¡
¡
ㆍ
①
¡
ㆍ
3) 6박장단 :
6박 장단은 20박 장단의 6, 4, 4, 6의 비율이 2, 1, 1, 2로 축소된 것이다
①도드리 :
①
¡
O
ㆍ
②염 불 :
ⓛ
¡
O
ㆍ
③엇중모리:
①
┃
ㆍ
④굿거리 :
①
¡
ⓛ
┃¡
O
⑤도드리 :
①
O
¡
O
♣영산회상 중 삼현 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⑥
⑦
⑧
♣도드리(및도드리, 웃도드리)
7장 15번째 장단
7장 16번째 장단
백구사, 춘면곡, 건곤가
4)가곡 장단
가) 16박 장단과 10박 장단 : 10박의 편장단은 16박 장단에서 2박으로 지속되는 박자를 1박으로 축소한 것이다. 즉, 10박은 16박의 5,3,3,5가 3,2,2,3으로 축소된 것이고, 16박과 10박의 장구 점수는 전혀 변화가 없다.
①16박 가곡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②10박 가곡
1 2 3 4 5 6 7 8 9 10
이와 같이 가곡은 쌍,편,고,요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쌍,편,고,쌍으로 되어있다. 이 것은 지금까지와 다른 장단이 쌍,편,고.요로 구성되어 있던 것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이처럼 가곡 장단의 뒷부분에 합장단이 놓이는 것이나, 고,요,편,쌍장단은 당시 한국음악과 중국음악과를 구분하는 요소 중의 하나였다고 한다.
5) 시조 장단
시조창은 영조 이후에 발생했으리라고 추정된다.
)장사훈, 『시조음악론』(서울 : 서울대출판부, 1986), 13쪽
"일반 시조에 장단을 배열한 것은 장안에서 온 이세춘으로부터 비롯한다."라는 영조때의 기록으로 보아 시조창은 영조 무렵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가곡장단은 10점의 장구 점을 16박 또는 10박에 배열한 것이다. 시조장단은 3점 5박과 5점 8박의 두 가지가 있다. 이 것은 가곡장단에서 시조장단이 파생했다는 추정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①시조 5박
- 이양교 12가사집
②시조 5점 - 김기수 (국악 입문)
1 2 3 4 5 6 7 8
♣시조창에서
1 2 3 4 5 6 7 8
6)취타 장단 : 취타(만파정식지곡) 장단을 살펴보면 제 1, 3, 5박에 합장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 곳이 강조되어 마치 2박자 계통의 음악 처럼 들린다. 이처럼 합장단이 계속 출현하는 장단은 전통음악에서 보기드문 장단으로, 길군악과 취타에서만 볼 수 있다. 그리고 해설에서도 "두 박씩 여섯이 모여 한 장단을 이룬 행진곡풍의 쾌활한 장단에 힘차고 씩씩한 가락의 음악이다."라고 적고 있어 두 박자 계통의 음악임을 시사한다.
)김기수, 『한국음악』 (서울 : 국립국악원, 1969), 제1집, 35쪽
그러나 장단과 음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장단은 12박자의 장단인데 음악은 12박자 단위로 흐르지 않고 있어서 장단과 음악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장단이 변질 되었거나 음악이 만들어진 뒤에 장단을 붙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행의 취타 장단은 2박자 계통으로 파악되고 쌍,편,고,요의 장단 기본틀과 관계없는 것으로 보인다.
①취타 장단 : (1)
가 나 다 라
1 2 3 4 5 6 7 8 9 10 11 12
취타장단 : (2)
가 나 다 라
절화(갈군악)
1 2 3 4 5 6 7 8
취타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
2. 정악 장단의 정리
정악 장단은 쌍, 편, 고, 요를 변화시킨 것이고 이러한 쌍. 편, 고, 요의 원형은 상영산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현행의 상영산에 쌍, 편, 고, 요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영산회상의 여러 음악은 상영산 장단을 변주한 것이기 때문이다.
국립국악원 소장 『雅樂部악보』에 의하면 정간보로 기록된 장구장단이 함께 적혀 있는데 현행의 음악에서 대부분 쌍, 편, 고, 요로 연주되는 장단이 모두 쌍, 편, 고, 편으로 적혀있다. 즉, 현재 느릿하게 쌍, 편, 고, 요로 연주하는 여민락, 도들이(수연장지곡), 보허자, 영상회상의 상영산,중영산, 세령산 까지 모두 쌍, 편, 고, 편이다, 이루 미루어 1930년 이전까지는 현행보다 빨랐으리라 짐작된다.
3.산조 장단의 종류와 쓰임
1)진양조 : 예전에는 다양한 박으로 적었다 하나 오늘날에는 24박으로 보고 있다. 이 24박은 6박씩 모두 4부분으로 나누고 일고, 달고 맺고, 푸는 기(起), 경(景), 결(結), 해(解)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이보형, 「판소리 고법Ⅱ」,문화재, 11호 (서울 : 문화재관리국, 1976), 69쪽
a)
b)
2)중몰이
a)
b)
c)
3)중중몰이
a)
b)
c)
4)잦은몰이
a)
b)
c)
5)휘몰이(또는 단몰이)
a)
b)
c)
d)
6)굿거리
a)
b)
c)
7)모는 타령조
8)세마치장단
9)떵더꿍 장단
Ⅴ. 맺는말
우리나라의 장단이라 함은 리듬형과 빠르기를 총칭하는 말이며 서양음악은 박자만을 포함한 단순함을 갖는다. 서양음악은 음악의 형식을 위주로 해서 하나의 곡이 탄생하지만 한국음악은 가락 이상의 풍부한 장단의 특수성을 갖고 하나의 곡이 완성되어왔다.
이보형이 주장하는 우리 음악의 특수성인 장단을 음악 속에 내재된 리듬형이 있고 반주를 주로한 곡에도 무수한 변화 속의 리듬형이 있음을 깊이 깨닺게 되었다.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민족음악 제16집, 41쪽
이보형의 말을 간략히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장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리듬형이 어떤 것인지를 밝혀야 하며 이 것을 밝히기 위해서는 이런 리듬형과 반주의 고형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한가지 장단으로 된 음악에 리듬형이 여러 가지가 있는 경우도 있다면 이들 리듬형끼리는 유기적인 리듬기능이 있는 것인가? 둘째, 한 장단으로 된 음악에 리듬형이 여러 가지 있는 경우 그 음악을 반주하는 고수의 고형도 여러 가지가 있는 것인가? 다시 말해 고형에는 음악에 나타난 리듬형의 기능에 따른 연주법의 기능이 있는 것이가?이다
한국음악의 장단을 공부하면서 우리의 음악을 세계속의 음악으로 훌륭함을 더 널리 알리기위해서는 구성원리를 더 연구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장단을 구성하는 길잡이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
¡
¡
¡
ㆍ
①
¡
ㆍ
3) 6박장단 :
6박 장단은 20박 장단의 6, 4, 4, 6의 비율이 2, 1, 1, 2로 축소된 것이다
①도드리 :
①
¡
O
ㆍ
②염 불 :
ⓛ
¡
O
ㆍ
③엇중모리:
①
┃
ㆍ
④굿거리 :
①
¡
ⓛ
┃¡
O
⑤도드리 :
①
O
¡
O
♣영산회상 중 삼현 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⑥
⑦
⑧
♣도드리(및도드리, 웃도드리)
7장 15번째 장단
7장 16번째 장단
백구사, 춘면곡, 건곤가
4)가곡 장단
가) 16박 장단과 10박 장단 : 10박의 편장단은 16박 장단에서 2박으로 지속되는 박자를 1박으로 축소한 것이다. 즉, 10박은 16박의 5,3,3,5가 3,2,2,3으로 축소된 것이고, 16박과 10박의 장구 점수는 전혀 변화가 없다.
①16박 가곡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②10박 가곡
1 2 3 4 5 6 7 8 9 10
이와 같이 가곡은 쌍,편,고,요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쌍,편,고,쌍으로 되어있다. 이 것은 지금까지와 다른 장단이 쌍,편,고.요로 구성되어 있던 것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이처럼 가곡 장단의 뒷부분에 합장단이 놓이는 것이나, 고,요,편,쌍장단은 당시 한국음악과 중국음악과를 구분하는 요소 중의 하나였다고 한다.
5) 시조 장단
시조창은 영조 이후에 발생했으리라고 추정된다.
)장사훈, 『시조음악론』(서울 : 서울대출판부, 1986), 13쪽
"일반 시조에 장단을 배열한 것은 장안에서 온 이세춘으로부터 비롯한다."라는 영조때의 기록으로 보아 시조창은 영조 무렵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가곡장단은 10점의 장구 점을 16박 또는 10박에 배열한 것이다. 시조장단은 3점 5박과 5점 8박의 두 가지가 있다. 이 것은 가곡장단에서 시조장단이 파생했다는 추정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①시조 5박
- 이양교 12가사집
②시조 5점 - 김기수 (국악 입문)
1 2 3 4 5 6 7 8
♣시조창에서
1 2 3 4 5 6 7 8
6)취타 장단 : 취타(만파정식지곡) 장단을 살펴보면 제 1, 3, 5박에 합장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 곳이 강조되어 마치 2박자 계통의 음악 처럼 들린다. 이처럼 합장단이 계속 출현하는 장단은 전통음악에서 보기드문 장단으로, 길군악과 취타에서만 볼 수 있다. 그리고 해설에서도 "두 박씩 여섯이 모여 한 장단을 이룬 행진곡풍의 쾌활한 장단에 힘차고 씩씩한 가락의 음악이다."라고 적고 있어 두 박자 계통의 음악임을 시사한다.
)김기수, 『한국음악』 (서울 : 국립국악원, 1969), 제1집, 35쪽
그러나 장단과 음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장단은 12박자의 장단인데 음악은 12박자 단위로 흐르지 않고 있어서 장단과 음악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장단이 변질 되었거나 음악이 만들어진 뒤에 장단을 붙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행의 취타 장단은 2박자 계통으로 파악되고 쌍,편,고,요의 장단 기본틀과 관계없는 것으로 보인다.
①취타 장단 : (1)
가 나 다 라
1 2 3 4 5 6 7 8 9 10 11 12
취타장단 : (2)
가 나 다 라
절화(갈군악)
1 2 3 4 5 6 7 8
취타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
2. 정악 장단의 정리
정악 장단은 쌍, 편, 고, 요를 변화시킨 것이고 이러한 쌍. 편, 고, 요의 원형은 상영산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현행의 상영산에 쌍, 편, 고, 요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영산회상의 여러 음악은 상영산 장단을 변주한 것이기 때문이다.
국립국악원 소장 『雅樂部악보』에 의하면 정간보로 기록된 장구장단이 함께 적혀 있는데 현행의 음악에서 대부분 쌍, 편, 고, 요로 연주되는 장단이 모두 쌍, 편, 고, 편으로 적혀있다. 즉, 현재 느릿하게 쌍, 편, 고, 요로 연주하는 여민락, 도들이(수연장지곡), 보허자, 영상회상의 상영산,중영산, 세령산 까지 모두 쌍, 편, 고, 편이다, 이루 미루어 1930년 이전까지는 현행보다 빨랐으리라 짐작된다.
3.산조 장단의 종류와 쓰임
1)진양조 : 예전에는 다양한 박으로 적었다 하나 오늘날에는 24박으로 보고 있다. 이 24박은 6박씩 모두 4부분으로 나누고 일고, 달고 맺고, 푸는 기(起), 경(景), 결(結), 해(解)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이보형, 「판소리 고법Ⅱ」,문화재, 11호 (서울 : 문화재관리국, 1976), 69쪽
a)
b)
2)중몰이
a)
b)
c)
3)중중몰이
a)
b)
c)
4)잦은몰이
a)
b)
c)
5)휘몰이(또는 단몰이)
a)
b)
c)
d)
6)굿거리
a)
b)
c)
7)모는 타령조
8)세마치장단
9)떵더꿍 장단
Ⅴ. 맺는말
우리나라의 장단이라 함은 리듬형과 빠르기를 총칭하는 말이며 서양음악은 박자만을 포함한 단순함을 갖는다. 서양음악은 음악의 형식을 위주로 해서 하나의 곡이 탄생하지만 한국음악은 가락 이상의 풍부한 장단의 특수성을 갖고 하나의 곡이 완성되어왔다.
이보형이 주장하는 우리 음악의 특수성인 장단을 음악 속에 내재된 리듬형이 있고 반주를 주로한 곡에도 무수한 변화 속의 리듬형이 있음을 깊이 깨닺게 되었다.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민족음악 제16집, 41쪽
이보형의 말을 간략히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장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리듬형이 어떤 것인지를 밝혀야 하며 이 것을 밝히기 위해서는 이런 리듬형과 반주의 고형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한가지 장단으로 된 음악에 리듬형이 여러 가지가 있는 경우도 있다면 이들 리듬형끼리는 유기적인 리듬기능이 있는 것인가? 둘째, 한 장단으로 된 음악에 리듬형이 여러 가지 있는 경우 그 음악을 반주하는 고수의 고형도 여러 가지가 있는 것인가? 다시 말해 고형에는 음악에 나타난 리듬형의 기능에 따른 연주법의 기능이 있는 것이가?이다
한국음악의 장단을 공부하면서 우리의 음악을 세계속의 음악으로 훌륭함을 더 널리 알리기위해서는 구성원리를 더 연구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장단을 구성하는 길잡이가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추천자료
한국 전통음악의 과제
[음악] 한국인이 뽑은 old pop 100
밥딜런의 음악세계와 한국현대사
[원자력에너지][원자력발전]원자력에너지(원자력발전)의 정의, 필요성, 원자력에너지(원자력...
[한국전통][전통][전통가옥][전통음식][전통의학][전통음악][전통무예][전통한지]우리나라 전...
미국 록 음악의 한국적 변용
(한국사회문제B형)입학사정관제의 장단점에 대해 분석하고 입학사정관제의 확대가 사교육시장...
한국 전통 음악 Traditional Korean Music
한국 교회 음악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
한국인의 의식구조 장단점과 선교현장에서의 적용 (질서의식이 없는 이유, 질서의식이 없음으...
[한국기독교] 교회음악 용어의 변천과정 _ 교회음악, 종교음악, 신성음악, 목회음악, 예식음...
한국의 대중음악(大衆音樂 / popular music) 트렌드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