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풍물
Ⅰ.풍물이란?
Ⅱ.기원 및 역사
Ⅲ.일컫는 말들
Ⅳ.놀이의 형태
Ⅴ. 구 성
Ⅵ. 변 천 사
Ⅶ. 지역별 특색
Ⅷ. 풍물의 특성 및 극복과제
Ⅷ. 발전적 방향 모색
2. 사물놀이
Ⅰ. 사물놀이의 시작
Ⅱ. 사물놀이의 형성
Ⅳ.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질
Ⅰ.풍물이란?
Ⅱ.기원 및 역사
Ⅲ.일컫는 말들
Ⅳ.놀이의 형태
Ⅴ. 구 성
Ⅵ. 변 천 사
Ⅶ. 지역별 특색
Ⅷ. 풍물의 특성 및 극복과제
Ⅷ. 발전적 방향 모색
2. 사물놀이
Ⅰ. 사물놀이의 시작
Ⅱ. 사물놀이의 형성
Ⅳ.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질
본문내용
무한정이라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공연은 1-2시간정도에서 하루종일 걸리는 경우까지 있다. 하지만 사물놀이는 한 곡당 10분에서 20분사이정도이다.
⑤ 연주인원
풍물굿의 경우에는 각각의 악기별로 2-3명에서 많게는 10여명까지 분포되어 총 10명 정도서부터 30-40명 이상까지 될 수 있지만 사물놀이의 경우에는 4명을 기본으로 하여 5-6명 정도의 인원이 연주를 한다. 사물놀이의 경우 워낙 정교하고 빠른 가락을 치기에 악기 당 1명이 넘을 경우 가락이 맞지 않을 경우가 많다. 보통 4명이 공연을 하지만 두레패의 경우 6명(장구, 쇠 2명), 풍물놀이마당의 경우 5명(장구2명)등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다.
Ⅳ.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질
① 가죽악기와 금속악기의 대립과 조화
사물놀이는 네 개의 악기로 이루어진다. 즉, 꽹가리, 징, 장구, 북 등의 4개의 악기가 연주를 하는 음악인 것이다. 이중에서 꽹가리와 징은 금속악기이고 장구와 북은 가죽악기이다. 금속악기와 가죽악기의 소리의 특징은 상당히 다르다. 금속악기는 센소리가 나며 울림이 적다. 가죽악기는 부드러운 소리가 나며 울림이 크다.
이 금속악기와 가죽악기는 때로는 경쟁을 하고 때로는 보완을 해준다. 각 악기의 특징을 좀더 살펴보자. 꽹가리의 경우에는 사물을 리드하는악기이다. 풍물굿에서 보면 꽹가리는 가락을 창출하고 이끌어나간다. 전라좌도의 경우와 타 지방의 경우가 조금은 다르다. 즉 가락에서 장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서 꽹가리가 가락을 이끌어가고 주도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물놀이에서 쇠의 비중은 절대적이다. 단순히 가락을 내는 역할만이 아니라 리듬을 창출하고 주도한다. 다른 음악들과 비교해볼 때 특이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금속악기가 음악을 주도하고 리드하는 것은 다른 음악에서 찾기 힘든 면인 것이다.
어쨋든 사물놀이에서 꽹가리는 가락을 내고 리듬을 만들며 다른 악기들은 꽹가리가 만들어 놓은 리듬안에서 바로 자신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징의 역할은 쇠가 만들어놓은 리듬을 크게 감싸면서 끊어주는 것이다. 꽹가리가 가락을 주도하는 반면 징은 그러한 쇠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꽹가리는 끊임없이 리듬을 창출해내고 가락을 잘게 가르면 징은 그러한 리듬들을 하나의 완전한 가락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예외적인 것도 있는데 비나리에서의 징의 역할이다.
예외적으로 틀려지지만 이러한 꽹가리와 징의 관계는 장구와 북의 관계와 흡사하다. 장구가 마찬가지로 리듬을 잘게 잘라가는 역할이라면 북은 원박을 쳐서 장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장구는 쇠와 징이 만들어놓은 리듬속에서 가락을 다듬고 보완하며 때로는 변형하는 역할을 한다. 비로서 완성된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때로는 꽹가리와 가락의 주도를 놓고 겨루기도 하지만 꽹가리가 미처 손쓸수 없는 부분을 보완해주기도 한다. 북은 이러한 장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② 사물놀이의 원리(1) - 점층적 가속
사물놀이의 중요한 특징은 앞에서도 나온 점층적 가속이다. 풍물굿이 맺고 푸는 가락의 연속이라면 사물놀이는 단절없이 계속 점층적 가속이라는 면이 가락의 순서이다. 우도굿의 예를 들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1.혼합장단 -+- 오채질굿
+- 우질굿
+- 좌질굿
2.복합장단 -+- 풍류굿(굿거리)
+- 느린3채
+- 양산도굿
3.단순장단 -- 구정놀이굿(세산조시)
이상에서 보면 사물놀이는 2박자와 3박자가 교차되어 나오는 혼합장단에서 3박자가 반복되는 복합장단으로 그리고는 2박자가 반복되는 단순장단으로 가락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사물놀이뿐 아니라 우리음악 전체에 적용되는 특징이다. 산조나 영산회상혹은 시나위 등을 보아도 가장 느린 장단에서 가장 빠른 장단으로 점층적으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물론이고 혼합, 복합, 단순 장단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물놀이의 짜임새는 전통을 온전히 계승했다는 것이다.
③ 사물놀이의 원리(2) - 긴장과 이완의 원리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사물놀이에만 있는 독특한 것은 아니다. 사물놀이뿐아니라 풍물굿전반에서 긴장과 이완이라는 것은 주요한 원리이다. 하지만 사물놀이에서의 긴장과 이완은 풍물굿에서 긴장과 이완과는 조금은 틀리다. 풍물굿에서도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중요한 원리이지만 사물놀이에서는 그 비중이 절대적이다.
예를 들어서 이야기하면 우도굿사물놀이를 보면 얼마나 사물놀이에서
긴장과 이완의 원리가 잘 나타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1. 청령부르기 : 이완에서 긴장
2. 오채질굿 : 이완
3. 자진오채질굿(우질굿,좌질굿) : 긴장
4. 굿거리 : 이완
5. 자진굿거리 : 긴장
6. 3채 : 이완에서 긴장
7. 겐지겐 : 이완에서 긴장
8. 세산조시 : 긴장
이렇게 우도굿을 순서대로 풀어보면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극명하게 사물놀이에나타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서 긴장이라는 것은 가락이 빠르고 세다는 의미이고 이완은 느리고 부드러럽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다. 즉 사물놀이는 풍물굿의 가락을 긴장과 이완이라는 원리로서 재배치했다는 것이다. 우도굿에서 겐지겐이나 휘몰이로 연결되어있는 각각의 가락을 긴장과이완의 순서로 재배치하면서 불필요한 이음새가락을생략하고 본 가락과 본 가락을 곧바로 연결했는데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다. 전체적인 면에서 보면 점층적 가속이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점층적 가속속에는 긴장과 이완의 원리가 숨어있는 것이다.
④ 사물놀이의 원리(3) - 음양의 조화
사물놀이의 원리중에서 사실 중요한 원리이지만 언급하기가 조금은 곤란한 것이 이 음양의 조화라는 것이다. 그것은 자칫 설명이나 관점이 추상적으로 되기 쉽다는 점 때문이다. 즉 사물놀이의 악기구성 자체가 금속악기와 가죽악기로 구성되어 있고 앞에서 언급했듯이 그 각각의 역할을 매우다르다. 이 악기들이 갖는 각각의 역할을 음양의 조화라는 것으로 이야기할 수 있지만 그 설명을 하자면 구체적인 증거보다는 감성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 음양의 조화라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이론이빈약하기에 앞으로 좀더 보완을 할 부분으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⑤ 연주인원
풍물굿의 경우에는 각각의 악기별로 2-3명에서 많게는 10여명까지 분포되어 총 10명 정도서부터 30-40명 이상까지 될 수 있지만 사물놀이의 경우에는 4명을 기본으로 하여 5-6명 정도의 인원이 연주를 한다. 사물놀이의 경우 워낙 정교하고 빠른 가락을 치기에 악기 당 1명이 넘을 경우 가락이 맞지 않을 경우가 많다. 보통 4명이 공연을 하지만 두레패의 경우 6명(장구, 쇠 2명), 풍물놀이마당의 경우 5명(장구2명)등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다.
Ⅳ.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질
① 가죽악기와 금속악기의 대립과 조화
사물놀이는 네 개의 악기로 이루어진다. 즉, 꽹가리, 징, 장구, 북 등의 4개의 악기가 연주를 하는 음악인 것이다. 이중에서 꽹가리와 징은 금속악기이고 장구와 북은 가죽악기이다. 금속악기와 가죽악기의 소리의 특징은 상당히 다르다. 금속악기는 센소리가 나며 울림이 적다. 가죽악기는 부드러운 소리가 나며 울림이 크다.
이 금속악기와 가죽악기는 때로는 경쟁을 하고 때로는 보완을 해준다. 각 악기의 특징을 좀더 살펴보자. 꽹가리의 경우에는 사물을 리드하는악기이다. 풍물굿에서 보면 꽹가리는 가락을 창출하고 이끌어나간다. 전라좌도의 경우와 타 지방의 경우가 조금은 다르다. 즉 가락에서 장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서 꽹가리가 가락을 이끌어가고 주도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물놀이에서 쇠의 비중은 절대적이다. 단순히 가락을 내는 역할만이 아니라 리듬을 창출하고 주도한다. 다른 음악들과 비교해볼 때 특이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금속악기가 음악을 주도하고 리드하는 것은 다른 음악에서 찾기 힘든 면인 것이다.
어쨋든 사물놀이에서 꽹가리는 가락을 내고 리듬을 만들며 다른 악기들은 꽹가리가 만들어 놓은 리듬안에서 바로 자신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징의 역할은 쇠가 만들어놓은 리듬을 크게 감싸면서 끊어주는 것이다. 꽹가리가 가락을 주도하는 반면 징은 그러한 쇠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꽹가리는 끊임없이 리듬을 창출해내고 가락을 잘게 가르면 징은 그러한 리듬들을 하나의 완전한 가락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예외적인 것도 있는데 비나리에서의 징의 역할이다.
예외적으로 틀려지지만 이러한 꽹가리와 징의 관계는 장구와 북의 관계와 흡사하다. 장구가 마찬가지로 리듬을 잘게 잘라가는 역할이라면 북은 원박을 쳐서 장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장구는 쇠와 징이 만들어놓은 리듬속에서 가락을 다듬고 보완하며 때로는 변형하는 역할을 한다. 비로서 완성된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때로는 꽹가리와 가락의 주도를 놓고 겨루기도 하지만 꽹가리가 미처 손쓸수 없는 부분을 보완해주기도 한다. 북은 이러한 장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② 사물놀이의 원리(1) - 점층적 가속
사물놀이의 중요한 특징은 앞에서도 나온 점층적 가속이다. 풍물굿이 맺고 푸는 가락의 연속이라면 사물놀이는 단절없이 계속 점층적 가속이라는 면이 가락의 순서이다. 우도굿의 예를 들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1.혼합장단 -+- 오채질굿
+- 우질굿
+- 좌질굿
2.복합장단 -+- 풍류굿(굿거리)
+- 느린3채
+- 양산도굿
3.단순장단 -- 구정놀이굿(세산조시)
이상에서 보면 사물놀이는 2박자와 3박자가 교차되어 나오는 혼합장단에서 3박자가 반복되는 복합장단으로 그리고는 2박자가 반복되는 단순장단으로 가락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사물놀이뿐 아니라 우리음악 전체에 적용되는 특징이다. 산조나 영산회상혹은 시나위 등을 보아도 가장 느린 장단에서 가장 빠른 장단으로 점층적으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물론이고 혼합, 복합, 단순 장단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물놀이의 짜임새는 전통을 온전히 계승했다는 것이다.
③ 사물놀이의 원리(2) - 긴장과 이완의 원리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사물놀이에만 있는 독특한 것은 아니다. 사물놀이뿐아니라 풍물굿전반에서 긴장과 이완이라는 것은 주요한 원리이다. 하지만 사물놀이에서의 긴장과 이완은 풍물굿에서 긴장과 이완과는 조금은 틀리다. 풍물굿에서도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중요한 원리이지만 사물놀이에서는 그 비중이 절대적이다.
예를 들어서 이야기하면 우도굿사물놀이를 보면 얼마나 사물놀이에서
긴장과 이완의 원리가 잘 나타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1. 청령부르기 : 이완에서 긴장
2. 오채질굿 : 이완
3. 자진오채질굿(우질굿,좌질굿) : 긴장
4. 굿거리 : 이완
5. 자진굿거리 : 긴장
6. 3채 : 이완에서 긴장
7. 겐지겐 : 이완에서 긴장
8. 세산조시 : 긴장
이렇게 우도굿을 순서대로 풀어보면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극명하게 사물놀이에나타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서 긴장이라는 것은 가락이 빠르고 세다는 의미이고 이완은 느리고 부드러럽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다. 즉 사물놀이는 풍물굿의 가락을 긴장과 이완이라는 원리로서 재배치했다는 것이다. 우도굿에서 겐지겐이나 휘몰이로 연결되어있는 각각의 가락을 긴장과이완의 순서로 재배치하면서 불필요한 이음새가락을생략하고 본 가락과 본 가락을 곧바로 연결했는데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다. 전체적인 면에서 보면 점층적 가속이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점층적 가속속에는 긴장과 이완의 원리가 숨어있는 것이다.
④ 사물놀이의 원리(3) - 음양의 조화
사물놀이의 원리중에서 사실 중요한 원리이지만 언급하기가 조금은 곤란한 것이 이 음양의 조화라는 것이다. 그것은 자칫 설명이나 관점이 추상적으로 되기 쉽다는 점 때문이다. 즉 사물놀이의 악기구성 자체가 금속악기와 가죽악기로 구성되어 있고 앞에서 언급했듯이 그 각각의 역할을 매우다르다. 이 악기들이 갖는 각각의 역할을 음양의 조화라는 것으로 이야기할 수 있지만 그 설명을 하자면 구체적인 증거보다는 감성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 음양의 조화라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이론이빈약하기에 앞으로 좀더 보완을 할 부분으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