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균형, 조정 그리고 시장
3. 시장과 제도: 자발적 질서
4. 맺는 말: 하이에크의 한계
2. 균형, 조정 그리고 시장
3. 시장과 제도: 자발적 질서
4. 맺는 말: 하이에크의 한계
본문내용
지 않는 한 소극적 자유를 무조건적으로 옹호해야 할 이유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이지 않는 손 설명방식을 택하는 경우 그의 자발적 질서론에서 파생되는 많은 논의들의 설득력이 약화될 것이다. 특히 현실 정치이데올로기의 장에서 활용되는 하이에크 이론은 집단 차원의 선별메카니즘에 근거한 자유주의와 시장질서 변호론임을 고려할 때, 자유세계 수호자로서의 하이에크의 설득력은 다시 검토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 차원에서 보이지 않는 손 설명방식은 커다란 의문부호이다. 이 설명방식은 하이에크의 방법론적 입장과 가장 가까운 포퍼의 과학기준조차 통과하지 못한다. 포퍼는 과학과 비과학을 나누는 구획기준으로 반증가능성을 들고 있다. 즉 과학적 명제는 경험세계와의 대비에서 기각될 가능성이 있는 명제이며, 그렇지 못한 명제는 형이상학이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손의 설명방식은 질서가 나타난 뒤에만 그 질서의 형성에 관한 이론의 타당성을 사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포퍼의 기준에 의하면 이것은 형이상학인 것이다. 또는 기껏해야 이는 질서가 나타난 뒤 그것이 형성되는 과정을 회고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 보이지 않는 손 설명방식이 설사 타당한 설명방식으로 승인된다고 할지라도, 아니면 인간 지식과 진리 사이를 연결하는 끈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전제를 수용한다고 하더라도, 인간이 이런 식의 설명방식에 만족하면서 머물러 있을 수 밖에 없는가는 여전히 커다란 의문으로 남는다.
<참 고 문 헌>
Alchian, A.(1950), 'Uncertainty, Evolution, and Economic Theor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58), pp.211-21.
Caldwell, B. J.(1988), 'Hayek's Transformation,' History of Political Economy(20), no. 4, pp.513-41.
Ebeling, R. M.(1990), 'What is a Pric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n Lavoie, D.(ed.), Economics and Hermeneutics, London:Routledge, pp. 177-94.
Eggertsson, T.(1990), Economic Behavior and Institutions, Cambridge Univ. Press
Gray, J.(1984), Hayek on Liberty, Oxford:Basil Blackwell.
Hayek, F. A.(1937), 'Economics and Knowledge,' Economica(IV), reprinted in Hayek(1948), pp.33-56.
Hayek, F. A.(1945), '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35), reprinted in Hayek(1948), pp.77-91.
Hayek, F. A.(1948), Individualism and Economic Order, Chicago: Chicago Univ. Press,
Hayek, F. A.(1948a), 'The Meaning of Competition,' in Hayek(1948), pp.92-106.
Hayek, F. A.(1967),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Hayek, F. A.(1978), 'Competion as a Discovery Procedure,' in his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London: Routledge, pp.179-90.
Hayek, F. A.(1979), Law, Legislation and Liberty, 3 vol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Hayek, F. A.(1988), The Final Conceit: The Error of Socialism, London:Routledge.
Hodgson, G. M.(1988), Economics and Institutions, Cambridge: Polity Press.
Kirzner, I. M.(1973), Competition and Entrepreneurship, Univ. of Chicago Press.
Knudsen, C.(1993), 'Modelling Rationality, Institutions and Process in Econnomic Theory,' in Maki et al(1993), pp.265-99.
Langlois, R. N.(ed.)(1986), Economics as a Process, Cambridge Univ. Press.
Maki, U., Gustafsson, B. and Knudsen, C.(eds.)(1993), Rationality, Institutions and Economic methodology, London: Routledge.
Nozick, R.(1974), Anarchy, State, and Utopia, New York: Basic Books.
Sugden, R.(1989), 'Spontaneous Order,'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3), no. 4, pp.85-97.
Ullmann-Margalit, E.(1978), 'Invisible-Hand Explanations,' Synthese(39), pp.263-91.
Vanberg, V.(1986), 'Spontaneous Market Order and Social Rules,' Economics and Philosophy(2), pp.75-100.
de Vroey, M.(1990), 'The Basic Camp Paradox,' Economics and Philosophy(6), pp.235-53.
그러므로 보이지 않는 손 설명방식을 택하는 경우 그의 자발적 질서론에서 파생되는 많은 논의들의 설득력이 약화될 것이다. 특히 현실 정치이데올로기의 장에서 활용되는 하이에크 이론은 집단 차원의 선별메카니즘에 근거한 자유주의와 시장질서 변호론임을 고려할 때, 자유세계 수호자로서의 하이에크의 설득력은 다시 검토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 차원에서 보이지 않는 손 설명방식은 커다란 의문부호이다. 이 설명방식은 하이에크의 방법론적 입장과 가장 가까운 포퍼의 과학기준조차 통과하지 못한다. 포퍼는 과학과 비과학을 나누는 구획기준으로 반증가능성을 들고 있다. 즉 과학적 명제는 경험세계와의 대비에서 기각될 가능성이 있는 명제이며, 그렇지 못한 명제는 형이상학이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손의 설명방식은 질서가 나타난 뒤에만 그 질서의 형성에 관한 이론의 타당성을 사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포퍼의 기준에 의하면 이것은 형이상학인 것이다. 또는 기껏해야 이는 질서가 나타난 뒤 그것이 형성되는 과정을 회고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 보이지 않는 손 설명방식이 설사 타당한 설명방식으로 승인된다고 할지라도, 아니면 인간 지식과 진리 사이를 연결하는 끈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전제를 수용한다고 하더라도, 인간이 이런 식의 설명방식에 만족하면서 머물러 있을 수 밖에 없는가는 여전히 커다란 의문으로 남는다.
<참 고 문 헌>
Alchian, A.(1950), 'Uncertainty, Evolution, and Economic Theor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58), pp.211-21.
Caldwell, B. J.(1988), 'Hayek's Transformation,' History of Political Economy(20), no. 4, pp.513-41.
Ebeling, R. M.(1990), 'What is a Pric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n Lavoie, D.(ed.), Economics and Hermeneutics, London:Routledge, pp. 177-94.
Eggertsson, T.(1990), Economic Behavior and Institutions, Cambridge Univ. Press
Gray, J.(1984), Hayek on Liberty, Oxford:Basil Blackwell.
Hayek, F. A.(1937), 'Economics and Knowledge,' Economica(IV), reprinted in Hayek(1948), pp.33-56.
Hayek, F. A.(1945), '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35), reprinted in Hayek(1948), pp.77-91.
Hayek, F. A.(1948), Individualism and Economic Order, Chicago: Chicago Univ. Press,
Hayek, F. A.(1948a), 'The Meaning of Competition,' in Hayek(1948), pp.92-106.
Hayek, F. A.(1967),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Hayek, F. A.(1978), 'Competion as a Discovery Procedure,' in his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London: Routledge, pp.179-90.
Hayek, F. A.(1979), Law, Legislation and Liberty, 3 vol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Hayek, F. A.(1988), The Final Conceit: The Error of Socialism, London:Routledge.
Hodgson, G. M.(1988), Economics and Institutions, Cambridge: Polity Press.
Kirzner, I. M.(1973), Competition and Entrepreneurship, Univ. of Chicago Press.
Knudsen, C.(1993), 'Modelling Rationality, Institutions and Process in Econnomic Theory,' in Maki et al(1993), pp.265-99.
Langlois, R. N.(ed.)(1986), Economics as a Process, Cambridge Univ. Press.
Maki, U., Gustafsson, B. and Knudsen, C.(eds.)(1993), Rationality, Institutions and Economic methodology, London: Routledge.
Nozick, R.(1974), Anarchy, State, and Utopia, New York: Basic Books.
Sugden, R.(1989), 'Spontaneous Order,'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3), no. 4, pp.85-97.
Ullmann-Margalit, E.(1978), 'Invisible-Hand Explanations,' Synthese(39), pp.263-91.
Vanberg, V.(1986), 'Spontaneous Market Order and Social Rules,' Economics and Philosophy(2), pp.75-100.
de Vroey, M.(1990), 'The Basic Camp Paradox,' Economics and Philosophy(6), pp.235-53.
추천자료
복지와 이데올로기
[자본주의][자본주의경제]자본의 의미와 특성,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상품을 통한 이윤획득,...
부패와 반부패 그리고 자유주의에 대하여 작성함
[수요][수요변화][시장의 역할][하이에크의 시장경제론][시장경제와 사회정의]수요, 수요변화...
[시장경제][시장경제론][시장경제제도][시장][가격][사회주의 시장경제][하이에크][시장경제...
세계 금융 위기 - 케인스 이론과 경제학의 역사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의 폐해]신자유주의의 가치, 신자유주의의 구조, 신자유주의의 동향,...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 개선 방향]신자유주의의 특징, 신자유주의의 기반과 신자유주의의 ...
신자유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