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 자기조정적 시장의 도그마
2. 시장과 계획 : 근대성의 모순
3. 시장과 화폐
4. 결론 : 경제정책과 관련한 이론적 함의
2. 시장과 계획 : 근대성의 모순
3. 시장과 화폐
4. 결론 : 경제정책과 관련한 이론적 함의
본문내용
은 노동력의 상품화가 낳는 효과와 노동력 상품화를 유지하려는 노력에 의해 규정된다.
④ 20세기 후반의 복지국가는 그것이 노동력의 상품형태로의 재생산을 완화했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의 틀내에서 가능했던 민주주의적 기획의 성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⑤ 사회주의적 경제정책은 노동력의 비상품화와 관련된다.
참고문헌
김형효(1989),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이지순(1986). 「화폐경제이론의 최근동향」, 『경제논집』 25:4 서울대 경제연구소
이지순(1990), 「자유은행제도의 기본원리」, 『경제논집』 29:4, 서울대 경제연구소,
조 순(1995), 「하이에크 화폐이론의 재음미」, 조순외 『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허선주(1993), 「'이단적 접근'의 마르크스 가치이론 비판에 대한 연구」 서울대 경제학과 TM
Aglietta & Orl an (1982), La violence de la monnai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井上泰夫 外 譯, 貨幣の暴力, 法政大學出版局,)
Althusser & Balibar(1968), Lire le Capital, Maspero.
Benetti, C. & Cartelier, J.(1980), Marchands, salariat et catitalistes, Francois Maspero
Bidet, J.(1990), Th orie de la modernit suivi de Marx et le march ,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Bidet, J.(1991), "Capitalisme, communisime, marxisme, socialisme" in Fin du communisme? Actualit du marxisme?(Actuel Marx Confrontation) PUF, Paris, (「자본주의, 공산주의, 맑스주의, 사회주의」, 윤소영엮음(1991), 『맑스주의의 역사』, 민맥 소수)
Bidet, J.(1993),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 새날, 1995,
Brunhoff, S.(1986), L'heure du march : Critique du lib ralism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Caldwell, B, J.(1988), "Hayek's transformation",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20:4
Gamble, A.(1986), "The Political Economy of Freedom", in The Ideology of the New Right, ed. R. Levitas, Polity Pr.
Girard, R.(1972) La violence et le sacr . Paris:Grasset (김진석.박무호역,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Hahn, F.(1984), Equilibrium and Macroeconomics, Basil Blackwell.
Hayek, F, A.(1944), The Road to Serfdom, London: George Routlege & Sons.
Hayek, F, A.(1973), Law, Legislation and Liberty vol.I, Chicago Univ. (양승두.정순훈 역, 『신자유주의와 법』, 연세대 출판부)
Hayek, F, A.(1976a) Law, Legislation and Liberty, vol II. Chicago Univ. Pr.
Hayek, F, A.(1976b), Denationalisation of Money, The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IEA)
Keynes, J, M.(1937),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 Monetary Theory, R.W. Clower(Ed.), Penguin Education, 1973.
Marx(1859), Zur Kritik der Politischen conomie, 김호균譯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중원문화
Marx(1867), Das Kapital, 김수행譯, 『자본론』 I권 상, 비봉출판사
Orlean, A.(1989), "Mimetic contagion and speculartive bubbles", Theory and Decision 27
Orl an, A.(1992), "The Origin of Money", in Understanding Origin (edited by F.Varela & J.P.Dupu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agano, U.(1985), Work and Welfare in Economic Theory, Basil Blackwell.
Polanyi, K.(1957), The Great Transformation :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 of Our Time, BEACON PRESS(박현수역, 『거대한 변환』, 민음사, 1991)
Samuelson, P.(1976), Economics, 10th Ed. McGraw-Hill.
Schumpeter, J.(1954), The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 Pr.
Smith, A.(1776),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김수행譯 『국부론』, 상권 동아출판사.
Sargent, T, J. & Wallace, N.(1976;2), "Rational Expectations and the Theory of Economic Policy",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Wallace, N.(1980), "The Overlapping Genration Model of Fiat Money", in Model of Monetary Economics, J.H.Kareken and N.Wallace(Ed,) FRB of Minneapolis.
④ 20세기 후반의 복지국가는 그것이 노동력의 상품형태로의 재생산을 완화했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의 틀내에서 가능했던 민주주의적 기획의 성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⑤ 사회주의적 경제정책은 노동력의 비상품화와 관련된다.
참고문헌
김형효(1989),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이지순(1986). 「화폐경제이론의 최근동향」, 『경제논집』 25:4 서울대 경제연구소
이지순(1990), 「자유은행제도의 기본원리」, 『경제논집』 29:4, 서울대 경제연구소,
조 순(1995), 「하이에크 화폐이론의 재음미」, 조순외 『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허선주(1993), 「'이단적 접근'의 마르크스 가치이론 비판에 대한 연구」 서울대 경제학과 TM
Aglietta & Orl an (1982), La violence de la monnai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井上泰夫 外 譯, 貨幣の暴力, 法政大學出版局,)
Althusser & Balibar(1968), Lire le Capital, Maspero.
Benetti, C. & Cartelier, J.(1980), Marchands, salariat et catitalistes, Francois Maspero
Bidet, J.(1990), Th orie de la modernit suivi de Marx et le march ,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Bidet, J.(1991), "Capitalisme, communisime, marxisme, socialisme" in Fin du communisme? Actualit du marxisme?(Actuel Marx Confrontation) PUF, Paris, (「자본주의, 공산주의, 맑스주의, 사회주의」, 윤소영엮음(1991), 『맑스주의의 역사』, 민맥 소수)
Bidet, J.(1993), 『『자본』의 경제학, 철학, 이데올로기』, 새날, 1995,
Brunhoff, S.(1986), L'heure du march : Critique du lib ralism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Caldwell, B, J.(1988), "Hayek's transformation",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20:4
Gamble, A.(1986), "The Political Economy of Freedom", in The Ideology of the New Right, ed. R. Levitas, Polity Pr.
Girard, R.(1972) La violence et le sacr . Paris:Grasset (김진석.박무호역,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Hahn, F.(1984), Equilibrium and Macroeconomics, Basil Blackwell.
Hayek, F, A.(1944), The Road to Serfdom, London: George Routlege & Sons.
Hayek, F, A.(1973), Law, Legislation and Liberty vol.I, Chicago Univ. (양승두.정순훈 역, 『신자유주의와 법』, 연세대 출판부)
Hayek, F, A.(1976a) Law, Legislation and Liberty, vol II. Chicago Univ. Pr.
Hayek, F, A.(1976b), Denationalisation of Money, The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IEA)
Keynes, J, M.(1937),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 Monetary Theory, R.W. Clower(Ed.), Penguin Education, 1973.
Marx(1859), Zur Kritik der Politischen conomie, 김호균譯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중원문화
Marx(1867), Das Kapital, 김수행譯, 『자본론』 I권 상, 비봉출판사
Orlean, A.(1989), "Mimetic contagion and speculartive bubbles", Theory and Decision 27
Orl an, A.(1992), "The Origin of Money", in Understanding Origin (edited by F.Varela & J.P.Dupu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agano, U.(1985), Work and Welfare in Economic Theory, Basil Blackwell.
Polanyi, K.(1957), The Great Transformation :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 of Our Time, BEACON PRESS(박현수역, 『거대한 변환』, 민음사, 1991)
Samuelson, P.(1976), Economics, 10th Ed. McGraw-Hill.
Schumpeter, J.(1954), The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 Pr.
Smith, A.(1776),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김수행譯 『국부론』, 상권 동아출판사.
Sargent, T, J. & Wallace, N.(1976;2), "Rational Expectations and the Theory of Economic Policy",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Wallace, N.(1980), "The Overlapping Genration Model of Fiat Money", in Model of Monetary Economics, J.H.Kareken and N.Wallace(Ed,) FRB of Minneapolis.
추천자료
WWW보안과 전자화폐
유럽연합과 미국의 전자화폐 규제 차이점 및 원인 분석
사회복지 정책론 <화폐공급과 적자재정에 관하여>
케인즈 화폐이론에 대한 비판적 소고
[비지니스] 전자화폐의 등장과 문제점
[재무관리]화폐의 시간가치 완벽정리
[A+평가독후감]화폐전쟁2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달러의 몰락과 신화폐전쟁을 읽고
쑹홍빙 화폐전쟁 - 6장~10장
[화폐금융론] 외환보유액
북한의 2009년 화폐개혁관련한 내용과 1984,1987년 합영법
중앙은행이 화폐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책을 3가지 제시하고 그 내용과 기대효과를 설명...
중앙은행과 금융정책 (화폐와 경제불안정 & 금융정책의 수단)
경제학개론 - 중앙은행이 화폐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책 3가지를 제시하고, 그 내용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