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화폐의 시간가치의 정의
(1) 화폐의 시간가치
(2) 이자율
가. 이자율의 정의
나. 이자율의 유형
(3) 이자율 결정이론과 결정요인
가. 이자율 결정이론
나. 이자율 결정요인
다. 이자율의 기능
(1) 화폐의 시간가치
(2) 이자율
가. 이자율의 정의
나. 이자율의 유형
(3) 이자율 결정이론과 결정요인
가. 이자율 결정이론
나. 이자율 결정요인
다. 이자율의 기능
본문내용
론자, 통화론자, 합리적 기대론자 간에 이견이 존재
- 케인즈안 : 유동성 선호이론에 입각하여 통화공급의 증가가 이자율을 큰 폭으로 하락시킬 수 있으며 낮아진 금리수준을 상당기간 동안 유지, 소득에 영향을 주는 데는 시차가 필요하며 물가가 비신축적이라 가정
- 통화론자 : 유동성 효과는 즉시 사라진다고 주장, 장기적으로 이자율은 통화공급 증가율 수준으로 상승
- 합리적 기대론자 : 통화량 증대가 예상될 때 경제주체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예상물가상승률을 이자율에 포함시켜 계산하기 때문에 유동성 효과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평가
② 물가예상과 이자율
* 실질적인 사람들의 관심은 대부자금의 명목금액이 아니라 실질 구매력이기 때문에 대부자는 물가 수준의 변동으로 인한 구매력의 변화로부터 보호되기를 원한다.
* 이에 따라 차입자는 그러한 보호를 이자율을 통해 보장하고자한다.
r = θ + p
※ p : 가격수준변화에 대한 백분율, r : 명목시장이자율, θ : 실질이자율
* 고전학파나 통화주의 학파는 통화량의 증가와 더불어 물가가 상승할 때는 이자율
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통화량이 감소하고 물가가 하락할 때는 이자율도 하락
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
③ 기대물가 상승률
* 피셔정리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물가상승률
- 명목이자율과 기대물가 상승률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
- 국가와 분석시기에 따라 예상물가상승률이 명목이자율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를 수 있음
- 명목이자율을 하락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의 예상물가 상승률을 하향 조정시켜야 함
다. 이자율의 기능
① 금융시장에서의 일종의 가격
* 자산보유, 금융거래의 형태에 지배적 영향을 미침.
*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을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
② 자금의 수급조절
* 자금의 가격이므로
- 초과수요 존재 → 금리상승, 초과공급 존재 → 금리하락
③ 저축에 대한 영향
* 고전학파의 제욕설
- 금리 : 현재의 소비를 억제하고 장래의 보다 큰 소비를 위하여 금욕한 대가
- 금리는 현재소비와 장래소비의 한계대체율
④ 투자에 대한 영향
* 투자자에게는 투자를 위한 자금비용
- 금리하락 : 신규투자 유발
- 금리상승 : 신규투자는 물론 대체투자도 위축
⑤ 물가에 대한 영향
* 기업제품원가의 구성요인
- 금리상승 : 원가상승효과 → 물가상승요인
- 금리상승이 가져오는 디플레이션 효과와 원가상승효과 비교
-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의 타인자본비율이 높고 금리의 신축성이 낮으며 자금의 만성적인 초과수요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금리의 디플레이션효과 보다는 원가상승
효과가 더 클 것.
⑥ 소득분배에 대한 효과
* 자금 공급자 : 부유측, 자금수요자 : 빈곤층일 경우
- 금리하락 : 양의 소득분배 효과, 금리상승 : 소득분배 악화
* 자금 공급자 : 영세저축자, 자금수요자 : 대기업이 큰 비중
- 금리상승 : 양의 소득분배효과
⑦ 통화량에 대한 효과
* 금리상승
- 은행 : 대출증대를 위해 실지준을 낮추거나 중앙은행 차입 증대
-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상쇄정책이 없는 경우
- 통화량 증대효과
- 케인즈안 : 유동성 선호이론에 입각하여 통화공급의 증가가 이자율을 큰 폭으로 하락시킬 수 있으며 낮아진 금리수준을 상당기간 동안 유지, 소득에 영향을 주는 데는 시차가 필요하며 물가가 비신축적이라 가정
- 통화론자 : 유동성 효과는 즉시 사라진다고 주장, 장기적으로 이자율은 통화공급 증가율 수준으로 상승
- 합리적 기대론자 : 통화량 증대가 예상될 때 경제주체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예상물가상승률을 이자율에 포함시켜 계산하기 때문에 유동성 효과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평가
② 물가예상과 이자율
* 실질적인 사람들의 관심은 대부자금의 명목금액이 아니라 실질 구매력이기 때문에 대부자는 물가 수준의 변동으로 인한 구매력의 변화로부터 보호되기를 원한다.
* 이에 따라 차입자는 그러한 보호를 이자율을 통해 보장하고자한다.
r = θ + p
※ p : 가격수준변화에 대한 백분율, r : 명목시장이자율, θ : 실질이자율
* 고전학파나 통화주의 학파는 통화량의 증가와 더불어 물가가 상승할 때는 이자율
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통화량이 감소하고 물가가 하락할 때는 이자율도 하락
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
③ 기대물가 상승률
* 피셔정리
-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물가상승률
- 명목이자율과 기대물가 상승률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
- 국가와 분석시기에 따라 예상물가상승률이 명목이자율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를 수 있음
- 명목이자율을 하락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의 예상물가 상승률을 하향 조정시켜야 함
다. 이자율의 기능
① 금융시장에서의 일종의 가격
* 자산보유, 금융거래의 형태에 지배적 영향을 미침.
*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을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
② 자금의 수급조절
* 자금의 가격이므로
- 초과수요 존재 → 금리상승, 초과공급 존재 → 금리하락
③ 저축에 대한 영향
* 고전학파의 제욕설
- 금리 : 현재의 소비를 억제하고 장래의 보다 큰 소비를 위하여 금욕한 대가
- 금리는 현재소비와 장래소비의 한계대체율
④ 투자에 대한 영향
* 투자자에게는 투자를 위한 자금비용
- 금리하락 : 신규투자 유발
- 금리상승 : 신규투자는 물론 대체투자도 위축
⑤ 물가에 대한 영향
* 기업제품원가의 구성요인
- 금리상승 : 원가상승효과 → 물가상승요인
- 금리상승이 가져오는 디플레이션 효과와 원가상승효과 비교
-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의 타인자본비율이 높고 금리의 신축성이 낮으며 자금의 만성적인 초과수요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금리의 디플레이션효과 보다는 원가상승
효과가 더 클 것.
⑥ 소득분배에 대한 효과
* 자금 공급자 : 부유측, 자금수요자 : 빈곤층일 경우
- 금리하락 : 양의 소득분배 효과, 금리상승 : 소득분배 악화
* 자금 공급자 : 영세저축자, 자금수요자 : 대기업이 큰 비중
- 금리상승 : 양의 소득분배효과
⑦ 통화량에 대한 효과
* 금리상승
- 은행 : 대출증대를 위해 실지준을 낮추거나 중앙은행 차입 증대
-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상쇄정책이 없는 경우
- 통화량 증대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