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석, 그 요소의 상품화를 통한 닫힌 체계의 구축을 위한 시도와 그에 대한 대항운동의 정치적 의미 및 대안에 관해 분석하는 것이어야 한다.
) 정보 및 지식의 상품화에 대한 개별적·조직적 저항운동―심지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해킹까지도―이 지닌 진보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이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정보의 민주적 공유라는 과제를 이룩할 것인가가 중요한 정치적 과제로 제시된다. 맥락은 약간 다르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노동의 종말'에 대한 대안으로 비영리적인 제3부문의 확장을 제시하는 Rifkin(1996)의 논의는 시사적이다. 즉,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라는 문제를 자원봉사 같은 일종의 대가 없는 노동을 확장하는 일견 역설적인 방식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현가능성 여부를 떠나 그것은 일종의 선물교환(gift exchange)을 통한 가치관계의 파괴를 주장하는 셈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주장이다. 이 글의 맥락에서 이해한다면, 리프킨의 주장은 인간의 노동을 시장교환관계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오히려 그것이 갖는 열린 체계의 구성인자로서의 중요성을 회복하자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남훈(1994),「생산가격체계에서 리카도적 편향을 제거하기 위하여」,『한신정치경제학연구』창간호, 한신대학교 한신경제과학연구소
류동민(1996),「표준적 생산가격체계의 동학화 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사회경제평론』제9집, 한국사회경제학회
이상헌(1996),「경제학과 신자유주의」,『이론』15, 이론동인
홍훈(1995),「가치와 경제의 자율성」, 한국사회경제학회 엮음,『가치이론논쟁』, 풀빛
佐藤良一(1990),「オ-トメ-ションと勞 價値說の妥當性」,『勞 價値說の現代的意義』, 經濟理論學會年報 第27集
森嶋通夫(1995),『思想으로서의 近代經濟學』, 李承茂 옮김, 비봉출판사
Abraham-Frois, G. & E. Berrebi(1979), Theory of Value, Prices and the Accum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Bidet, J.(1989), 今村仁司譯,『資本論をどう讀か』, 法定大學出版局
Brody, A.(1970), Proportions, Prices and Planning : A Mathematical Restatement of the Labor theory of Value,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De Vroey, M.(1985), "La Th orie du Salaire de Marx : Une Critique H t rodoxe," Revue Economique, vol.36, no.2
Lipietz, A.(1982), "The So-Called 'Transformation Problem' Revisited," Journal of Economic Theory, vol.26, no.1
Lippi, M.(1979), Value and Naturalism in Marx, New Left books
Mandel, E.(1975), Late Capitalism, New Left books
Morris-Suzuki, T.(1986), "Capitalism in the Computer Age," New Left Review, no.160
Pack, Spencer J.(1985), Reconstructing Marxian Economics : Marx Based upon A Sraffian Commodity Theory of Value, Praeger
Polanyi, K.(1991),『거대한 변환 : 우리시대의 정치적·경제적 기원』, 박현수 옮김, 민음사
Rifkin, J.(1996),『노동의 종말』, 이영호 옮김, 민음사
Semmler, W.(1984), Competition, Monopoly and Differential Profit Rates, Columbia University Press
Sraffa, P.(1960),『商品에 의한 商品生産』, 박찬일 역, 비봉출판사
Steedman, I.(1984), "Robots And Capitalism : A Clarification," New Left Review, no.151
Walras, L.(1954), Elements of Pure Economics, trans. by W. Jaff , George Allen and Unwin Ltd.
Webster, F.(1997),『정보사회이론』, 조동기 역, 사회비평사
) 정보 및 지식의 상품화에 대한 개별적·조직적 저항운동―심지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해킹까지도―이 지닌 진보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이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정보의 민주적 공유라는 과제를 이룩할 것인가가 중요한 정치적 과제로 제시된다. 맥락은 약간 다르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노동의 종말'에 대한 대안으로 비영리적인 제3부문의 확장을 제시하는 Rifkin(1996)의 논의는 시사적이다. 즉,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라는 문제를 자원봉사 같은 일종의 대가 없는 노동을 확장하는 일견 역설적인 방식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현가능성 여부를 떠나 그것은 일종의 선물교환(gift exchange)을 통한 가치관계의 파괴를 주장하는 셈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주장이다. 이 글의 맥락에서 이해한다면, 리프킨의 주장은 인간의 노동을 시장교환관계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오히려 그것이 갖는 열린 체계의 구성인자로서의 중요성을 회복하자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남훈(1994),「생산가격체계에서 리카도적 편향을 제거하기 위하여」,『한신정치경제학연구』창간호, 한신대학교 한신경제과학연구소
류동민(1996),「표준적 생산가격체계의 동학화 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사회경제평론』제9집, 한국사회경제학회
이상헌(1996),「경제학과 신자유주의」,『이론』15, 이론동인
홍훈(1995),「가치와 경제의 자율성」, 한국사회경제학회 엮음,『가치이론논쟁』, 풀빛
佐藤良一(1990),「オ-トメ-ションと勞 價値說の妥當性」,『勞 價値說の現代的意義』, 經濟理論學會年報 第27集
森嶋通夫(1995),『思想으로서의 近代經濟學』, 李承茂 옮김, 비봉출판사
Abraham-Frois, G. & E. Berrebi(1979), Theory of Value, Prices and the Accum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Bidet, J.(1989), 今村仁司譯,『資本論をどう讀か』, 法定大學出版局
Brody, A.(1970), Proportions, Prices and Planning : A Mathematical Restatement of the Labor theory of Value,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De Vroey, M.(1985), "La Th orie du Salaire de Marx : Une Critique H t rodoxe," Revue Economique, vol.36, no.2
Lipietz, A.(1982), "The So-Called 'Transformation Problem' Revisited," Journal of Economic Theory, vol.26, no.1
Lippi, M.(1979), Value and Naturalism in Marx, New Left books
Mandel, E.(1975), Late Capitalism, New Left books
Morris-Suzuki, T.(1986), "Capitalism in the Computer Age," New Left Review, no.160
Pack, Spencer J.(1985), Reconstructing Marxian Economics : Marx Based upon A Sraffian Commodity Theory of Value, Praeger
Polanyi, K.(1991),『거대한 변환 : 우리시대의 정치적·경제적 기원』, 박현수 옮김, 민음사
Rifkin, J.(1996),『노동의 종말』, 이영호 옮김, 민음사
Semmler, W.(1984), Competition, Monopoly and Differential Profit Rates, Columbia University Press
Sraffa, P.(1960),『商品에 의한 商品生産』, 박찬일 역, 비봉출판사
Steedman, I.(1984), "Robots And Capitalism : A Clarification," New Left Review, no.151
Walras, L.(1954), Elements of Pure Economics, trans. by W. Jaff , George Allen and Unwin Ltd.
Webster, F.(1997),『정보사회이론』, 조동기 역, 사회비평사
추천자료
기신론에 나타난 각의 논리
마르크스의 소외된 노동과 사회주의의 논리
현대소설 이론의 통합적 논리 구축을 위한 반성적 소고
거시 교육사회학론의 재 생산 논리와 한계에 대해
POSCO의 민영화 (민영화의 논리와 원리)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의 경제논리와 사업타당성에 관한 검토
현대 사회문제와 기독교기관의 사회복지 참여논리 및 과제
과학철학의 탐구범위(과학철학, 논리실증주의, 포퍼, 쿤, 라카토슈)
화(和)의 논리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나의소감 총체적 조사분석
사회투자 예산 접근의 논리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현실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
연언과 선언 (명제, 논리)
이중 청자와 감상의 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