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체제의 문제점과 개혁 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경제위기와 재벌경영

제1절 과잉중복투자

제2절 무분별한 다각화

제3절 방만한 차입경영

제3장 재벌체제의 문제점과 개혁안

제1절 재벌체제의 문제점과 배경

제2절 재벌체제의 개혁안

제4장 IMF 체제 이후 재벌체제의 전망

제1절 IMF와 새정부의 재벌개혁안

제2절 재벌체제 변화의 전망과 모색

제5장 결론 -- 진정한 재벌개혁을 위하여

본문내용

경영을 일삼았다. 경제력집중, 왜곡된 소유구조, 취약한 기업지배구조 등 주로 민주성의 차원에서 제기되었던 재벌체제의 문제점들이 경영의 심각한 비효율성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이것은 재벌의 수익성 하락과 도산 그리고 금융기관의 부실화로 이어졌고 결국 한국의 대외신뢰도 하락과 함께 외환위기를 결과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재벌체제는 경제위기의 책임을 지고 근본적으로 개혁되어야만 한다. 특히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기업구조조정 등 기업구조차원의 개혁을 넘어서서 기업지배구조와 소유구조 차원의 개혁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근본적인 재벌개혁을 위해서는 첫째, 총수의 전횡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업지배구조를 확립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경영의 의사결정이 기업 이해당사자의 참여하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동자 경영참가의 확립, 금융기관의 경영감시 제고 등이 필요하다. 둘째, 외부적으로 재벌체제를 규율하기 위하여 금융시장을 정상화시키고 특히 정부, 재벌로부터 은행의 경영을 독립시켜야 할 것이다. 세째, 왜곡·집중된 재벌의 소유구조 개선과 부실경영의 책임이 있는 총수의 퇴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소유구조 개혁과 총수퇴진은 기업지배구조의 실질적 개선을 통한 효율성의 상승과 함께 재벌체제의 민주적 개혁을 이룬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재벌개혁이 근본적이고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총수의 퇴진과 소유구조의 개혁이 가장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총수의 퇴진과 소유구조 개혁을 바탕으로 할 때에만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기업지배구조의 확립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합리적이면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업구조의 조정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왜곡되고 집중된 소유에 기초하여 독재를 행사하고 있는 총수를 퇴진시키고 노동자 등 이해당사자의 참여에 기초한 기업지배구조를 확립하는 진정으로 '민주적'인 개혁, 그리고 공정한 경쟁 및 효율적 경영을 가능케 하는 '시장경제', 특히 그 '규율'의 확립이 재벌체제에 대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재벌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사회세력으로 몇몇 기업구조조정 조치를 넘어서는 근본적 재벌개혁의 요구를 단호하게 거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재벌개혁을 위한 국민의 요구를 모으고 이에 기초하여 강력하고 일관된 재벌개혁정책을 강제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벌기업을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국민기업으로 변화시킬 때, 현재의 경제위기는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Eun-mi Kim, 'From Dominance to Symbiosis : State and Chaebol in Korea', Pacific Focus, III (2), Fall, 1988
Jung-en Woo, "Race to the Swift", Colombia University Press, 1991
Jong-Chan Rhee, "The state and industry in South Korea --- the limits of the authoritarian state", Routledge, 1994
김기원(1997), "재벌의 근본적 개혁방안," 민노총 토론회, 1997. 12. 13.
김기원(1998), "한국 재벌체제의 지양에 관한 일고찰,"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제5차 심포지엄 자료집.
김대환(1997), "한국에서의 노동자경영참가방안," 『경제와 사회』 겨울호.
김상조(1996), "재벌과 금융," 『재벌과 언론』 학단협 제9회 연합심포지엄 자료집.
김상조(1994), "5대 및 10대재벌의 차입금 및 생산성 동향", 사회경제평론 7호
남기곤(1998), "한국 노동시장의 수량적 유연성 현황,"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제5차 심포지엄 자료집.
박홍재(1997), "재벌연구의 반성과 과제," 『한국경제의 위기와 개혁과제』, 풀빛.
배영목(1998), "1990년대 금융자유화와 외환 금융위기,"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제5차 심포지엄 자료집.
서동원(1996), "재벌과 공정거래제도," 한국산업조직학회(편), 『한국경제의 진로와 대기업집단』, 기아경제연구소.
소병희(1995), "한국기업의 소유집중과 경제효율성," 『한국의 대기업, 누가 소유하며 어떻게 지배되는가』, 포스코경영연구소.
유승민(1996), "재벌의 공과 : 재벌논쟁에 대한 비판', 한국산업조직학회(편), 『한국경제의 진로와 대기업집단』, 기아경제연구소.
유승민(1997), "기업경영의 투명성 제고 및 기업지배구조의 선진화 토론회, KDI, 1997. 8. 18.
유승민(1996), 『나누면서 커간다』, 미래미디어.
유철규(1997), "한국의 금융자유화와 금융개혁의 성격," 『한국경제의 위기와 개혁과제』, 풀빛.
윤진호(1998), "IMF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위기,"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제5차 심포지엄 자료집.
이동걸(1996), "산업자본과 금융자본," 한국산업조직학회(편), 『한국경제의 진로와 대기업집단』, 기아경제연구소.
이영기(1996), 『글로벌 경쟁시대의 한국기업소유지배구조』, 한국개발연구원.
이재형(1996), 『우리나라 재벌의 현황과 특징』, 한국산업조직학회(편), 『한국경제의 진로와 대기업집단』, 기아경제연구소.
이재희(1996), "한국재벌의 지배구조개편방안," 한국사회경제학회(편), 『사회경제평론』 9.
일본은행, 『경제통계연보』, 각년호.
장상환(1997), "한국사회의 재벌과 재벌해체의 필요성," 『효원』 97년 겨울, 부산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장지상(1996), "한국재벌의 기업지배구조 : 문제의 소재와 개선방향," 한국산업조직학회(편), 『한국경제의 진로와 대기업집단』, 기아경제연구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각년호.
한국산업은행, 『설비투자계획조사』, 각년호.
홍영기(1997),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 현황과 개혁방안," 『한국경제의 위기와 개혁과제』, 풀빛.
홍영기, '기업집단의 소유구조와 개편방안', 『이론』 15호,

키워드

재벌,   문제점,   IMF
  • 가격3,3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