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 박혁거세 신화
5) 정읍사
♧ 정읍사의 이설(異說)
5) 정읍사
♧ 정읍사의 이설(異說)
본문내용
서, 여인의 아름답고 깨끗한 마음을 그대로 느끼게 한다. 한편, 이 노래는 망부석(望夫石) 설화를 연상하게 하는 남편에 대한 아내의 정성을 노래한 작품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안녕의 수호자인 달에게 비는 여인의 모습이나 밤길을 걱정하는 마음이 우의적으로 표현된 것은 작품의 함축적 의미를 깊게 해 준다.
♧ 정읍사의 이설(異說)
여기서는 행상 나간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순박한 정서를 달에 빌어 노래했다는 양주동, 이병기 등의 전통적 해석을 따랐다. 중종 때에 조신(朝臣)들에 의해 이 '정읍사'가 '동동'과 함께 남녀 간
음사(淫詞)라하여 폐기되었다는 기록도 있고 보면 단순히 남편을 걱정하거나 정절을 노래한 것만이라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순결한 아내의 노래라면 음사로 규정될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
♧ 정읍사의 이설(異說)
여기서는 행상 나간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순박한 정서를 달에 빌어 노래했다는 양주동, 이병기 등의 전통적 해석을 따랐다. 중종 때에 조신(朝臣)들에 의해 이 '정읍사'가 '동동'과 함께 남녀 간
음사(淫詞)라하여 폐기되었다는 기록도 있고 보면 단순히 남편을 걱정하거나 정절을 노래한 것만이라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순결한 아내의 노래라면 음사로 규정될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