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감염을 초래하는 주요 미생물

II. 감염 유형

III.병원감염

IV.감염회로

V.감염과 면역

VI.감염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II사정

X.수행

본문내용

- 소규모 입자 연무질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 대상자 병실출입하는 모든사람
*오염된 개인보호장구를 벗는 법
@장갑이 가장 오염된 것으로서 먼저 장갑을 벗는다.
@마스크의 끈을 잡아 마스크를 벗는다
@가운을 벗는다
@안경을 벗는다.
5. 주요 감염대상자의 격리조치
1)호흡기계 전염병환자는 격리 방법에 따라 격리
2)호흡기 감염이 있는 직원은 고위험군. - 대상자의 직접치료 및 간호에서 제외
3)MRSA로 판명되면 침상 위 명찰에 스티커 붙이기
@1인실 이용이 가능할때는 첩촉격리 한다.
@다인실 이용시 같은 병의 대상자끼리 모아 격리 하고 한쪽 구석에 침상배치
@손 피부 옷 린넨 등에 묻어서 감염원이 되어 접촉 감염을 일으키고 공기감염의 가능성은 적으나 대상자의 객담 등이 튀는 경우 감염원
@적절한 손씻기나 격리법 장갑사용
@마스크와 가운을 착용
4)요로감염
@개인용소변기 이용하여 비운다
@물과 비누 세척하고 필요시 소독제로 소독하여 청결함 유지
@도뇨관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 중에서 요로감염이 있는 대상자와 감염이 없는 대상자는 격리시켜 교차감염의 기회를 줄인다. - 손씻기
5)격리 대상자이 심리간호 - 감각박탈 및 자존심 저하를 호소 -감염환자들은 스스로를 타인에게 탐탁치 않은 존재로 여기며 자신의 존재가치 부끄럽게 여긴다.
*예방.- 간호중재
@대상자의 자극에 대한 요구를 사정
@아동 대상자를 위한 장난감 및 동화책 제공 성인 대상자를 위한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 청취 등과 같은 전환요법을 시행
@감염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를 돕기 위해 시도되는 시술들을 설명해준더
@대상자의 상태 혹은 진단에 준한 조치 이상의 엄격한 조치를 남용하지 않는다.
6.멸균법
*멸균법 - 수술실 분만실 특수진단이 이루어지는 영역.
주사기를 이용한 투약. 상처 드레싱 교환. 도뇨관삽입. 정맥주사. - 일반 간호시 에도 멸균법 사용이 필요 수술실의 경우와 동일한 외과적 무균법의 모든 원리가 적용
1)멸균장갑
*개방식 - 수술실 외부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식
*폐쇄식 - 간호사가 멸균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는 방식
*라텍스 - 민감하고 섬세한작업
*비닐 - 간단한작업
2)멸균영역
=미생물이 없는 영역
=멸균방포를 드리운 곳의 안쪽 부분을 멸균영역으로 간주하고 작업한다.
#외과적 무균 원리와 그와 관련된 활동
*원리
멸균영역내 사용되는 모든 물품을 멸균된것이어야한다
*활동
@사용전의 모든 물품들은 건열 습열 또는 화학적 멸균 등을 통해 적절히 멸균
@유효기간에 한해 보관될 수 있다.
@이미 개봉되었거나 뒤틀리거나 구멍난 경우 . 젖은경우는 비멸균된것으로간주
@청격하고 물기가 없어야한다.
@사용전 물품의 라벨에 있는 멸균일과 기간을 확인
@색상변화가 불분명한 경우 꾸러미를 비멸균품으로 간주
*원리
멸균품이 비멸균품과 접촉되면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한다.
*활동
@개방상처와 접촉되거나 체강내에 들어갈 멸균품들은 멸균감자나 멸균장갑을 낀 손으로 다루어야한다
@비멸균품과 접촉한 멸균품들은 폐기하거나 재멸균
@멸균품인지 아닌지 의심스러우면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원리
시야를 벗아난 멸균품이나 허리선 아래에 위치한 멸균품들은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활동
@일단 주의를 벗아난 경우 멸균영역은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멸균품은 항상 시야내에 있어야 한다
@멸균가운의 앞부분 중 허리 위에서 어깨까지 그리고 팔꿈치 위 5센티에서부터 소맷부리까지말 멸균지역
@멸균장갑을 낀 손은 시야내 및 허리선 위에만 있어야하며 멸균품만 접촉하여야한다.
@수술실 등에서의 멸균방포가 드리워진 테이블은 단지 테이블 위만 멸균된 것으로 간주
@일단 멸균영역이 멸균상태가 깨어지면 시술이 이루어지기 전 다시 만들어야함
*원리
멸균품을 공중 미생물에 오랫동안 놓아둘 경우 비멸균 된 것으로 될 수 있다.
*활동
@멸균시술이 이루어지는 곳의 문을 닫아두며 출입통제
@멸균시술이 이루어지는 곳은 살충제를 이용하여 자주소독
@모발로 인해 멸균영역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발상태 청결히. 손질하거나 모자로 덥는다.
@수술실 분만실 화상병동에서는 외과적 모자 착용
@멸균영역에 재채기 기침 하지 않는다
@경미한 상기도 감염을 앓고 있는 간호사는 멸균영역에서 작업을 삼가거나 마스크 착용
@말이 필요한 경우 멸균영역 반대편에서 머리를 돌려서 한다
@멸균장갑을 끼지 않은 손이 위로 올라가서는 안된다.
*원리
액체는 중력의 작용방향에 따라 흐른다
*활동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기있는 감자의 끝 부분은 손잡이 보다 아래에 위치
끝부분이 손잡이 보다 높게 위치할 경우 물기가 손잡이 쪽으로 흐르게 되고, 손에 의해 오염되게 한다.
@외과적 손씻기 하는동안, 손은 팔꿈치보다 높게 둠으로써 전박에 있는 오염원이 손을 오염시키지 않게 한다
*원리
멸균품이 습기에 의해 젖게되는 경우 모세관현상에 의해 멸균영역 아래의 미생물들에 의해 오염된다
*활동
@멸균방수포를 멸균물품 아래에 깔아둔다
멸균식염수나 방부용액과 같은 액체들은 종종 멸균영역내의 용기에 붓게 되는데 멸균영영이 이러한 액체방울에 의해 젖게 되더라도 멸균방수포가 오염을 막아준다
@멸균품을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멸균커버 씌워둔다.
@멸균포가 물기에 젖어 더 이상 멸균 방어막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즉시 새것으로 교체
*원리
멸균영역의 가장 자리는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활동
@개봉한 멸균포는 모든 가장자리에서 2.5센티 되는 끝부분의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모든 멸균품은 멸균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2.5센티 안쪽에 둔다
@멸균영역의 가장자리 바Rd에 떨어진 모든 물건은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원리
피부는 멸균할 수 없으므로 비멸균된 것으로 간주
*활동
@멸균물품을 다루기 위해서는 멸균장갑이나 멸균감자를 이용
@외과적 무균 시술을 하기 전에는 미생물의 수를 줄이기 위해 손을 씻는다.
*원리
외과적 무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이 양심 정직 그리고 명확성이 기본적으로 필요한다.
*활동
@멸균품이 비멸균적인 것으로 되더라도 외관은 변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멸균품이 오염되는 것을 눈으로 본사람은 이를 시정하거나 보고해야한다.
@다음 기회를 위해 미리 멸균영역을 만들지 않아야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7.08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