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회 세무회계 3급 기출문제
본문내용
세액 \15,000,000
㉡ 종합소득세감면세액 \500,000
㉢ 종합소득세세액공제 \1,000,000
㉣ 중간예납세액 \700,000
㉤ 원천징수세액 \600,000
15. 다음 자료에 의하여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자진납부세액을 구하시오.
① \10,000,000 ② \12,200,000 ③ \12,500,000 ④ \13,000,000 ⑤ \13,500,000
답 ②
16. 기타소득의 매건마다 과세 최저한에 해당하는 것은?
① \5,000이하 ② \10,000이하 ③ \15,000이하 ④ \20,000이하 ⑤ \25,000이하
답 ②
17. 양도소득세 세율에서 미등기 양도자산의 세율은?
① 25% ② 45% ③ 55% ④ 65% ⑤ 70%
답 ④
18. 조세 특례제한법에서 중소기업 해당업종이 아닌 것은?
① 제조업 ② 건설업 ③ 부가통신업
④ S/W연구 및 개발업 ⑤ 금융업
답 ⑤
19. 소수공제자 추가공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소득만 있는 거주자에게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2 근로소득이 있는 비거주자에게도 적용된다.
3 기본공제대상인원수가 당해 거주자 1인인 경우에는 연 100만원을 공제한다.
4 기본공제대상인원수가 당해 거주자 본인을 포함하여 2인인 경우에는 1인당 연 50만원을 공제한다.
5 기본공제·추가공제와 소수공제자 추가공제를 합한 인적공제액이 종합소득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공제액은 이를 없는 것으로 한다.
답 ②
20. 다음중 소득세법상 원천징수 대상이 되는 것은?
① 저작자 외의 자가 저작권을 양도하고 받는 대가
② 세무사의 장부기장료
③ 점포임대료
④ 점포 임차권의 양도대가
⑤ 상표권의 양도대가
답 ①
21. 의료비공제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을종 근로소득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② 의료비가 당해연도 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금액을 연 120만원의 한도 내에서 공제함을 원칙으로 한다.
③ 진찰, 진료를 위한 의료비는 공제대상이 되나, 질병 예방을 위하여 비용은 공제 대상이 아니다.
④ 치료목적을 위한 한약구입비용은 공제대상이 아니다.
⑤ 기본공제대상자인 부친을 의해 지급한 의료비는 부친의 연령이나 소득금액과 관계없이 의료비 공제대상이 된다.
답 ⑤
22.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판단의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배우자와 직계비속은 동거여부와 관계없이 기본공제대상자가 된다.
② 기본공제는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는 물론 사업소득이 있는 거주자도 적용을 받을 수 있다.
③ 연간소득이 99만원인 장애자인 아들(연령 22세)은 기본공제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④ 거주자의 배우자로서 연간소득금액(이자, 배당과 부동산 임대소득 제외)이 100만원 이하인 자가 해당된다.
⑤ 거주자의 형제자매도 20세 이하인 경우에 생계를 같이하면 해당된다.
답 ③
23. 소득세법상 기장세액공제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복식부기 의무자도 해당된다.
② 기장세액공제와 관련된 장부와 증빙서류를 과세표준확정신고 종료일부터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③ 산림소득에 대하여도 기장세액공제가 적용된다.
④ 이자소득, 배당소득도 기장하여 신고한 경우 기장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⑤ 기장세액공제액은 금액한도가 없다.
답 ③
24. 다음 중 종합소득에 대한 소득세 차감납부세액 계산상 기납부세액으로 차감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수시부과 세액
② 원천징수납부세액
③ 중간예납세액
④ 토지 등 매매차익 예정신고산출세액
⑤ 재해손실세액
답 ⑤
25.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닌 것은?
① 아파트 당첨권의 양도
② 전세권의 양도
③ 점포임차권의 양도
④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
⑤ 콘도회원권
답 ③
㉡ 종합소득세감면세액 \500,000
㉢ 종합소득세세액공제 \1,000,000
㉣ 중간예납세액 \700,000
㉤ 원천징수세액 \600,000
15. 다음 자료에 의하여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자진납부세액을 구하시오.
① \10,000,000 ② \12,200,000 ③ \12,500,000 ④ \13,000,000 ⑤ \13,500,000
답 ②
16. 기타소득의 매건마다 과세 최저한에 해당하는 것은?
① \5,000이하 ② \10,000이하 ③ \15,000이하 ④ \20,000이하 ⑤ \25,000이하
답 ②
17. 양도소득세 세율에서 미등기 양도자산의 세율은?
① 25% ② 45% ③ 55% ④ 65% ⑤ 70%
답 ④
18. 조세 특례제한법에서 중소기업 해당업종이 아닌 것은?
① 제조업 ② 건설업 ③ 부가통신업
④ S/W연구 및 개발업 ⑤ 금융업
답 ⑤
19. 소수공제자 추가공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소득만 있는 거주자에게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2 근로소득이 있는 비거주자에게도 적용된다.
3 기본공제대상인원수가 당해 거주자 1인인 경우에는 연 100만원을 공제한다.
4 기본공제대상인원수가 당해 거주자 본인을 포함하여 2인인 경우에는 1인당 연 50만원을 공제한다.
5 기본공제·추가공제와 소수공제자 추가공제를 합한 인적공제액이 종합소득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공제액은 이를 없는 것으로 한다.
답 ②
20. 다음중 소득세법상 원천징수 대상이 되는 것은?
① 저작자 외의 자가 저작권을 양도하고 받는 대가
② 세무사의 장부기장료
③ 점포임대료
④ 점포 임차권의 양도대가
⑤ 상표권의 양도대가
답 ①
21. 의료비공제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을종 근로소득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② 의료비가 당해연도 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금액을 연 120만원의 한도 내에서 공제함을 원칙으로 한다.
③ 진찰, 진료를 위한 의료비는 공제대상이 되나, 질병 예방을 위하여 비용은 공제 대상이 아니다.
④ 치료목적을 위한 한약구입비용은 공제대상이 아니다.
⑤ 기본공제대상자인 부친을 의해 지급한 의료비는 부친의 연령이나 소득금액과 관계없이 의료비 공제대상이 된다.
답 ⑤
22.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되는지 여부의 판단의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배우자와 직계비속은 동거여부와 관계없이 기본공제대상자가 된다.
② 기본공제는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는 물론 사업소득이 있는 거주자도 적용을 받을 수 있다.
③ 연간소득이 99만원인 장애자인 아들(연령 22세)은 기본공제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④ 거주자의 배우자로서 연간소득금액(이자, 배당과 부동산 임대소득 제외)이 100만원 이하인 자가 해당된다.
⑤ 거주자의 형제자매도 20세 이하인 경우에 생계를 같이하면 해당된다.
답 ③
23. 소득세법상 기장세액공제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복식부기 의무자도 해당된다.
② 기장세액공제와 관련된 장부와 증빙서류를 과세표준확정신고 종료일부터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③ 산림소득에 대하여도 기장세액공제가 적용된다.
④ 이자소득, 배당소득도 기장하여 신고한 경우 기장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⑤ 기장세액공제액은 금액한도가 없다.
답 ③
24. 다음 중 종합소득에 대한 소득세 차감납부세액 계산상 기납부세액으로 차감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수시부과 세액
② 원천징수납부세액
③ 중간예납세액
④ 토지 등 매매차익 예정신고산출세액
⑤ 재해손실세액
답 ⑤
25.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닌 것은?
① 아파트 당첨권의 양도
② 전세권의 양도
③ 점포임차권의 양도
④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
⑤ 콘도회원권
답 ③
추천자료
법인세 인하(폐지)논쟁
법인세에 대하여
벤처 기업의 회계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에 대하여 논함
분식회계
기업가치평가모형에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과 이익조정의 영향
방통대..경영학과 2학년 (관리회계원리)..공통...1.원가행동의 유형에 따른 원가의 종류를 설...
분석회계에 대해서
법인세의 정의와 계산
의료기관의 회계기준에 관한 조사
법인세의 사업연도와 납세지
[소득세][사업소득세][양도소득세][부가가치세][취득세][법인세][교통세][세제][납세][국방세...
[부담, 법인세부담, 개인세부담, 금융비용부담, 재정부담, 적정부담, 의무부담, 보험료부담]...
[세금][세금과 상속세][세금과 등록세][법인세][소득세][증여세][지대세][부가가치세]세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