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사업 [분석/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만금 간척사업 [분석/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들어가는 말)

2.본론
(1)새만금 간척사업의 개요
(2)새만금 간척사업의 현황
(3)새만금 간척사업의 필요성
(4)새만금 간척사업의 문제점

3.결론(해결책과 전망)

본문내용

바지락은 1,000톤이던 것이 60∼70톤으로, 백합류와 가무락은 계통판매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서식처가 간석지가 아닌 해수에 잠겨있는 조하대인 피조개를 제외하고는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으며 미끼생물류서 한때는 상당한 수출량을 보였던 갯지렁이 등은 100% 소멸될 것이라 보여지고 있어 수산자원의 고갈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전북지역의 수산물 생산뿐만이 아니라 전라남도, 충청도 지역 등 서해안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또한 만경강, 동진강 하구는 봄, 가을 도요·물떼새들이 통과하는 중요한 지역이다. 98년∼99년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습지보전연대회의 조사에 의하면 126,282 마리의 국제적으로 중요한 물새들이 확인되었다. 특히 검은머리갈매기, 재두루미, 등 희귀조류 다수가 서식하는 곳이 간척사업으로 그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다.
結論
이처럼 현재 새만금 간척사업을 찬성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인해 얻을 것도 있지만 잃게 될 것이 더 많다는 점이다. 환경은 단순히 금전적인 것으로만 측정할 수 없는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시화호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제대로 된 환경 영향 평가 없이 시행되는 사업은 그 결과의 비극성이 불을 보듯 뻔한 것이다. 지금까지 투자한 돈이 막대하기 때문에 중단해선 안된다라든가 지역 경제 안배 차원에서 해야한다는 논리에서 벗어나 더 나은 정책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제가 불거진 뒤 관련자를 처벌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을 것이라는 땜질식 처방이 아닌 환경법을 강화하고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7.19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