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전비언해 복합문의 의문법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머리

2. 복합문의 의문법 구조
2.1. 인용문의 의문법
2.2. 선택문의 의문법
2.3. 부정문의 의문법
2.4. 접속문의 의문법

3. 마무리

본문내용

데, 의문사 '엇디'이 내포문에 있고 이것이 내포문의 의문형어미 ' -ㄴ다'와 호응하지만 의문의 의미는 없다. 다만 상위문의 서술어 '힝거늘'이 생략된 경우는 의문형 어미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44) 힝리 供힝라 供狀人 伍倫全은 집이 江東 古縣前의셔 사다디라 본딪 宦家 子弟로 다 술 먹으며 돈 더다기링 아디 못힝노이다.(伍倫全,一, 47a)
(44)은 긴꼴부정문일지라도 '못+힝+노+이+다'의 형태는 의문의 의미가 없고 오직 서술의 의미만 있다. 다음은 종속접속문에 나타난 의문문에 대해 보도록 하자.
(45) ㄱ. 네 이 엇던 곳이완딪 도로혀 닐러웃다다 (伍倫全,一, 57a-57b)
ㄴ. 이 엇던 곳이완딪 네 도로혀 닐러웃다다 (伍倫全,一, 57a-57b)
(46) ㄱ. 너다 이 엇던 사링이완딪 敢히 이리 禮ㅣ 업스뇨. (伍倫全,一, 11a)
ㄴ. 敢히 너다 이 엇던 사링이완딪 이리 禮ㅣ 업스뇨. (伍倫全,一, 11a)
(47) ㄱ. 뎨 이 엇던 사링이완딪 나링 청힝딪뇨 (伍倫全, 六, 25b)
ㄴ. 금일이 이 엇던 시절이완딪 이러팅시 션빛의게 교만힝다뇨 (伍倫全, 八 , 20b)
ㄷ. 이러팅시 션빛의게 금일이 이 엇던 시절이완딪 교만힝다뇨 (伍倫全, 八 , 20b)
(45), (46), (47)에서와 같이 주절의 의문형어미 '-뇨'가 종속절의 의문사 '엇던'과 호응하면서 설명의문문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속적 연결어미 '-(관딪)완딪' < -기에>는 의문형 어미와 호응 관계를 가진다. 종속절 연결어미 '-완딪'가 나타나는 접속문에서는 '-뇨'형이 절대 우수하다.
(48) ㄱ. 힝 아디 못게라 므슴 善業을 지엇관딪 老舅爺의 養育成人홈을 엇고(伍倫全, 四, 11b)
ㄴ. 老舅爺의 養育成人홈을 힝 아디 못게라 므슴 선업을 지엇관딪 엇고
(48ㄱ)의 의문사 '므슴'은 종속절에 나타나 있고, 의문형어미 '-고'가 '-엇+고'의 형태로 주절에 나타나 있다. (48ㄴ)과 같이 종속절의 문장 성분 ' 힝 아디 못게라 므슴 선업을'을 주절로 이동하여도 문장 의미는 같다.
(49) ㄱ. 가히 힝 네 보라 금일이 엇더한 시절이완딪 安逸힝리오(伍倫全, 八 , 10a)
ㄴ. 네 보라 금일이 엇더한 시절이완딪 가히 힝 安逸힝리오(伍倫全, 八 , 10a)
(49ㄱㄴ)의 종속적 연결어미 '-완딪'가 주절의 의문형어미 '- 리오' 의 형태로 의문문을 형성하고 있다. 종속 접속문은 종속절에 의문사 '엇던/엇더/므슴'이 설명형 연결어미 '-완딪'와 종속절을 이루고 주절의 의문형어미 '-뇨, -다다, -엇고, -리오' 등 있다.
이 경우는 종속절의 의문사와 주절의 의문형어미가 서로 호응 관계를 가진다. 그것은 종속절이 주절 사이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50) 婆娘의 씨업관딪 뎌링 울어 므슴 힝리잇고 (伍倫全, 七 , 39a)
일반적으로 '-관딪'가 종속절이 되면 앞에 의문사가 오고 이에 일치하여 주절은 의문형으로 끝나나 (50)의 문장은 의문사 '므슴'이 주절에 나타나 있고 의문형어미 '-잇고' 역시 주절에 나타나 있다. 이 문헌에서는 의문사가 종속절에 나타나기도 하고 주절에 나타나가도 한다.
(51) 네 天公公이 이 네 집 老子ㅣ완딪 네 힝 죽디 아니코져 힝여든 곳 죽디 아니힝리 잇가 (伍倫全, 七 , 4a)- 네 拜티 아니 하면 내 香案을 다가거둠이 무던힝이다.
(51)의 구조는 전체 문장구조는 종속 접속문구조인데, 종속절에 '-완딪'가 나타나고 주절이 대등접속문을 형성하고 있다. 즉 '힝 죽디 아니코져 힝여든 곳 죽디 아니힝리잇가'에서 어미 '-어든'을 중심으로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루고 있다.
(52) 姆姆다 請컨대 안자 奴家ㅣ 前生의 므슴 惡業을 지엇관딪 나며 父母ㅣ 早亡힝고 두 눈이 머럿더니 힝 아디 못게라 므슴 善業을 지엇관딪 老舅爺의 養育成人 홈을 엇고(伍倫全,, 四, 11b)
(52)는 '-관되'를 중심으로 종속절( 종속절+ 종속절), 주절 + 의문사 등으로 되어 있는데, '---관딪, -----관딪, ----- 엇고'의 구성으로 열결어미 '-관딪'가 두 번 나타나고 어말어미와 의문형어미와 호응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종속절을 주절 사이로 이동한 것이다. 이 경우 아주 자연스럽게 의문사와 호응 관계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속접속문의 경우는 종속절의 의문사와 주절의 의문형어미가 내포문과는 달리 서로 떨어져 있어도 호응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마무리
1. 인용문 구성 의문문은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이 나타나 있는데, 직접의문문의 경우는 어말어미에 의문형어미가 나타나는 경우이고, 간접의문문은 내포문에 의문형어미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 문헌에서는 직접의문문이 간접의문문보다 더 생산적이다. 내포문의 어미 즉 간접의문문의 어미는 '-다고' '-다다' '-다가' '-힝힝' 등이 사용되고 있다.
2. 선택문 구성 의문문의 기저구조는 등위접속문 구조와 유사한데, 선행절의 동일 요소가 후행절에서 생략 현상이 나타난다. 이 선택의문문의 의문형어미는 '-다다 + -다다/-가 + -가/-냐 + -냐/-ㄹ 힝 + - ㄹ 힝' 등인데, 가부의 답변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판정의문문을 형성한다. 특히, '체언 + 의문 첨사'로 된 선택의문문과 '용언+ 의문형어미'로된 선택의문문의 생략 현상은 구분되는데, 전자는 후행절에 생략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후자는 후행절에 생략 현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체언에 붙는 의문 첨사와 용언에 붙는 의문형어미의 차이로 기인된다.
3. 부정문 구성 의문문은 용언인 경우는 모두 긴꼴부정문이 나타나며 의문형어미와 호응 관계를 가진다. 다만 '있다'의 경우는 '없다'로 나타난다.
4. 접속문 구성의 의문문은 등위접속문과 종속접속문에 두루 나타나는데, 등위접속문의 연결어미는 '-며'이고, 종속 연결어미는 '-고, -니,-관(완)딪' 등이다. 종속 연결어미 '-니'는 의문형어미와 호응관계를 가지는데 주절의 의문형어미 '-잇고','-리오''-냐','-뇨','-잇가', -다다' 등과 호응 관계를 가진다. 종속 연결어미 '-관(완)딪'의 경우는 주절의 의문형어미 '-다다' '-뇨', '-엇고' '-리오' 등과 호응 관계를 가진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7.2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