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전에 놓인 문인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풍류(風流)의 여운(餘韻)을 담고있는 일반 묵객(墨客)이나 시 서 화를 즐기는 관료의 기반을 둔 사대부의 문운(文運)을 품고있는 유형을 중심으로 한 문학자를 의미 한 것이다.
그러나 후대에 와서는 그 계급성이 무너지고 문인 정신의 의취만 남아서 시 서 화에 기준을 두고 있을 뿐이며 시가(詩歌) 휘곡(휘曲) 소설(小說)등을 주제로 하는 문학인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이 묵휘를 겸하는 경우에는 그들도 역시 문인의 조건에서 제외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에 있어서의 문인화에 대한 문인의 조건은 한정하지 않고 넓게 열려 있으나 문학화에 대한 정신을 고전에만 묶어둘 수 없는 고민을 해결해야 하는 것이 과제라 할 것이다.
그러나 후대에 와서는 그 계급성이 무너지고 문인 정신의 의취만 남아서 시 서 화에 기준을 두고 있을 뿐이며 시가(詩歌) 휘곡(휘曲) 소설(小說)등을 주제로 하는 문학인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이 묵휘를 겸하는 경우에는 그들도 역시 문인의 조건에서 제외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에 있어서의 문인화에 대한 문인의 조건은 한정하지 않고 넓게 열려 있으나 문학화에 대한 정신을 고전에만 묶어둘 수 없는 고민을 해결해야 하는 것이 과제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