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갑신정변 때의 14개조 정강
2-[ 분 석 ]
3-역사적 평가
2-[ 분 석 ]
3-역사적 평가
본문내용
과 일본과의 결탁은 당시 역사적 조건하에서 불가피한 것이었으며, 우리 나라의 민주주의·민족주의·근대화 운동의 선구로서 역사 발전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신용하, 강재언). 둘째로, 확고한 근대 사상의 정립 없이 정권 탈취를 목적으로 시도되었고 방법상 민중적 지지 기반의 결여와 일본과의 결탁도 잘못된 것이며 결과도 보수 세력의 장기 집권을 가능하게 하여 개화 운동의 맥을 단절하게 하고 외세의 지배를 촉진하게 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신국수, 백종기). 그러나 갑신정변의 실패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하더라도, 갑신정변은 우리 역사상 국민 주권주의를 지향한 최초의 정치 운동이었고 부르조아적 개혁 운동의 시발점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강만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