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사(文學史)
2- 특징
3- 문학의 양상
2- 특징
3- 문학의 양상
본문내용
. 이상의 '날개', 박태원의 '천변 풍경',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채만식의 '레디 메이드 인생', 이효석의 '장미 병들다', 유진오의 '김 강사와 T 교수' 등이 그것이다.
⑥ 가족사 소설이 등장하였다.
역사적 흐름 속에 놓인 가족의 뚠명을 그린 소설들이 쓰여졌다.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태평 천하' 등이 그것이다.
※ 가족사 소설 :'Familyromance'(영),'Familien Roman'(독)의 역어. 가족의 삶이나 내력을 여러 대에 걸쳐 소설화한 것으로 가족의 계보,세대 간의 갈등,가족의 변동과 붕괴 등을 다룬다.
㉠ 서구 :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 가(家)의 형제들', 졸라의 '루공 마카르 총서', 토마스 만의 '부린 부르크 가' 등
㉡ 우리 나라 : 고전 소설로 '유씨 삼대록', '조씨 삼대록', 현대 소설로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태평 천하' 등
⑥카프(KAPF) 문학 등 사회주의 경향의 작품이 퇴조하였다.
1930년대 들어 일제의 탄압이 가혹해 짐에 따라 카프가 해산되었다. 이후 카프에 소속된 문인들은 세태나 풍속을 비판하는 소설, 자기의 내면을 반성하는 소설 등으로 주제를 바꾸었다.
3. 희곡과 시나리오
(1) 특징
① 해외 문학파가주축이 된 <극예술 연구회>, <극연좌>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이 있었다.
② 민족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사실주의 희곡이 창작, 공연되었다.
③ 임선규의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등의 통속극과 대중 영화가 활발히 제작되었다.
4. 수필(隨筆)
(1) 특징
① 본격적인 수필 이론이 소개되었다.
해외 문학파와 외국 문학을 전공한 이양하 등에 의해 외국의 수필및 그 이론이 도입되었다.
②전문적인 수필가의 등장으로 수필 문학이 정립되었다.
수필이 독자적 장르로 인식되고, 전문적인 수필가가 등장하면서, 수필이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자리를 잡았다.
③ <동광>, <조광>, <박문> 등에 발표되었다.
5. 평론(評論)
(1) 특징
① 순수 문학을 옹호하였다.
1920년대에 유행하였던 목적 문학에 대한 반발로서 예술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태도가 제시되었다. 박용철, 백철, 김환태, 김문집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② 휴머니즘론을 전개하였다.
백철, 김오성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개성을 무시한 집단과 사회를 묘사하는 대신, 사회적 실천 관계에서 개인적 인간을 통일적으로 묘사해야 한다는 '인간 묘사론'의 입장에 선 것이다. 그 후, 이러한 심리적 인간 묘사론이 비판되자, 개성적인 것의 극치가 창작상에 서는 보편성을 멀 수 있다는 식으로 체계화되었다.
③ 주지주의 문학론을 펼쳤다.
영. 미 계통의 문학을 전공한 최재서, 김기림 등에 의해 엘리어트, 리차즈 등의 이론이 받아들여져, 대상을 대하는 태도가 지적(知的)이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주지주의 시론(時論) : 의미를 말의 다른 요소인 소리나 모양과 결합시켜 단일체로 파악하여, 가장 정확한 계산에 의해 운용함으로써 명석하고 분명한 것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과학주의의 입장이다.
○ 최재서의 주지주의 : 흄(Hulme,T.E.)과 엘리엇 그리고 리차즈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작품의 내면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 해부하려는 의욕을 보여 주었다.
④ 풍자 문학론이 대두되었다.
휴머니즘론이 창작과 비평에 아무런 실질적 방법론을 제공하지 못했던 당시 문단의 혼란을 타개하기 위해 풍자 문학이 거론되었는데, 이는 현실을 직접 드러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상당한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⑤ 작가론도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는 개별 작가에 대한 연구도 관심의 한 분야였는데, 김동인의 '춘윈 연구'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⑥ 가족사 소설이 등장하였다.
역사적 흐름 속에 놓인 가족의 뚠명을 그린 소설들이 쓰여졌다.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태평 천하' 등이 그것이다.
※ 가족사 소설 :'Familyromance'(영),'Familien Roman'(독)의 역어. 가족의 삶이나 내력을 여러 대에 걸쳐 소설화한 것으로 가족의 계보,세대 간의 갈등,가족의 변동과 붕괴 등을 다룬다.
㉠ 서구 :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 가(家)의 형제들', 졸라의 '루공 마카르 총서', 토마스 만의 '부린 부르크 가' 등
㉡ 우리 나라 : 고전 소설로 '유씨 삼대록', '조씨 삼대록', 현대 소설로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태평 천하' 등
⑥카프(KAPF) 문학 등 사회주의 경향의 작품이 퇴조하였다.
1930년대 들어 일제의 탄압이 가혹해 짐에 따라 카프가 해산되었다. 이후 카프에 소속된 문인들은 세태나 풍속을 비판하는 소설, 자기의 내면을 반성하는 소설 등으로 주제를 바꾸었다.
3. 희곡과 시나리오
(1) 특징
① 해외 문학파가주축이 된 <극예술 연구회>, <극연좌>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이 있었다.
② 민족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사실주의 희곡이 창작, 공연되었다.
③ 임선규의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등의 통속극과 대중 영화가 활발히 제작되었다.
4. 수필(隨筆)
(1) 특징
① 본격적인 수필 이론이 소개되었다.
해외 문학파와 외국 문학을 전공한 이양하 등에 의해 외국의 수필및 그 이론이 도입되었다.
②전문적인 수필가의 등장으로 수필 문학이 정립되었다.
수필이 독자적 장르로 인식되고, 전문적인 수필가가 등장하면서, 수필이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자리를 잡았다.
③ <동광>, <조광>, <박문> 등에 발표되었다.
5. 평론(評論)
(1) 특징
① 순수 문학을 옹호하였다.
1920년대에 유행하였던 목적 문학에 대한 반발로서 예술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태도가 제시되었다. 박용철, 백철, 김환태, 김문집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② 휴머니즘론을 전개하였다.
백철, 김오성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개성을 무시한 집단과 사회를 묘사하는 대신, 사회적 실천 관계에서 개인적 인간을 통일적으로 묘사해야 한다는 '인간 묘사론'의 입장에 선 것이다. 그 후, 이러한 심리적 인간 묘사론이 비판되자, 개성적인 것의 극치가 창작상에 서는 보편성을 멀 수 있다는 식으로 체계화되었다.
③ 주지주의 문학론을 펼쳤다.
영. 미 계통의 문학을 전공한 최재서, 김기림 등에 의해 엘리어트, 리차즈 등의 이론이 받아들여져, 대상을 대하는 태도가 지적(知的)이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주지주의 시론(時論) : 의미를 말의 다른 요소인 소리나 모양과 결합시켜 단일체로 파악하여, 가장 정확한 계산에 의해 운용함으로써 명석하고 분명한 것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과학주의의 입장이다.
○ 최재서의 주지주의 : 흄(Hulme,T.E.)과 엘리엇 그리고 리차즈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작품의 내면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 해부하려는 의욕을 보여 주었다.
④ 풍자 문학론이 대두되었다.
휴머니즘론이 창작과 비평에 아무런 실질적 방법론을 제공하지 못했던 당시 문단의 혼란을 타개하기 위해 풍자 문학이 거론되었는데, 이는 현실을 직접 드러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상당한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⑤ 작가론도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는 개별 작가에 대한 연구도 관심의 한 분야였는데, 김동인의 '춘윈 연구'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추천자료
1930-1940년대 항일무장투쟁
193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현대적 죽음의 표상
[레포트]1930년대 불어 닥친 미국의 경제대공황과 미국의 뉴딜정책에 대한 레포트
이광수 '무정'을 통하여 본 1930년대 소설
1910~1930년대 민족운동과 교육운동
1930년대 이후, 세계경제의 흐름은 자유무역을 위한 노력과 자국을 위한 보호무역주의를 보이...
식민지 후기 지주제의 변화양상 -1930,40년대 일제의 농업정책을 중심으로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1930년대 산업,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수온,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
[불법연구회, 원불교, 창건사, 회보, 송정산, 불법연구]불법연구회(원불교)의 창립, 불법연구...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 - 조선의용군 _ 조선의용대 성립, 화북으로 ...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운동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만주지역의 항일유격...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의 창립과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