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전남) 여수의 1930년대 산업,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수온,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진남관,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선사유적,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천일고무공장,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양식어장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1930년대 산업,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수온,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진남관,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선사유적,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천일고무공장,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양식어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1930년대 산업

Ⅲ.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수온
1. 1월
2. 2월
3. 3월
4. 4월
5. 5월
6. 6월
7. 7월
8. 8월
9. 9월
10. 10월
11. 11월
12. 12월

Ⅳ.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진남관

Ⅴ.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선사유적

Ⅵ.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천일고무공장

Ⅶ.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양식어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에 직공 5백 여 명을 고용하는 공장으로서 계속 조업 중이었음을 볼 때 주식회사로의 변경은 합자회사 해산 직후가 아닌가 한다.
원료난으로 조업이 원활치 못한 가운데 천일고무 이리공장에서는 피스재봉을 겸영하기 위해 피스재봉회사와 특약하고 조선, 만주총대리점을 경영할 계획을 세워 대처하였다. 그러나 1938년 7월에 천일고무주식회사가 해산되었는데, 해산 당시의 자본은 공칭 500,000원, 불입 375,000원이었다. 1939년에 경성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한 1938년 말 현재 고무신 제조 및 기타 고무제품 제조기업을 보면, 고무신 제조회사는 20개이고, 고무신 외에 다른 고무제품을 생산한 기업은 8개였다. 이들 28개 기업이 천일고무와 동일업종으로서 경쟁상대였던 것이다. 천일고무가 누락되어 있는 것은, 통계표 작성기준 시점에 천일고무주식회사가 해산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해산은 다음의 사실들을 참조할 때 일시적인 것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938년 11월 고무원료 통제에 따라 부산의 각 고무신제조업체들이 경남도 당국으로부터 고무신 제조량을 허가받을 때 천일공장은 110,000켤레로 보생 225,000켤레와 삼화의 180,000켤레에 이어 세 번째이며 총 728,790켤레에 비해서는 15.1%를 차지하는 수치였다. 또한 1939년 1월 고무원료 통제에 따른 고무원료 소비량의 경우 여수의 천일고무는 301.1톤으로 三和의 410.4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양이며, 조선 남부전체 1,091톤에 비해 27.6%를 차지하는 수치였다. 그리고 이후에도 여전히 김영준은 천일고무 공장주로 신문기사에 등장하였다. 이러한 사정들을 감안할 때 천일고무는 40년대 이후에도 계속 고무신을 생산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Ⅶ.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양식어장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지역 및 양식품종
대교(어류양식장)
소호(진주담치양식장)
송소(진주담치양식장)
가막섬(굴양식장)
백야(어류양식장)
장수(굴양식장)
규포(피조개양식장)
보돌바다(일반해역)
월항(어류양식장)
대두라(어류양식장)
화태(어류양식장)
금천(어류양식장)
사곡(새고막양식장)
여자도(새고막양식장)
봉전(새고막양식장)
군내(어류양식장)
원포(굴양식장)
항대(굴양식장)
Situation
N 34°43′199″
N 34°43′821″
N 34°43′213″
N 34°40′177″
N 34°36′905″
N 34°37′804″
N 34°36′729″
N 34°32′203″
N 34°34′074″
N 34°33′675″
N 34°34′974″
N 34°37′433″
N 34°36′800″
N 34°44′741″
N 34°48′082″
N 34°36′379″
N 34°38′857″
N 34°38′771″
E 127°44′424″
E 127°39′774″
E 127°38′736″
E 127°30′774″
E 127°39′066″
E 127°35′314″
E 127°33′906″
E 127°36′185″
E 127°42′034″
E 127°44′580″
E 127°43′528″
E 127°42′953″
E 127°35′833″
E 127°31′230″
E 127°30′635″
E 127°44′021″
E 127°39′091″
E 127°42′922″
참고문헌
김계유, 여수여천 발전사, 반도문화사, 1988
김희태, 전남지방의 향토사 연구 현황, 전남사학 7, 1993
보병 제31사단, 광주전남지역의 향토수호사, 1995
여수문화원, 향토사료교본, 1984
여수문화원, 여수문화기행, 1997
전라남도여수교육청, 우리고장의 문화 유산(장학자료 97-1), 1997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