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기의 또래관계
2) 기술부족가설에 대한 연구
3) 따돌림 피해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3. 프로그램의 구성
4. 프로그램 준비시 고려사항
5. 프로그램의 실제
2.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기의 또래관계
2) 기술부족가설에 대한 연구
3) 따돌림 피해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3. 프로그램의 구성
4. 프로그램 준비시 고려사항
5. 프로그램의 실제
본문내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을 나눈다.
리더는 최종적으로 참가자들 각자 한 명씩 거명하며 그동안 발견한 장점들과 개발할 점에 대해 간략히 정리를 해준다.
⑩ 이 과정이 끝나면 모두 일어나서 그동안 서로 애쓴 노고에 대해 격려하고 마지막 작별인사를 나눈다. 리더는 한사람씩 안아주고, 서로들간에 신체를 활용해서 따뜻한 인사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4) 유의할 점
마지막 회기이기 때문에 리더는 혹시 집단 과정 중에 발생했는지 모르는 부정적인 감정이 있다면 충분히 해결이 되도록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이 프로그램에 참석했다고 해서 따돌림 문제가 완전히 해결이 될 수는 없음을 주지시키고, 그동안의 작은 노력들이 큰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체험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며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도록 강조해야 한다.
자료 8 : 나의 다짐
나의 다짐
별칭 :
1.
2.
3.
4.
5.
이상의 것을 실천하도록 친구들 앞에서 약속합니다.
참 고 문 헌
구본용(1997).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김용태, 박한샘(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의 실태조사.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김준호, 박정선, 김은경(1997).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손진희, 홍지영, 양재혁(1998).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원호택(1997).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이규미, 문형춘, 홍혜영(1998).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 현상.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이시형(1998).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결.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조성호(1998). '따돌림을 당하는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논평.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한국교육개발원(1998).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Bierman, K. L., & Furman(1984).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and peer involvement on the social adjustment of pre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5, 151-162.
Coie, J. D., & Koeppl, G. K.(1990). Adapting intervention to the problems of aggressive and
disruptive rejected childre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ood. Cambridge, England : University Press.
Conger, J. C., & Keane, S. P.(1981). Social skill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isolated or withdrawnchildren. Psychological Bulletin, Vol. 90, No.3, 478-495.
Hansen, D. J., Watsom-Perczel, M. & Christopher, J. S.(1989). Clinical issues in social-skills training with adoolesents. Clinical Psychology Review, 9, 365-391.
Heaven, P. C. L(1994). Contemporary adolescence :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Macmillan Education Australia Pty Ltd.
Jupp, J. J., & Griffiths, M. D.(1990). Self-concept changes in shy, socially isolated adolescents following social skills training emphasizing role plays. Australian Psychologist,25, 165-177.
Ladd, G. W.(1981). Effectiveness of a social leading method for enhanci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Child Development, 52, 171-178.
Margalit, M. (1994) Loneliness amo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Theory, research, coping and intervention. New-York : Springer-Verlag.
Mize, J., & Ladd, G. W.(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social skills training for preschool childre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England : University Press.
Oden, S. L., & Asher, S. R.(1977). Coaching children in social skills for freindship making. Child Development, 48, 495-506.
Zakalata, (1998). Peer rejection : A follow-forward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status and school-related variables(self-concept, social interaction, fifth-grade), Dissertation Abstracts, Wayne State University.
리더는 최종적으로 참가자들 각자 한 명씩 거명하며 그동안 발견한 장점들과 개발할 점에 대해 간략히 정리를 해준다.
⑩ 이 과정이 끝나면 모두 일어나서 그동안 서로 애쓴 노고에 대해 격려하고 마지막 작별인사를 나눈다. 리더는 한사람씩 안아주고, 서로들간에 신체를 활용해서 따뜻한 인사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4) 유의할 점
마지막 회기이기 때문에 리더는 혹시 집단 과정 중에 발생했는지 모르는 부정적인 감정이 있다면 충분히 해결이 되도록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이 프로그램에 참석했다고 해서 따돌림 문제가 완전히 해결이 될 수는 없음을 주지시키고, 그동안의 작은 노력들이 큰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체험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며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도록 강조해야 한다.
자료 8 : 나의 다짐
나의 다짐
별칭 :
1.
2.
3.
4.
5.
이상의 것을 실천하도록 친구들 앞에서 약속합니다.
참 고 문 헌
구본용(1997).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김용태, 박한샘(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의 실태조사.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김준호, 박정선, 김은경(1997).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손진희, 홍지영, 양재혁(1998).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원호택(1997).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이규미, 문형춘, 홍혜영(1998).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 현상.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이시형(1998).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결.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조성호(1998). '따돌림을 당하는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논평. 왕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한국교육개발원(1998).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Bierman, K. L., & Furman(1984).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and peer involvement on the social adjustment of pre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5, 151-162.
Coie, J. D., & Koeppl, G. K.(1990). Adapting intervention to the problems of aggressive and
disruptive rejected childre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ood. Cambridge, England : University Press.
Conger, J. C., & Keane, S. P.(1981). Social skill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of isolated or withdrawnchildren. Psychological Bulletin, Vol. 90, No.3, 478-495.
Hansen, D. J., Watsom-Perczel, M. & Christopher, J. S.(1989). Clinical issues in social-skills training with adoolesents. Clinical Psychology Review, 9, 365-391.
Heaven, P. C. L(1994). Contemporary adolescence :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Macmillan Education Australia Pty Ltd.
Jupp, J. J., & Griffiths, M. D.(1990). Self-concept changes in shy, socially isolated adolescents following social skills training emphasizing role plays. Australian Psychologist,25, 165-177.
Ladd, G. W.(1981). Effectiveness of a social leading method for enhanci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Child Development, 52, 171-178.
Margalit, M. (1994) Loneliness amo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Theory, research, coping and intervention. New-York : Springer-Verlag.
Mize, J., & Ladd, G. W.(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social skills training for preschool childre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England : University Press.
Oden, S. L., & Asher, S. R.(1977). Coaching children in social skills for freindship making. Child Development, 48, 495-506.
Zakalata, (1998). Peer rejection : A follow-forward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status and school-related variables(self-concept, social interaction, fifth-grade), Dissertation Abstracts, Wayne State University.
추천자료
교원의 자격 및 승진제도 개선
한국영화 여고괴담과 일본영화 링의 비교
성폭행 피해 아동에 대한 위기개입
빈곤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그리고 부적응행동
외국의 다문화 부작용 사례 - 유럽 지역과 미국 등 다문화 충돌사례 분석
인간관계론
청소년 집단 상담 프로그램
일본단괴세대의 특징
다문화가정자녀, 「코시안 (Korsian)」이 겪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논문 - 경제적인 문...
[다문화의 이해] 다문화실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 죽음과 장례문화 문화간호환경의 변화 ...
학교폭력의예방및대책
[생활지도와 상담] 아동상담을 통한 내담자의 환경 변화시키기(상담사례를 바탕으로) - 또래...
발달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영유아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과 교사의 역할...
아동상담사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