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대이론의 기본관점
2. 동기과정
(1) 기대(expectancy)
(2) 수단(instrumentality)
(3) 유인가(valence)
3. 기대이론의 교육적 의의
2. 동기과정
(1) 기대(expectancy)
(2) 수단(instrumentality)
(3) 유인가(valence)
3. 기대이론의 교육적 의의
본문내용
(Expectancy)의 세 변인의 영어 두문자를따서 VIE설(또는VIE 모형)이라고도 한다. 어떤 교감의 기대·수단 및 유인가가 높으면 그의 동기는 높을 것이지만 3자의 결합정도가 애초부터 낮으면 과업수행을 위한 동기가 처음부터 나타나지 않을 것이며, 노력을 시작한 다음에 당초의 기대가 잘못이었음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되면 역시 동기가 약화될 것이다.
추천자료
정상화 이론과 SRV이론
경제재생산 이론과 문화재생산이론 비교설명
[교수학습이론]사회학습이론에 대한 설명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
Piaget 인지발달이론과 Vygotsky의 사회문화적발달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쾰러의 통찰학습, 톨먼의 기호형태설, 정보처리 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사회학습이론의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아동발달 A+완성형)
동기의 내용이론과 과정이론
유아과학교육의 이론 중 브루너(Jerome S. Bruner)의 발견학습이론 관점을 설명하시오
자원봉사 동기이론 중 1가지를 선택하고 이론의 특성에 따라서 청소년의 자원봉사 욕구 및 동...
간호이론3A) 압델라의 21개 간호문제nursing problem목록 적용1) 주어진 이론에 대해 간략히 ...
지도성 이론과 관리체제 이론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유아발달]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과 유아의 도덕성발달을 위한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