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듀이의 종교경험이론 (존듀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 리 말

2. 현대 종교문화의 정황

3. 종교의 정의

4. 종교경험의 원천

5. 신 관

6. 종교경험의 표현

7. 평가 및 맺음말

본문내용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고 있다. 종교는 소위 제도화된 종교전통에 참여하는 삶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삶, 정치적인 삶, 경제적인 삶, 그리고 그 밖의 모든 삶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듀이의 이론은 종교와 과학, 종교와 정치, 종교와 예술, 종교와 종교간의 관계를 갈등적인 차원으로 소박하게 바라본 결과 종교의 세계는 "성"의 자리이고 정치, 예술 그리고 타종교의 세계는 "속"의 자리라는 이원론적인 현대문화를 수정할 수 있게 해주고 과학만능주의적인 현대 문화안에서 종교의 세계는 시대
- 164 -
에 떨어진 별종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진 세계라는 인식이 팽배하여 있는데 그 인식을 수정할 수 있게 해주며 더 나아가 종교가 바로 인간의 삶의 조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임을 역설할 수 있게 해준다.
두번째는 듀이의 이론은 종교의 의미를 명사적인 측면과 형용사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으므로 방법론적으로 종교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듀이식으로 종교를 바라볼 경우에 종교는 일상적인 삶과는 무관한 초자연적인 세계가 아니라 바로 일상적인 삶 그 자체이다. 물론 전자와 후자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때로는 종교전통과 자유로운 관계를 맺고 있는 인간은 보다 발전된 삶의 질을 경험할 것이며 그 반대로 자신들의 새로운 경험에 근거해서 지금까지 있어온 전통을 수정하거나 발전시키기 까지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듀이의 종교이해는 현대 비교종교학자인 윌프레드 켄트웰 스미스의 종교이해와 매우 비슷하다. 힉이 지적한대로 이미 고전이 되어버린『종교의 의미와 목적』에서 스미스는 종교의 본질적인 정의는 불가능하므로 종교를 제도화되어 있고 현상적으로 존재하는 축적된 전통과 그 전통들을 존재하게끔 해온 삶의 질인 신앙으로 나누어서 종교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신앙은 종교인들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제도화된 전통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인간답게 살려는 모든 인간들의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듀이와 스미스 모두는 궁극적으로 종교의 의미가 물상화되어 있는 전통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인 질과 신앙속에 놓여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세번째는 듀이의 이론은 인류역사에 대한 개방적인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아무리 절대적이고 훌륭한 삶의 자리라고 할지라도 자신이 살아가는 삶의 자리가 인류역사의 전체가 아니라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식을 갖게 해준다. 그 결과 인간은 세계와의 수 많은 관계속에서 존재할 수 있지 절대적으로 독립해서 존재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갖는다. 그런 인식은 자신의 관점에서 인류의 역사를 살피지 않고 인류의 역사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위치를 생각하게 한다. 그럴 때 그 전에 갖고 있었던 자기 중심적인 세계관은 변형되어 협동적이고 더 나아가 "우주적인"(cosmic) 세계관으로 확장될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종교인들 뿐만 아니라 비종교인들 조차도 자신들의 관점에서 절대적으로 타인의 삶을 평가하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도 "나"와는 상관없는 타인이 아니라 함께 공유할 인류공동체의 일부분이라는 인식을 강하게 갖게 되므로 타인에 대하여 매우 열려있는 태도를 갖을 것이다.
- 165 -
다음으로 듀이의 이론이 갖고 있는 한계점을 지적하기로 하자.
첫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듀이의 종교이해는 종교현상에 대하여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준거틀을 만들어 낼수없다.
) George R. Geiger, John Dewey in Perspective (Connecticut : Greenwood Press, 1958), 217쪽.
듀이는 이상을 향한 모든 몸짓을 바로 "종교적인" 삶이라고 규정하였다. 듀이식대로 이해한다면 공산주의자, 파시스트, 신흥종교 교주들의 반인류적인 행위들을 비판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들도 똑같이 정상적인 인간들처럼 자신들의 행위도 이상을 향한 삶의 몸짓이라고 역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로 문제삼을 수 있는 것은 듀이의 종교이해로는 존재론적인 초월과의 고백적인 관계성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종교인들의 삶의 방식을 긍정적으로 다룰 수 없다는 점이다.
) William M. Shea, "Qualitative Wholes : Aesthetic and Religious Experience in the Work of John Dewey" in Journal of Religion 60 (January 1990), 45쪽.
너무나 자연주의적인 이해만을 강조한 나머지 초자연적인 대상과의 관계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험들을 존재론적으로 인정해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듀이식대로 본다면 엄격히 얘기해서 예배행위는 더이상 필요가 없다.
) Edward L. Schaub, "Dewey's Interpretation of Religion" in The Philosophy of John Dewey edited by P. A. schilpp and L. E. Hahn (Carbonda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71), 416쪽.
필자가 생각할때 예배행위를 통해서 신앙인들은 이상을 발견하고 그 이상을 현실속에서 구현할 뿐만 아니라 그 행위를 통해서 진정한 자아를 확립하려고 한다. 초월적인 존재와의 관계속에서 얻는 경험들을 듀이의 이론은 너무나 쉽게 무시해 버리고 있는 듯하다.
세번째로 문제삼을 수 있는 것은 듀이의 종교이해는 휴머니즘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가능성이나 확신을 너무나 믿었기 때문에 인간의 한계성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하는 데 있다. 특히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만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내재적인 갈등 또는 죄의식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치유에는 듀이는 관심을 그다지 갖지 못하였다. 이를테면 프로이트가 말한대로 인간의 공격적인 본능과 사랑의 본능 사이에 일어나는 갈등과 긴장관계들 때문에 한시도 편하지 못하며 언제나 갈등의 상태를 경험하는데 그것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공격적인 본능을 사랑의 본능으로 승화시켜 나아가거나 또는 보상해 나가야 한다는 정신분석학적이고 심층심리학적인 지식이 부족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8.15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1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