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문서 표준화 현황 및 추진방향 ( 전자상거래 ebXML )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업간(B2B)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자문서 표준화

Ⅱ. 전자문서 표준화 추진 배경

Ⅲ. 전자문서 표준화 추진 경과

Ⅳ. ebXML 표준화 추진현황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업종 중에서 1개 업종을 선정하여 공동 연계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2002년에는 각 업종에 ebXML기반 표준 전자문서를 제정할 준비 및 국제명세가 확정되면 ebXML기반 표준 전자문서를 제정해 나갈것이라고 한다.
Ⅴ. 결론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전자문서, 전자카탈로그, 전자결제, 부품 및 상품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에서도 전자문서 표준화가 가장 시급하다고 할 수 있는데, 정부, 표준화 주관기관, 개별기업 측면에서 전자문서 표준화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자문서 표준화 관련 기관별 역할
구 분
역 할 내 용
비 고
정부
ㅇ 전자상거래 표준화 지원사업
- 정책 수립 및 예산지원, 사업 총괄 관리 및 감독
- B2B 9개 및 11개 업종 전자문서 표준화 추진
(전자문서, 전자 카탈로그 등)
ㅇ사업 총괄 지원
전자거래
진흥원
- 한국전자문서교환위원회에서 전자문서 표준 제정고시, 보급, 홍보 등,
- 국제 전자문서 표준화 동향 파악 및 국내 보급
- B2B 9개 및 11개 업종 전자문서 표준화 주관기관 협의회 운영
- 각 업종별 문서개발위원회 및 각 업종별 표준 전자문서 관리
전자문서
표준화
주관기관
ㅇ 전자문서 표준화 주관기관
- 각 업종별 표준 전자문서 개발
- B2B 시범사업 업종별 표준 전자문서 개발
- 각 업종 전자문서 표준개발 보급 및 홍보시스템 개발 관리 등
- 시스템 연계 등 지원
ㅇ전자문서 표준화사업 수행기관
- 각 업종별 단체 및 협회 등
개별기업
ㅇ 전자문서 표준 사용
ㅇ 자체 시스템 개발 및 업무에 활용
ㅇ 표준 전자문서를 사용하여 전자상거래시 거래비용 절감효과가 있음
참 고 문 헌
김형도, "B2B 전자상거래 ebXML", 배움터, 2000. 12.
이강찬, 이원석, "웹의 지각변동 몰고 올 XML," 월간 인터넷 1997년 10월호, 1997. 10.
이규철, 이강찬, "XML 개요", EDI/EC Magazine, 1998년 가을호(15), 한국전자거래진흥원, 1998. ~ 2001. 6월호
Tim Bray and C.M. Sperberg-McQueen,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 PartⅠ. Syntax", World Wide Web Consortium Working Draft(Work in Progress), 1997. 6, http://www.w3.org/TR/WD-xml-lang.html
Tim Bray and Steve DeRose,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 PartⅡ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포럼, "전자상거래 표준화 현황 및 적용지침"
한국전산원, "SGML, XML, EDI 구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석사논문, 1999.
한국전자거래진흥원, "ebXML 중앙 등록저장소 구축현황", ebXML 분석보고서, 2001. 5.
Abstract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Electronic Message Standardization
Kim, Yong-jei
For the facilitation of B2B Electronic Commerce, standardization of electronic message, electronic catalog, payment and settlement, and components and goods are said to be essential.
This paper deals with the standardization of electronic message. Internationally, since late 1980s, UN/EDIFACT has developed 55 specifications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EDI electronic message. In Korea, 237 EDI-based standard electronic messages (37 in trade, 37 in sea transport, 31 in exchange finance, etc.) were developed and used by businesses.
Though electronic commerce ha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since 1997, the major obstacle for the widespread use of electronic commerce was the problem of interoperability. With the focus on resolving the problem of interoperability, UN/CEFACT and OASIS jointly launched the 18-month XML and Internet based ebXML project and completed the project with success. The ebXML project will be continued jointly by UN/CEFACT and OASIS with an appropriate division of work for further development.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as a competent organization to standardize electronic message and ebXML in Korea, has participated in the ebXML Standardization meeting to reflect Korean stance, has launched ebXM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Korea, and built the Korea national ebXML central registry and repository.
Key Words : Standardization of electronic message, Electronic Commerce, UN/EDIFACT, UN/CEFACT, ebXML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8.25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