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기술학습 (한국 신발산업의 성장과 쇠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세계 신발산업의 기술혁신 패턴
2.1 공정혁신 vs. 제품혁신
2.2 제품혁신이 기업 활동에서 지니는 중요성

3.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기술학습
3.1 기술학습 수단으로서의 OEM
3.2 실행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oing)
3.3 OEM을 통한 기술학습의 내용

4.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쇠퇴 원인
4.1 과학적 설계로서의 신발 디자인
4.2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디자인 능력의 결핍 - `근면성의 한계`, `창의성의 벽`
4.3 고유 브랜드로의 전환 실패
4.4 OEM 체제의 유지와 생산기지의 이전

5.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혁신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5.1 디자인 역량의 계발과 강화
5.2 부품·소재 산업의 혁신 역량 강화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역량 강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지원 이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들의 자구노력과 자세이다.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그 모든 노력 이전에 우리 기업들이 과거의 OEM 구조를 통해 형성된 생산과 제조 위주의 마인드에서 벗어나 창의적 디자인과 혁신을 중시하는 마인드로 무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과거 우리의 신발산업을 전성기에 이르게 했던 OEM 패러다임은 이제 그 수명을 다했다고 보여진다. 이제 신발산업은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창의적 아이디어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끊임없는 혁신을 이루어 가는 혁신지향적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야만 우리의 신발산업은 사양산업이라는 오명을 씻고 재활성화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호상(1990), 「한국 신발산업의 경쟁력 분석과 국제화 전략」, 국제무역경영연구원.
국제상사주식회사(1979), 「국제상사 삼십년사: 1949-1979」, 국제상사주식회사.
김석관(2000), 「신발산업의 기술혁신 패턴과 전개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양희·구본관(1999), "재래의류시장의 부활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시리즈 216호, 삼성경제연구소.
김정호(1991), 「국내 운동화업계의 일류 기업화 방안」, 산업연구원.
박용태 외(1994), 「산업별 기술혁신패턴의 비교분석」, 서울: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박정수(1998), "신발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고유상표, 생산방식, 기술개발을 중심으로", 「신발산업 재도약을 위한 토론회」(한국신발·피혁연구소/부산상공회의소), pp. 19-45.
산업연구원(1999), 「섬유·생활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1999), 「21C 신발산업의 지식집약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서제일·권열호·김봉근(1993),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현황과 구조조정 방향」, 산업연구원.
서제일 외(1999),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신발산업의 구조조정」, 산업자원부/생활산업연구소.
임정덕·박재운(1993), 「한국의 신발산업」, 산업연구원.
전국경제인연합회 편(1991), 「한국의 주요산업: 현상과 과제」, 전국경제인연합회.
조현대(1997), 「기술추격국의 기술획득과 전략적 제휴: 모형개발과 사례분석」,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한국신발수출조합(1990), 「한국신발수출통계(1962-1989)」, 한국신발수출조합.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피혁연구소 소식」, 각 호.
Cheskin, M. P., K. J. Sherkin, B. T. Bates(1987), The Complete Hand book of Athletic Footwear,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DeHoratius, N.(1993), Competing Through Innovation: Managing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in the Athletic Footwear Industry, University of Sussex, Science Policy Research Unit, Msc. Thesis.
Donaghu, M. T. and R. Barff(1990), "Nike just did it: International Subcontracting and Flexibility in Athletic Footwear Production", Regional Studies, Vol. 24, No. 6, pp. 537-552.
Hays, S.(1999), The Story of Nike: Spirit of Success, Minnesota: Smart Apple Media.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1992), Recent Developments in the Leather and Footwear Industry, ReportⅠ, Fourth Tripartite Technical Meeting for the Leather and Footwear Industry,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_____(1996), Globalization of the Footwear, Textiles and Clothing Industries,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Katz, D. R.(1994), Just Do It: The Nike Spirit in the Corporate World, Holbrook, MA: Adams Media Corporation.
Rossi, W. A.(1994), The Complete Footwear Dictionary, Malabar: Krieger Publishing Company.
Athletic Footwear Association(SGMA/AFA)(1998, 1999), The U.S. Athletic Footwear Market Today, North Palm Beach: Athletic Footwear Association.
Strasser J. B. and L. Becklund(1991), Swoosh: The Unauthorized Story of Nike and the Men Who Played There, San Diego, CA: Harcourt Brace Jovanovich.
Vanderbilt, T.(1998), The Sneaker Book: Anatomy of an Industry and an Icon, New York: New York Press.
Wet Feet Press, Gary A.(1999) Nike, Inc.: The WetFeet.com Insider Guide, San Francisco: WetFeet.com Inc.
Willigan, G. E.(1992), "High-Performance Marketing: An Interview with Nike's Phil Knight",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pp. 90-101.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2.09.01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