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복식 착용의 의의
1. 신체 보호
(1) 기후로부터의 보호
(2) 외부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2. 심리적 보호
(1) 신분의 표시
(2) 미신, 종교적 욕구
(3) 의식의 표시
3. 정숙성과 비정숙성
(1) 정숙성
(2) 비정숙성
4. 신체장식
(1) 복식으로서의 흥미 전이
(2) 장식의 방법
복식의 기능
1. 기구적 기능
(1) 물리적 기능 :
(2) 사회적 기능
2. 표현적 기능
(1) 자기표현 욕구의 충족
(2) 상징적 전달
복식 형태와 사회 문화적 배경
◎ 문화적 배경 : 의복의 형태는 대표적인 문화적 산물이다.
1. 생활 양식
(1) 생활 양식과 의복의 유형
(2) 현대 생활양식과 현대 복식
◎ 사회적 배경
1. 사회 계층
(1) 제도적 사회계층
2. 기술적 발달
(1) 의복 재료
(2) 생산 기술
(3) 가전기기
근대 의장
(1) 아트 앤드 크라프트(Arts and Craft)
(2) 아르누보(Arts Nouveau)
(3) 세세션(Secession)
(4) 아르데코(Art Dece)
(5) 콘스트럭 티비즘(Constructivism)과 디 스틸(De Stiji)
(6) 바우하우스(Bauhaus)
현대 의장
(1) 팝 아트(Pop Art)
(2) 옵 아트(Op. Art)
(3) 뉴 웨이브(New Wave)
(4) 에스닉(Ethnic)
(5) 에콜로지(Ecology)
(6) 리싸이클(Recycle)
☆디자인의 요소
☆디자인 요소의 종류
☆ 선의 개념 및 속성
1. 선과 형의 개념
(1) 의복에 나타나는 선의 종류
(2) 선과 형의 상호 의존성
2. 선의 위치
(1) 실루엣선
(2) 실루엣 안의 선
3. 선의 종류와 느낌
(1) 선의 곡률
(2) 선의 굵기
(3) 선의 연속선
(4) 선의 명확도 :
(5) 선의 방향
4. 선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소
(1) 디자인선
(2) 옷 감
(3) 구성방법
제 2 절 선에 의한 착시 현상
☆ 착시 현상 : 실제와 다른 현상
1. 세로선에 의한 분할
(1) 세로선의 유무
(2) 세로선의 수
(3) 세로선 사이의 간격
2. 가로선에 의한 분할
(1) 가로선의 유무
(2) 가로선의 수
(3) 가로선의 위치
3. 사선에 의한 분할
1. 디테일
2. 칼라
(1) 기능적 분류
(2) 형태적 분류
(3)기 타
3. 커프스(cuffs)
커프스의 종류
4. 트리밍
1. 신체 보호
(1) 기후로부터의 보호
(2) 외부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2. 심리적 보호
(1) 신분의 표시
(2) 미신, 종교적 욕구
(3) 의식의 표시
3. 정숙성과 비정숙성
(1) 정숙성
(2) 비정숙성
4. 신체장식
(1) 복식으로서의 흥미 전이
(2) 장식의 방법
복식의 기능
1. 기구적 기능
(1) 물리적 기능 :
(2) 사회적 기능
2. 표현적 기능
(1) 자기표현 욕구의 충족
(2) 상징적 전달
복식 형태와 사회 문화적 배경
◎ 문화적 배경 : 의복의 형태는 대표적인 문화적 산물이다.
1. 생활 양식
(1) 생활 양식과 의복의 유형
(2) 현대 생활양식과 현대 복식
◎ 사회적 배경
1. 사회 계층
(1) 제도적 사회계층
2. 기술적 발달
(1) 의복 재료
(2) 생산 기술
(3) 가전기기
근대 의장
(1) 아트 앤드 크라프트(Arts and Craft)
(2) 아르누보(Arts Nouveau)
(3) 세세션(Secession)
(4) 아르데코(Art Dece)
(5) 콘스트럭 티비즘(Constructivism)과 디 스틸(De Stiji)
(6) 바우하우스(Bauhaus)
현대 의장
(1) 팝 아트(Pop Art)
(2) 옵 아트(Op. Art)
(3) 뉴 웨이브(New Wave)
(4) 에스닉(Ethnic)
(5) 에콜로지(Ecology)
(6) 리싸이클(Recycle)
☆디자인의 요소
☆디자인 요소의 종류
☆ 선의 개념 및 속성
1. 선과 형의 개념
(1) 의복에 나타나는 선의 종류
(2) 선과 형의 상호 의존성
2. 선의 위치
(1) 실루엣선
(2) 실루엣 안의 선
3. 선의 종류와 느낌
(1) 선의 곡률
(2) 선의 굵기
(3) 선의 연속선
(4) 선의 명확도 :
(5) 선의 방향
4. 선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소
(1) 디자인선
(2) 옷 감
(3) 구성방법
제 2 절 선에 의한 착시 현상
☆ 착시 현상 : 실제와 다른 현상
1. 세로선에 의한 분할
(1) 세로선의 유무
(2) 세로선의 수
(3) 세로선 사이의 간격
2. 가로선에 의한 분할
(1) 가로선의 유무
(2) 가로선의 수
(3) 가로선의 위치
3. 사선에 의한 분할
1. 디테일
2. 칼라
(1) 기능적 분류
(2) 형태적 분류
(3)기 타
3. 커프스(cuffs)
커프스의 종류
4. 트리밍
본문내용
풀이 일어나 서로 뭉쳐지게 만들어서 좀 더 푹신한 느낌을 나타내도록 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22) 울 프린지(wool fringe)
모사로 된 술 장식으로서 모직물의복에 사용하는데 판쵸(ponchos)나 아동복 등에 사용한다.
23) 코튼 프린지(cotton fringe)
목면사로 된 술 장식으로서 목면 의복에 쓰인다. 비취 웨어(beach wear)의 스토(stole)이나 타바르(tabard) 등에 사용된다.
24) 아이글라스 프린지(eyeglass fringe)
릴리야안사로 된 술 장식으로 가장 잘 흔들리고 부드럽기 때문에 무대 의상이나 이브닝 웨어의 고급 의상에서 주로 많이 사용한다.
25) 쉬프리 수 장식(schiffli embroidery)
여러 가지 복잡한 기계수 장식으로서 드레스나 아동복에 사용한다.
26) 스팡글과 셀로판 트리밍(spangle and cellophane trimming)
여러 가지 색깔의 거칠게 짜여진 셀로판에 스팡글을 붙여 더욱 자극을 주는 트리밍으로서 일반의복에는 사용하지 않고 특수 의상에서 주로 사용한다.
27) 플레이티드 울 트리밍(plaited wool trimming)
모사를땋거나 꼬은 넓고 거칠게 짠 트리밍으로서 넓게 짜여진 것은 칼라나 커프스, 속단(facing)에 많이 사용한다. 모사를 꼬아서 만든 트리밍은 벨트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8) 김프 트리밍(gimp trimming)
브레이드의일종이라고도 볼 수 있으나 그보다 복잡한 모양을 나타내어 짠 것으로 정교하고 고급의 느낌을 주는 트리밍이다. 이것은 네크라인이나 슬리이브의 헴 라인, 자켓의 헴 라인 등 낮에 입는 옷에도 사용한다.
29) 퍼 트리밍(fur trimming)
각종 털 장식으로 네크라인에 칼라를 대신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커프스로서 혹은 헴 라인에 장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털 장식은 세탁할 때 떼어 놓을 수 있도록 의복에 완전히 꿰매어 부착시키는 것보다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30)브로우드리 앵글레이즈(broderie anglaise)
얇은 아사에 수를 놓은 것으로서 목면이나 아사같이 식물성 섬유 계통의 의복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폭이 좁은 것에서부터 넓은 것까지 있는데 호움 웨어나 랑제리, 아동복에 많이 사용한다.
31) 프릴비(friby)
수아사의 한 쪽 면에 잔주름이 잡혀진 것으로 매우 부드럽고 귀여운 트리밍이다. 이것도 역시 호움 웨어나 랑제리 계통에 많이 쓰인다.
32) 리본 슬롯팅된 더블 프릴비(double friby with ribbon slotting)
수아사의 양쪽에 프릴이 잡혀있고 중앙에는 리본을 꿰어 아름다운 색채를 나타내는 장식으로 블라우스의 앞중심의 장식이라든가, 아동복, 드레스, 호움 웨어 등에 사용한다.
33) 버튼(buttons)
버튼은 어느 의복에서나 거의 사용하는 트리밍으로서 의복을 벗어지지 않게 여미는 데에 쓰이며 지퍼(zipper)와 함께 기능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지퍼는 외부에 별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기능적인 목적은 충분히 수행하지만 장식적으로는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거기에 비하면 버튼은 옷을 여미어 주는 기능적목적 외에도 장식적으로 훌륭한 역할을 해주므로 장식의 역할만 해주는 다른 트리밍에 비해서 다목적인 용도로 사용된다.
① 테일러드 버튼(tailored buttons)
남자약식 단추와 같이 딱딱하고 규격적인 단추를 말한다.
② 팬시 플라스틱 버튼(fancy plastic buttons)
아름다운 모양의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단추로서 여러 가지 합성물질로 만들어졌으며, 색상과 형태도 다양하여 각종의복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 다.
③ 금속 버튼(metal buttons)
각종 금속 재료로 된 단추로 약간 냉정해 보이는 느낌을 주어서 신선하고 스포오티해 보이기도 한다. 작업복이나 남학생교복, 그외에도 평상복에 많 이 사용된다.
④ 샤쓰 버튼(shirt buttons)
샤쓰에 사용되는 작은 단추로서 두 개나 네 개의 구멍이 표면에 있으면 보통 흰색이 많다. 이것은 단추 자체에 어떤 흥미가 있는 것이 아니고 기 능적인 실용성이 있다. 그러나 약간 장식적인 의도로 사용하려고 할 때는 배열을 흥미있는 간격으로 할 때 장식적인 흥미도 나타낼 수 있다.
34) 벨트(belt)
버클(buckle)이 달려있는 벨트는 테일러드된 옷(tailored garments)이나 캐주얼에 주로 많이 사용하고 보우(bow)로 매거나 타이(tie)로 늘어뜨려 매는 벨트는 드레시한 옷에 잘 어울린다. 그러나 이것은 고정된 법칙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 적당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의복이 단순하면 벨트를 과감함 형과 색으로 하는 것이 좋고, 의복이 복잡하면 벨트는 가능한 한 단순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① 가죽 벨트(leather belt)
가죽 벨트는 딱딱한 질감이므로 테일러로 된 옷이나 평상복에 주로 사용 한다.
② 가죽끈 벨트(leather thong belt)
가죽을 가느다랗게 박아 그 끝을 동여 매거나 혹은 끝에 금속 장식을 한 것이다. 이것은 드레스에 부담없이 맬수 있는 벨트이다.
③ 페이턴트 레더 벨트(patent leather belt)
에나멜 가죽으로서 윤기가 나는 것이므로 매우 눈길을 끄는 강한 벨트이 다. 이런 벨트 중에 넓은 것은 더욱 영향력이 크므로 그 벨트 자체를 그 의복의 초점으로 할 때 주로 사용한다.
④ 메달 달린 체인 벨트(chain belt with medallion trimming)
보통 체인으로 연결된 벨트는 드레시한 의상에 사용하는데, 그 끝에 메달 이 달려 흔들리면 더욱 부드러운 느낌을 주므로 이브닝 드레스나 칵테일 드레스에 많이 사용한다.
⑤ 코인 달린 레더 스파게티 벨트(leather spahghetti with coindrop)
가늘게 자른 여러 줄의 가죽 끝에 동전 모양의 장식을 단 벨트로서 부드 러운 드레스에 사용한다.
⑥ 파스멩트리 코오드와 태슬(passementrie cord and tassel)
금, 은사와 보석으로 짠 끈에 끝을 풀어 놓은 채 다발로 매어 술 장식이 되게 한 벨트로서 매우 화려하고 광채가 나므로 드레시한 의상이나 무대 의상에서 많이 사용한다.
22) 울 프린지(wool fringe)
모사로 된 술 장식으로서 모직물의복에 사용하는데 판쵸(ponchos)나 아동복 등에 사용한다.
23) 코튼 프린지(cotton fringe)
목면사로 된 술 장식으로서 목면 의복에 쓰인다. 비취 웨어(beach wear)의 스토(stole)이나 타바르(tabard) 등에 사용된다.
24) 아이글라스 프린지(eyeglass fringe)
릴리야안사로 된 술 장식으로 가장 잘 흔들리고 부드럽기 때문에 무대 의상이나 이브닝 웨어의 고급 의상에서 주로 많이 사용한다.
25) 쉬프리 수 장식(schiffli embroidery)
여러 가지 복잡한 기계수 장식으로서 드레스나 아동복에 사용한다.
26) 스팡글과 셀로판 트리밍(spangle and cellophane trimming)
여러 가지 색깔의 거칠게 짜여진 셀로판에 스팡글을 붙여 더욱 자극을 주는 트리밍으로서 일반의복에는 사용하지 않고 특수 의상에서 주로 사용한다.
27) 플레이티드 울 트리밍(plaited wool trimming)
모사를땋거나 꼬은 넓고 거칠게 짠 트리밍으로서 넓게 짜여진 것은 칼라나 커프스, 속단(facing)에 많이 사용한다. 모사를 꼬아서 만든 트리밍은 벨트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8) 김프 트리밍(gimp trimming)
브레이드의일종이라고도 볼 수 있으나 그보다 복잡한 모양을 나타내어 짠 것으로 정교하고 고급의 느낌을 주는 트리밍이다. 이것은 네크라인이나 슬리이브의 헴 라인, 자켓의 헴 라인 등 낮에 입는 옷에도 사용한다.
29) 퍼 트리밍(fur trimming)
각종 털 장식으로 네크라인에 칼라를 대신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커프스로서 혹은 헴 라인에 장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털 장식은 세탁할 때 떼어 놓을 수 있도록 의복에 완전히 꿰매어 부착시키는 것보다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30)브로우드리 앵글레이즈(broderie anglaise)
얇은 아사에 수를 놓은 것으로서 목면이나 아사같이 식물성 섬유 계통의 의복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폭이 좁은 것에서부터 넓은 것까지 있는데 호움 웨어나 랑제리, 아동복에 많이 사용한다.
31) 프릴비(friby)
수아사의 한 쪽 면에 잔주름이 잡혀진 것으로 매우 부드럽고 귀여운 트리밍이다. 이것도 역시 호움 웨어나 랑제리 계통에 많이 쓰인다.
32) 리본 슬롯팅된 더블 프릴비(double friby with ribbon slotting)
수아사의 양쪽에 프릴이 잡혀있고 중앙에는 리본을 꿰어 아름다운 색채를 나타내는 장식으로 블라우스의 앞중심의 장식이라든가, 아동복, 드레스, 호움 웨어 등에 사용한다.
33) 버튼(buttons)
버튼은 어느 의복에서나 거의 사용하는 트리밍으로서 의복을 벗어지지 않게 여미는 데에 쓰이며 지퍼(zipper)와 함께 기능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지퍼는 외부에 별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기능적인 목적은 충분히 수행하지만 장식적으로는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거기에 비하면 버튼은 옷을 여미어 주는 기능적목적 외에도 장식적으로 훌륭한 역할을 해주므로 장식의 역할만 해주는 다른 트리밍에 비해서 다목적인 용도로 사용된다.
① 테일러드 버튼(tailored buttons)
남자약식 단추와 같이 딱딱하고 규격적인 단추를 말한다.
② 팬시 플라스틱 버튼(fancy plastic buttons)
아름다운 모양의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단추로서 여러 가지 합성물질로 만들어졌으며, 색상과 형태도 다양하여 각종의복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 다.
③ 금속 버튼(metal buttons)
각종 금속 재료로 된 단추로 약간 냉정해 보이는 느낌을 주어서 신선하고 스포오티해 보이기도 한다. 작업복이나 남학생교복, 그외에도 평상복에 많 이 사용된다.
④ 샤쓰 버튼(shirt buttons)
샤쓰에 사용되는 작은 단추로서 두 개나 네 개의 구멍이 표면에 있으면 보통 흰색이 많다. 이것은 단추 자체에 어떤 흥미가 있는 것이 아니고 기 능적인 실용성이 있다. 그러나 약간 장식적인 의도로 사용하려고 할 때는 배열을 흥미있는 간격으로 할 때 장식적인 흥미도 나타낼 수 있다.
34) 벨트(belt)
버클(buckle)이 달려있는 벨트는 테일러드된 옷(tailored garments)이나 캐주얼에 주로 많이 사용하고 보우(bow)로 매거나 타이(tie)로 늘어뜨려 매는 벨트는 드레시한 옷에 잘 어울린다. 그러나 이것은 고정된 법칙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 적당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의복이 단순하면 벨트를 과감함 형과 색으로 하는 것이 좋고, 의복이 복잡하면 벨트는 가능한 한 단순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① 가죽 벨트(leather belt)
가죽 벨트는 딱딱한 질감이므로 테일러로 된 옷이나 평상복에 주로 사용 한다.
② 가죽끈 벨트(leather thong belt)
가죽을 가느다랗게 박아 그 끝을 동여 매거나 혹은 끝에 금속 장식을 한 것이다. 이것은 드레스에 부담없이 맬수 있는 벨트이다.
③ 페이턴트 레더 벨트(patent leather belt)
에나멜 가죽으로서 윤기가 나는 것이므로 매우 눈길을 끄는 강한 벨트이 다. 이런 벨트 중에 넓은 것은 더욱 영향력이 크므로 그 벨트 자체를 그 의복의 초점으로 할 때 주로 사용한다.
④ 메달 달린 체인 벨트(chain belt with medallion trimming)
보통 체인으로 연결된 벨트는 드레시한 의상에 사용하는데, 그 끝에 메달 이 달려 흔들리면 더욱 부드러운 느낌을 주므로 이브닝 드레스나 칵테일 드레스에 많이 사용한다.
⑤ 코인 달린 레더 스파게티 벨트(leather spahghetti with coindrop)
가늘게 자른 여러 줄의 가죽 끝에 동전 모양의 장식을 단 벨트로서 부드 러운 드레스에 사용한다.
⑥ 파스멩트리 코오드와 태슬(passementrie cord and tassel)
금, 은사와 보석으로 짠 끈에 끝을 풀어 놓은 채 다발로 매어 술 장식이 되게 한 벨트로서 매우 화려하고 광채가 나므로 드레시한 의상이나 무대 의상에서 많이 사용한다.
추천자료
유행의상에 대한 자료 (2004, 2005년도)
근대 서양 미술 회화 조사
옷 종류별 세탁법, 세탁 및 취급 주의사항, 특징, 세탁기호 조사
스트레스와 암
[마케팅원론]패션산업-소비자 구매 행동 패턴 연구
의생활계획과경영 중간시험과제물 B형
(사회복지개론) 노인복지(문제점,복지정책) 전반에 관란 레포트
의복의 유행[1]
[활동계획안, 수업지도안] 어린이 활동계획안, 어린이집 수업지도안 - 주제 음식 요리와 함께...
케익(케이크)의 유래, 역사, 정의, 종류, 쓰임, 가격, 장점, 단점, 관련된 직업, 레시피, 방...
성적소구광고의 유형, 효과, 성적소구광고의 국내외 사례
[수예와공작] 비즈공예 {비즈 공예 정의, 활동 분석, 치료적 적용, Applications, 활동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