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수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흐 름
2. 수입의 용도별·상품별 구성
2-1. 수요별 ·용도별 ·가공도별 구성
2-2. 10대 수입상품
3. 수입의 지역별 구성
3-1. 지역별 구성
3-2. 10대 수입국
4. 최근 수입동향 및 문제점,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고 2위 미국은 304억달러로 22.5%의 비중을 가져서, 일본과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46.4%를 차지하고 있다. 3위인 중국으로부터는 74억달러를 수입하였는데, 이는 전체의 5.5%에 그친다. 다음은 66억 달러의 독일이고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인도네시아, 캐다다, 대만, 말레이시아의 순이다
1990년부터 1995년사이의 변화를 보면, 일본과 미국이 각기 1, 2위를 지키지만 일본은 그 비중이 26.6%에서 24.1%로 낮아져 2.5% 포인트, 미국은 24.4%에서 22.5%로 낮아져 1.8% 포인트의 비중을 잃었다. 중국은 한·중 수교에 따른 교역량의 증가로 5위에서 3위로 올랐는데 그 비중도 2.3% 포인트 높아졌다. 사우디아라비아도 5위로 오르고 캐나다와 더불어 대만도 순위가 오르지만 비중은 떨어진다.
10대 수입국의 비중은 1990 ∼ 95년 사이에 73.7%에서 72.7%로 낮아지는데 이는 3∼7위의 나라들이 그 비중을 합하여 4.2% 포인트 올리지만 1∼2위 일본과 미국이 합하여 4.3% 포인트를 잃고 8∼10위도 비중을 잃었기 때문이다. 이기간에 한국의 수입선이 일부 다변화되었으며 3∼7위의 나라들이 수입의 비중을 높이고 있으나, 아직도 일본과 미국에의 편중이 46.6%로 심한 편이다.
특히 자본재와 몇몇 주요품목의 수입은 일본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에도 그 편중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일본에 대한 자본재 수입의 의존은 한국무역의 큰 과제로서 무역수지 적자의 큰 요인이다
4. 최근 수입동향 및 문제점, 나아갈 방향
휴대폰, VCR, 캠코더, 전기밥솥 등 수입선다변화 제도에 묶였다가 풀린 일본제품들이 올들어서도 높은 수입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1998년 12월말 해제된 32개 수입선 다변화 품목 중 캠코더의 경우 올해 1∼2월 대일 수입물량이 1년전에 비해 301.7%나 폭증, 캠코더 수입품 시장의 93.4%와 국내 캠코더 시장의 절반 가량을 점유했다
또한 99년 6월말 해제된 VCR, 컬러TV, 휴대폰, 자동차 등 16개 수입선 다변화품목의 경우 올해 1∼2월 대일 수입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백 77.7% 증가한 4천 3백만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VCR 337.7%, 컬러TV 195.2%, 승용차 289.7%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전기밥솥과 휴대폰의 경우 동종품목 수입시장을 거의 100%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입이 급증하면서 경상수지 흑자구조가 위협받고 있다. 최근의 수입급증은 국제 유가 급등 등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으나 사치성 고급소비재 수입증가, 소재 및 부품의 수입의존도 심화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요인이 많다. 아울러 금년 1월중 수입은 126억달러로 1월 수입규모로는 외환위기 이전인 97년 1월 125억달러를 웃도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러한 수입급증 요인으로는 일단은 국제유가 급등으로 원유 등 에너지 수입과 석유제품의 수입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그리고 여기에 기업의 설비투자 호조 특히 전자, 정보통신분야의 급격한 투자확대로 자본재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정보, 통신기기의 낮은 부품 국산화율 등으로 수출이 증가할수록 부품소재 수입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우리 경제는 1억달러 수출에 3000만 달러 정도의 수입을 유발한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국내 경기가 앞으로도 상당기간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원유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의 움직임도 불안정한 현 상황에서 향후 경상수지 흑자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계는 과소비를 자제하고 기업은 생산능력 확장보다는 합리화 정보화 투자에 주력해야 하며 정부도 수입의존형 산업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9.21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