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감상 - 민요의 개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민요의 개념

2.민요의 분류
남도민요
서도민요
경기민요

3.민요의 장단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덩더쿵
굿거리
타 령
세마치

4.민요배우기

본문내용

단을 번갈아 가며 자유롭게 친다.
덩더쿵/볶는타령(당악)
4/4박자의 리듬 형태를 갖춘 장단으로 탈춤이나 무악(巫樂)등 주로 춤곡에 쓰이나
간혹 신민요에도 이장단이 쓰이기도 한다.
I 덩 | | I 덩 | | I 덩 | | 따 I 쿵 | | I
굿거리
6/8박자 또는 3/4박자로 표기되며 민요에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장단이다.
'남원산성','몽금포타령' 등 어깨추밍 절로 나는 부드러우면서도 경쾌한 장단이다.
I 덩 | |기닥I 덩 |더러|러러I 덩 | |기닥I 쿵 |더러|러러I
I 덩 | |기닥I 쿵 | 따 | 쿵 I 쿵 | |기닥I 쿵 | 따 | I
이 두개의 장단을 번갈아 가며 자유롭게 친다.
타 령
12/8박자 또는 4/4박자로 표기되는 느린 장단으로 탈춤이나 춤곡으로 느리고 애조
띤 곡에 주로 쓰인다.
I 덩 | | I기닥| | 따 I 덩 | |기닥I | | 따 I
세마치(양산도)
굿거리 장단과 함께 민요의 주류를 이루는 장단이다. 9/8박자 또는3/4박자 로 표기
되며 약간 빠르게 진행된다. '밀양아리랑','진도 아리랑' 등에 쓰인다.
I 덩 | | I 덩 | | 따 I 쿵 | 따 | I
I더덩| | I 덩 | | 따 I 쿵 | 따 | I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