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공무원 임용제도 (개방형임용제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방형 임용제도의 내용과 경험적 사례
1. 개방형 임용제도의 내용
2. K도의 경험적 사례

Ⅲ. 개방형 임용에 있어서 몇 가지 혼란
1. 전문성의 상대적 수준
2. 전문성의 중요도
3. 전문성 수준의 결정요인
4. 개방형 임용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
5. 공익성에 대한 인식

Ⅳ. 결론 : 영역과 방법의 선택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학의 연구대상인 행정기관과 공무원만이 아니라 행정학자까지 행정학의 유용성을 부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여기서의 유용성은 기술 혹은 관리수단의 차원으로 전락된 유용성이다
) 이러한 문제는 비단 행정학만이 아니라 현 정부 들어서 우리 사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현 정부는 '신지식인' 혹은 '신지식사회'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람만이 지식인이라고 몰아세우고 있다. 물론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에 전혀 동의하지 않지만, 이 오도된 시각에서 보면 행정학은 쓸모없는 지식이고, 이에 종사하는 행정학자는 지식인이 아니다. 현 정부에서 지식인으로 인정받으려면 빨리 경영학으로 전공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 만일 행정학이 기술적·관리적 수단으로서의 유용성 조차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면, 이것은 행정학이 이론으로서 혹은 학문으로서 그 대상에 흔들리지 않는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이 추구하여야 할 '공공성'이고, 이를 위하여 공무원은 무슨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하고, 세상을 어떠한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지를 행정학의 대상에 제대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행정학의 두 발이 아닌 한 발은 적어도 현실에서 빼내어야 자신일 조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과학적 이론은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한 발 떨어져서 오히려 현실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점에서(강신택 1987:57), 우리의 행정학은 아직 부분적 방법과 전체적 영역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우리의 행정학이 반성할 점의 하나는 기본연구가 안되어 있고 세상을 이해하는 틀이 부족하다'는 박동서 교수(1997:134)의 지적을 본 논의의 결론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강신택.(1987).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박영사.
경영진단조정위원회.(1999). 『경영진단조정위원회 건의안』.
김광웅(1997). 『방법론 강의』. 박영사.
김성렬(1998). 『영국공무원제도』. 미발간.
김순양(1999). '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 어떻게 해야 성공할 수 있나 ' 「지방자치」. 4월호. pp.34-41.
박동서.(1997). 『한국행정론』. 법문사.
신무섭.(1999). 대학원 행정학교육의 변화 : 어제와 오늘, 서울대 행정대학원 개원 40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논문집.
한국행정연구원.(1998). 『공무원 근무실적평가를 위한 점수제 인사평정제도 도입방안』.
총무처직무분석기획단.(1996). 『정부직무분석』.
한스 피터 마르틴·하랄드 슈만, 강수돌.(1998) 역.『세계화의 덫』. 영림 카디널.
Bozeman, B..(1984). Dimensions of 'Publicness':An Approach to Public Organization Theory, in New Directions in Public Administration.(ed.). B. Bozeman & J. Strausman, Books/Cole.
Condrey, S.E..(1998).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Jossey-Bass Inc..
Cooper, T.L..(1994). Handbook of Administrative Ethics. N.Y.: Marcel Dekker.
Durant, R. F..(1998). Total Quality Management in Condrey, S.E.,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Jossey-Bass Inc..
Farazmand, Ali. ed..(1997). Modern Systems of Gvernment, Sage.
Foreign & Commonwealth Office.(1992). Guide to Staff Appraisal, U.K.: Personnel Management Dept.
Frederickson, G.H..(1989). Finding the public in public administration, Dept. of Public Admin., Univ. of Kansas, in Cooper, T.L.(1994) Handbook of Administrative Ethics. N.Y.: Marcel Dekker.
Gifford & E. Pinchot.(1993). The End of Bureaucracy & The Rise of Intelligent Organization, Berret-Koehler.
Halachimi, A.. (1995).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ppraisal, in J. Rabin. (ed.). (1995). Handbook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N.Y.: Marcel Dekker.
Harmon, M.M..(1981). Action Theory for Public Administration, Longman.
Harmon, M.M..(1995). Responsibility as Paradox, Sage.
Hatry, H. P. and D. M. Fisk..(1992). Measuring Productivity in the Public Sector, in Holzer, M.. (ed.). Public Productivity Handbook. N.Y.: Dekker.
Khator, R..(1997). Professionalism in Bureaucracy, in Modern Systems of Gvernment, Ali Farazmand(ed.), Sage.
Ventriss, Curtis.(1994). The "Publicness"of Administrative Ethics, in T.L.Cooper(1994), ed., Handbook of Administrative Ethics, Dekker, pp.218.
White, J. D..(1986). On the Growth of Knowledge in Public Administration, PAR, 46(1), pp.15-24.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9.23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