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기업환경과 CALS!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최근의 기업환경과 CALS(Commerce at Light Speed)

2.CALS의 역사

3.마케팅과 관련한 CALS의 효용

4.CALS의 전망

5.집중사례연구Ⅰ(자동차 산업)

6.집중사례연구Ⅱ(삼보 컴퓨터)

본문내용

보와 KDS(Korea Data Systems)의 합작회사를 설립하게 되었고, 그 회사는 e-Tower라는 최저 399달러의 초저가 PC를 98년 11월 미국시장에 출시하였다. 실제적으로 마케팅 조직과 판매 법인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이 회사는 99년 10월 통계로 미국 PC 시장에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출시 1년만에 저가PC시장(아직까지는 1000달러 이하를 지칭함)의 46%를 점유하며 저가 PC 시장 점유율 1위로서 2위인 COMPAQ의 26%(99년 7월-2nd Quarter-통계)를 훨씬 상회하는 놀라운 성장을 보였다. 황상호 씨에 따르면 삼보컴퓨터의 재무구조는 99년 10월 말을 기준으로 부채비율이 97년 회계연도의 688%에서 140%로 크게 호전되었으며 IMF당시 정리되었던 인원도 대부분 복직되었다고 한다. 또한 eTower의 자매제품격인 MicroPC Station은 X-Project의 일환으로 일본에서 출시되어 99년 10월 기준으로 시장점유율 4위를 기록하고 있다. IMF 위기 극복을 위한 공격적 해외시장개척의 X-Project는 당면 목표를 달성하며 성공작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X-Project는 이어 e-series, 즉 저가 PC 후속제품으로 일체형 PC를 현재 일본에서 시판하고 있으며, 현재는 저가 초소형 초경량 Notebook PC 개발을 진행중에 있다.
- X-Project 사례분석
시장조사와 CALS : 기동성!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X-Project는 단지 기술의 우위에서 비롯된 가격 인하가 주도한 기획이 아니었다. X-Project는 바로 철저한 고객중심의 Marketing Research를 통하여 그러한 고객의 욕구가 가격의 파격적 인하에 있음을 꿰뚫고 그에 따라 기술적 우위를 동원하여, 또한 기존의 CALS 환경을 이용, 확장함으로써 생성된 시너지를 활용한 대표적인 예인 것이다. 즉, 삼보가 전문 PC 제조업체로서 20년 가까이 쌓아온 Know-How를 통하여 구축해온 CALS환경이 기초되어 있었기 때문에, Marketing Research를 통해 확인된 니치 Market이 세계 유수의 대기업들에게 선점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한 의사결정과 유연한 진행과정을 거쳐 삼보에 의해 선점될 수 있었던 것이다. 얼핏 기업 전반의 운영에 대한 알고리즘으로 비칠 수 있는 CALS가 마케팅 조사와 맞물릴 때 X-Project와 같은 대 성공을 낳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유통과 CALS : 무재고 판매 원칙, 또는 기업의 아카르디아?
아카르디아는 유럽에서 헤르메스가 다스리는 이상향을 뜻한다. 고전파 물류론의 대표격인 Say's Law서도 보여지듯이 공급과 동시에 모든 물량이 소비되어 흡수 또는 회전되는 것은 어쩌면 모든 경제학자와 기업가의 이상향과 같은지도 모른다. 물론 emachines는 전혀 재고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동종 기업과 비교할 때 엄청난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이는 삼보와 KDS의 미국 법인인 emachines의 사장에 기업 내부인사가 아닌 미국 PC 유통업 전문가를 영입하여 미국내 Marketing과 유통을 전담하게 한 것에서 우선 드러난다. 또한 동종의 다른 회사는 1000명을 상회하는 직원을 거느리고 있는데 비해 emachines는 단 40명 수준의 직원만을 거느리고 있다. 이는 바로 유통의 효율성에서 기인한다. emachines의 무재고 판매, 또는 무창고 판매는 첫째, emachines의 제품이 Florida에 하적되는 순간 emachines의 자체 유통망이 아닌 미국 내의 기존 대형 유통업체(Office Depot, Staples 등등)가 이미 포장완료된 제품을 인수하여 자체 적재소로 이동 신속하게 제품을 판매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둘째, 이러한 유통은 바로 CALS 환경 하에서 기존에 풍부하게 구축되어 있는 미국 대형 유통업체의 전산망 Infra(위성 등을 사용한 실시간 물류Data System)와 삼보 본사 간에 EDI를 통한 자료 공유로써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반품이 발생했을 경우 유통업체에서 그 자료는 전산망에 게재되고 California에 위치한 emachines나 삼보 본사에서는 그 현황을 동시에 열람하며 제품에 하자가 있는 경우 수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잠시 유통업체의 적재소에 머무르는 동안 멕시코나 기타 남미 지역의 물류 현황을 확인하여 판매지를 결정하고 유통업체에서는 물품을 이동시키는 식이다. (삼보컴퓨터 기획팀, 황상호) 이러한 방식으로 재고의 회전율을 높임으로서 무재고에 가까운 운영을 가능하게 했다. 유통(Marketing Channel)이 Marketing의 한 축임을 감안할 때, CALS환경과의 조화는 기업물류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례요약
최근 각광받고 있는 ERP의 SAP/R3 Module에 의한 기업 내부의 전반적이며 통합적인 전산화 자원관리나, EDI수립에 의한 EC(Electronic Commerce, e-commerce)구현이 진정한 CALS를 구현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으나, 현재 빠른 속도로 진보하고 있는 CALS/EC 체제에 발맞춰 이를 적용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하는 삼보컴퓨터의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해야 하겠다. 즉, 상기 한국전산원 이정섭 연구원의 연구 결과처럼 단순히 CALS 환경을 구축한다는 것이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가져다 준다는 것 보다는, ERP, PDM, SCM 등 각 CALS 개체들이 BPR(Business Processing Reengineering)을 통해 상호 연계하면서 유동성과 기동성을 가져야 만이 기업에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X-Project는 비록 CALS의 최종 목표인 VE(Virtual Enterprise), 혹은 VC(Virtual Company) 즉 가상기업의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현제의 CALS환경의 세계적인 추세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며 덩치 큰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CALS환경의 효율적인 기동성을 새롭게 제시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9.25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