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조사설계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2. 연구의 설계 및 설문지 구성
3. 피험자의 선정
III. 분석결과 및 해석
1. 분석에 사용된 인구통계적 자료
2. 라이프 스타일의 판별분석을 위한 요인분석
3.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다량사용자와 소량사용자에 대한 판별분석
IV. 결론
1. 연구의 결론
2. 연구의 유용성
3. 연구의 한계
II. 조사설계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2. 연구의 설계 및 설문지 구성
3. 피험자의 선정
III. 분석결과 및 해석
1. 분석에 사용된 인구통계적 자료
2. 라이프 스타일의 판별분석을 위한 요인분석
3.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다량사용자와 소량사용자에 대한 판별분석
IV. 결론
1. 연구의 결론
2. 연구의 유용성
3. 연구의 한계
본문내용
대로 비교하면, 각각 3.9910과 3.8837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실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 다량 사용자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사람들은 생업과 관계된 문제 또는 인터넷의 부정적 측면과 신뢰성 부족등의 결과에 의해 인터넷 전반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의 사용이나 이용에 많은 시간을 투입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판별함수에 의해 추출된 각각의 변수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도출된 판별함수가 과연 유의적인가에 대한 검증 있어야 한다.
먼저 판별결과를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그림은 먼저 소량 사용자에 대한 분석 결과로서 X축의 "0"지점(도표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음)을 중심으로 좌측에 표시된 부분이 긍정적으로 분류된 부분을 나타내며, 우측에 표시된 부분은 케이스가 잘못 분류된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결과로 보면 소량 사용자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잘못 분류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위의 그림은 다량 사용자에 대한 분석 결과로서 이 그림 역시 X축의 "0"지점을 중심으로 좌측에 표시된 부분이 긍정적으로 분류된 부분을 나타내며, 우측에 표시된 부분은 케이스가 잘못 분류된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결과로 보면 다량 사용자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잘못 분류하고 있는 사례수가 소량 사용자의 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두 개의 집단별로 예측에 성공한 사례와 실패한 사례를 분류하고 예측 성공률과 실패율을 정리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이 표의 하단에 보면 original grouped cases가 68.8%를 정확하게 판별했고, cross-validated grouped cases의 66.9%가 정확하게 판별했다는 결과를 나타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의 그래프에서 나타낸 내용을 도표로서 요약한 것인데, Original(원자료)에서 보면 전체 111명 중에서 1로 표시되는 소량 사용자 76명은 올바르게 분류를 하였지만 나머지 35명은 잘 못 분류를 했다는 것이며, 그 아래 2로 표시되는 다량 사용자 43명중 30명은 다량 사용자로 올바르게 분류 하였지만, 나머지 13명은 잘 못 분류 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각 백분율이 그 아래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에 Cross-Validated는 판별함수에 대한 타당성 검증에 대한 각각의 결과이며, 타당성 자체는 원자료를 토대로 해서 분석된 결과보다 2%정도 하락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IV. 결론
1. 연구의 결론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라이프 스타일상 분명히 소량사용자와 다량사용자는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량사용자의 경우 라이프 스타일상 다음과 같은 특성들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상 정신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의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라이프 스타일상 신체적 편리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의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라이프 스타일상 여가 생활을 추구하는 사람들도 인터넷의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라이프 스타일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은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섯째, 라이프 스타일상 현실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턴넷의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2. 연구의 유용성
이러한 결과들을 이용하여 마케터들은 좀더 구체적인 표적시장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표적시장이 선정된다는 것은 마케터들로 하여금 그들 표적고객들의 욕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포지셔닝도 가능해 진다.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이해함으로서 경쟁자와는 다른 차별적인 방법으로 표적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그들의 심상에 경쟁자의 제품과 분명한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집중의 문제에 있어서 다량사용자에 대한 마케팅활동은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3. 연구의 한계
인터넷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한계점이 있었다. 먼저 표본의 수를 충분히 늘리지 못했으며, 완전 무작위를 취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의 소량사용자와 다량사용자를 구분하는데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이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추후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안광호, 이학식, 현용진, 마케팅, 법문사, 1994.
안광호, 하영원, 박흥수, 마케팅원론, 학현사, 2001.
오택섭 데이터분석법, 나남, 1993
이영준 다변량분석, 석정, 1991.
채서일외2인 SPSS/PC+를 이용한 통계분석, 학현사, 1992.
채서일 마케팅, 학현사, 1998
허만영 통계분석론, 2001
Donarden & Reynolds, 'Shopping orientation and product usage rat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8, 1971.
E. Jerome McCarthy, and William D. Perreault, Jr. Basic Marketing, IRWIN, 1984.
Henry Assael, Consumer Behavior & Marketing Action, PWS-KENT Publishing Company, 1987
James F. Engel & Martin R. Warshan, Thomas Kinnear, Promotional Strategy, IRWIN, 1991.
Philip Kotler & Grary Armstrong, Marketing ; an introduction, Prentive-Hall International, 1997.
이상으로 판별함수에 의해 추출된 각각의 변수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도출된 판별함수가 과연 유의적인가에 대한 검증 있어야 한다.
먼저 판별결과를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그림은 먼저 소량 사용자에 대한 분석 결과로서 X축의 "0"지점(도표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음)을 중심으로 좌측에 표시된 부분이 긍정적으로 분류된 부분을 나타내며, 우측에 표시된 부분은 케이스가 잘못 분류된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결과로 보면 소량 사용자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잘못 분류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위의 그림은 다량 사용자에 대한 분석 결과로서 이 그림 역시 X축의 "0"지점을 중심으로 좌측에 표시된 부분이 긍정적으로 분류된 부분을 나타내며, 우측에 표시된 부분은 케이스가 잘못 분류된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결과로 보면 다량 사용자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잘못 분류하고 있는 사례수가 소량 사용자의 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두 개의 집단별로 예측에 성공한 사례와 실패한 사례를 분류하고 예측 성공률과 실패율을 정리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이 표의 하단에 보면 original grouped cases가 68.8%를 정확하게 판별했고, cross-validated grouped cases의 66.9%가 정확하게 판별했다는 결과를 나타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의 그래프에서 나타낸 내용을 도표로서 요약한 것인데, Original(원자료)에서 보면 전체 111명 중에서 1로 표시되는 소량 사용자 76명은 올바르게 분류를 하였지만 나머지 35명은 잘 못 분류를 했다는 것이며, 그 아래 2로 표시되는 다량 사용자 43명중 30명은 다량 사용자로 올바르게 분류 하였지만, 나머지 13명은 잘 못 분류 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각 백분율이 그 아래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에 Cross-Validated는 판별함수에 대한 타당성 검증에 대한 각각의 결과이며, 타당성 자체는 원자료를 토대로 해서 분석된 결과보다 2%정도 하락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IV. 결론
1. 연구의 결론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라이프 스타일상 분명히 소량사용자와 다량사용자는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량사용자의 경우 라이프 스타일상 다음과 같은 특성들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상 정신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의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라이프 스타일상 신체적 편리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의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라이프 스타일상 여가 생활을 추구하는 사람들도 인터넷의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라이프 스타일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은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섯째, 라이프 스타일상 현실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인턴넷의 다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소량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2. 연구의 유용성
이러한 결과들을 이용하여 마케터들은 좀더 구체적인 표적시장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표적시장이 선정된다는 것은 마케터들로 하여금 그들 표적고객들의 욕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포지셔닝도 가능해 진다.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이해함으로서 경쟁자와는 다른 차별적인 방법으로 표적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그들의 심상에 경쟁자의 제품과 분명한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집중의 문제에 있어서 다량사용자에 대한 마케팅활동은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3. 연구의 한계
인터넷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한계점이 있었다. 먼저 표본의 수를 충분히 늘리지 못했으며, 완전 무작위를 취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의 소량사용자와 다량사용자를 구분하는데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이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추후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안광호, 이학식, 현용진, 마케팅, 법문사, 1994.
안광호, 하영원, 박흥수, 마케팅원론, 학현사, 2001.
오택섭 데이터분석법, 나남, 1993
이영준 다변량분석, 석정, 1991.
채서일외2인 SPSS/PC+를 이용한 통계분석, 학현사, 1992.
채서일 마케팅, 학현사, 1998
허만영 통계분석론, 2001
Donarden & Reynolds, 'Shopping orientation and product usage rat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8, 1971.
E. Jerome McCarthy, and William D. Perreault, Jr. Basic Marketing, IRWIN, 1984.
Henry Assael, Consumer Behavior & Marketing Action, PWS-KENT Publishing Company, 1987
James F. Engel & Martin R. Warshan, Thomas Kinnear, Promotional Strategy, IRWIN, 1991.
Philip Kotler & Grary Armstrong, Marketing ; an introduction, Prentive-Hall International, 1997.
추천자료
인터넷중독의 특성과 실태 및 대처방안
인터넷중독과 게임중독
인터넷 웹 이용자의 검색엔진 선택여부 및 성향에 관한 분석
인터넷광고가 광고산업에 미치는 영향jo
인터넷 공간의 익명성이 아동들의 심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인터넷 포르노그라피, 그 표현의 자유와 한계
인터넷 마케팅 활용
인터넷광고의 이해
인터넷 악성 댓글(악플)을 정의하고, 악플의 원인과 문제점 및 대책방안과 본인의 생각을 서술.
인터넷 게임 중독의 현황과 해결책
인터넷_웹사이트_구축_전략
인터넷활용수업의 장점과 단점, 교수 학습의 방법
인터넷 공간에서의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네이트온 메신저를 중심으로 -
인터넷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