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총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15세기 주자학의 발달

2. 16세기 성리학 발전.

3. 17. 18 세기 유학

4. 실학

5. 한글의 창제

6. 역사학

본문내용

, 중국의 명, 청실록보다 내용이 매우 상세하고 우수한 것으로 평가됨.
3) 17세기 : 당색에 따른 독자적 인식 체계형성, 역사지리학적 관심 고조, 동사찬요, 동사보유, 동국지리지, 동사 등..
4) 18세기 : 소론, 남인 계열에서 편찬, 집권층 노론은 정치에 주력하여 당론서 편찬에 치중. 동 사, 동사강목.
5) 19세기 : 사료집적 성격이 강해짐. 연려실기술 등.
이에 나 정복은 이것을 읽고 개연히 바로잡아 볼 뜻이 있었다. 널리 우리나라 역사 및 중국의 역사 속에서 우리나라 일에 대해 말한 것들을 가져다가 깎고 다듬어서 책을 만들었는데, 한결같이 주자가 이루어 놓은 법을 따랐다. 대체로 역사가가 역사 서술하는 방법은 정통을 밝히는 것이다. 나라를 빼앗은 것이나 반역한 것을 엄격히 다루며, 옳고 그름을 바로잡고 충절을 드날리고 제도와 문물을 자세히 해야한다. 여러 역사책에서 예전부터 문제가 되는 것은 약간 손질을 하고, 잘못이 심한 것은 따로 부록2권을 만들어 아래에 붙였다.
범례통계
1. 정통은 단군, 기자, 마한, 신라 문무왕, 고려태조이다.
신라는 고구려에 대해 나라를 병합한 예에 따랐으므로 통일한 이듬해에 정통을 이은 것이다. 고려는 견훤에 대해 도적을 평정한 예에 따랐으므로 통합한 해에 정통을 이은 것이다.
1.위만은 왕위를 빼앗은 도적이다. 동국통감에서는 단군, 기자와 함께 삼조선이라 일컬어서 마치 두 조선과 덕도 같고 의리도 같은 것처럼 하였으나, 이를 빼내어 옳지 못한 나라의 예에 따랐다.
*동사강목
--동사강목은 안정복이 명분과 의리에 바탕을 둔 성리학적 사관에 입각하여 선배학자들의 역사연구축적을 종합하여 엮은 고조선으로부터 고려에 이르는 편년체 통사서이다. 정통 왕조를 기자조선,마한, 통일신라로 보았다. 사실을 고증하기 위하여 주를 달았다. 부록에서 여러기록을 비교검토하여 옳고 그름을 논하였다. 신화, 설화의 기록에서 믿을 수 없는 내용을 비판하여 고증사학의 토대를 닦았다.
고려에서 발해사를 편찬하지 못하였으니, 고려가 떨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옛날에 고씨가 북쪽에 살면서 고구려라 하였고, 부여씨가 서남쪽에 살면서 백제라 하였으며, 박,석,김씨가 동남쪽에 살면서 신라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삼국이다. 그러니 마땅히 삼국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고려가 이것을 편수한 것은 옳은일이다. 부여씨가 망하고 고씨가 망한다음, 김씨가 남방을 차지하고 대씨가 북방을 차지하고는 발해라 했으니, 이것을 남북국이라 한다. 남북국에는 남북국의 사서가 잇었을텐데, 고려가 편찬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다. 저 대씨가 어떤 사람인가 바로 고구려 사람이다. 그들이 차지하고 있던 땅은 어떤땅인가 바로 고구려 땅이다.
*발해고
--유득공은 신라와 발해를 남북국으로 인식하고 발해가 우리 민족의 역사임을 밝혔다. 이종휘는 '동사'에서 고조선과 삼한, 부여와 고구려 계통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였다. 그는 이들 나라를 모두 단군의 후예로 간주하고 발해 또한 고구려의 후계자로 인정하여, 만주에 세웠던 나라들이 본래 우리 강토였음을 강조하였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9.2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