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견인(traction)
1. 목적
2. 종류
3. 합병증
4. 간호
1. 목적
2. 종류
3. 합병증
4. 간호
본문내용
rope가 낡아지지 않았는지 여부
- 풀어지지 않았는지 여부
- 추가 땅에 닿지 않았는지 여부
- 도르레가 잘 유지 되었는지 여부
① 피부견인시 : 피부와 신경의 압박의 상태 관찰
·압박 받기 쉬운 부분
- Achilles tention
: 발뒤꿈치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게를 대주고 시간마다 마사지한다.
- 비골신경 :비골 두부 부분이 눌려 비골 신경이 눌리기 쉽다.
(특히 Russel traction의 경우 마비가 되면 foot board 이용
확인 : 감각의 변화, 배굴과 발운동의 약화)
- 오금 부분
- 복사골 부분
② 골견인(skeletal traction)시
·개방되어 있으므로 골강염 우려
·발적, 배농, 냄새, 기타 다른 감염 증상 확인
·지연유합(delayed union)의 우려
- 풀어지지 않았는지 여부
- 추가 땅에 닿지 않았는지 여부
- 도르레가 잘 유지 되었는지 여부
① 피부견인시 : 피부와 신경의 압박의 상태 관찰
·압박 받기 쉬운 부분
- Achilles tention
: 발뒤꿈치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게를 대주고 시간마다 마사지한다.
- 비골신경 :비골 두부 부분이 눌려 비골 신경이 눌리기 쉽다.
(특히 Russel traction의 경우 마비가 되면 foot board 이용
확인 : 감각의 변화, 배굴과 발운동의 약화)
- 오금 부분
- 복사골 부분
② 골견인(skeletal traction)시
·개방되어 있으므로 골강염 우려
·발적, 배농, 냄새, 기타 다른 감염 증상 확인
·지연유합(delayed union)의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