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부 : 제자백가의 내용과 영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2 부 : 제자백가의 내용과 영향
1. 인의는 좋았으나 예교가 --- 유가
2. 법대로 했다면야 --- 법가

본문내용

누구나 배고프면 밥 생각이 나고 추우면 옷 생각이 나기 때문에 인간은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런 제약이 없는 自由를 莊子는 추구했던 것이다. 佛敎에서도 人生을 苦海로 보고 죽음으로써 解脫한다고 본다. 대개 佛敎나 道家의 信徒들이 達觀한 탓이겠지만 萬古太平스런 표정을 짓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道家는 中國의 先秦時代의 學說이지만 中國의 여타 學說과는 거리가 있고 오히려 印度의 佛敎에 더욱 가깝다. 類類相從이란 말이 있지 않는가. 佛敎가 대략 漢代 末期에 中國으로 수입된 이래, 道家와 찰떡 궁합을 이룬 것도 이런 이유이다. 道家가 佛敎와 접목하면서 中國式의 道敎로 변화한 것도 역시 이런 이유이다.
) 그러나 道敎는 道家와 동일시할 수는 없다. 道家는 生死觀에 있어 厭世的인 경향이 농후하지만 道敎는 煉丹術이나 攝生 등을 통해 이생에서의 長生不死를 꿈꾸고 있다. 자신이 속한 학파의 학설을 주장하거나 신봉하는 목적 자체가 다르다.
道家의 장단점을 살펴본다면 대략 다음과 같다..
道家가 다른 學派에 비해 독특한 것은 이른바 本體論을 중시했다는 점이다. 本體論이란 현재 살고 있는 이 세상이 어떻게 생성되었는가 하는 것을 따지는 것이다. 本體論은 현대에 이미 자연과학의 범주로 들어갔지만 철학과 과학이 분리되지 않았던 옛날에는 대개 철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환경이 어떻게 생겨났는가 하는 생각은 곧바로 우리의 인생관을 지배하기 때문이며 이 인생관은 다시 우리의 모든 행위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天地는 하나님이 창조했다고 믿는 基督敎인들은 그렇게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행동하지 않겠는가? 같은 맥락에서 儒家인 孔子의 경우, 그는 단지 우주를 쳐다보며 이렇게 생각했다..「아~ 해와 달과 별들이 참으로 한결 같구나. 그러니 무릇 君子란 저~ 日月星辰의 한결 같고 변함없는 運行처럼 끝임 없이 노력해야겠다.」 孔子의 일생은 분투하는 그러한 생활의 연속이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 ≪易經.乾.象辭≫:「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孔子가 평생 분투하였다는 점은 단지 ≪論語≫ 한 권으로도 충분히 증명할 수 있다. 그는 원래가 훌륭한 政治家가 꿈이었으나 현실에서 좌절하자 교육에 전념하게 된다. 교육이 제1지망은 아니었지만 그의 분투하는 태도는 오늘날의 교육자들에게 훌륭한 모범이 된다고 생각한다. 다음 한 구절만 보자..≪論語.述而篇≫:「葉公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 子曰..『女奚不曰..其爲人也, 發憤忘食, 樂而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
老子는 宇宙의 生成에 대해 이렇게 주장했다..「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老子.43章≫) 또한「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老子.40章≫) 물론 여기서 道는 自然이자 無이며, 一은 有, 二는 陰陽, 三은 陰과 陽의 조화로 이루어진 和氣를 합쳐 셋. 이러한 本體論을 주장하기 때문에 老子는 自然主義가 될 수 밖에 없었으며 그의 정치, 경제, 문화, 지식 등등에 관해 無爲自然을 주장하게 된다. 莊子의 경우도 대동소이하다.
) ≪莊子.知北遊≫:「有先天地生者物耶? 物物者'非物'.」天地(우주)가 생성되기 전에 어떤 물건이 있는가? 天下萬物을 天下萬物되게끔 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적어도 天下萬物 자체는 아닌 다른 그 무엇일 것이다. 이 '다른 그 무엇'이 무엇인가? ≪莊子.庚桑楚≫:「萬物出乎無有. 有不能以有爲有, 必出乎無.」역시 老子와 주장과 같이 無이다.
또한 道家는 인간 세상의 추악함 및 극도의 물질적 향락이 얼마나 인간에게 害惡
) 老子는 物質文明을 극도로 반대했다고 생각된다. ≪老子≫의 다음 구절을 읽어보자..「五味令人口桑, 馳騁田獵令人心發狂, 難得之貨令人行妨.」
을 끼치는지 꿰뚫어 보았기 때문에 先秦諸子百家 중에 물질 생활에 구애받지 않고 정신의 만족을 추구하는
) ≪老子≫:「知足不辱, 知止不殆.」「罪莫大于可欲, 禍莫大于不知足.」
가장 達觀的인 인생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는 거의 환상에 가까운 무균질 인격체를 보여주고 있다. 개인의 修養면에서 歷代 中國人들이 佛敎와 함께 이 道家를 선호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知識을 경시하고 文化遺産을 무시하며 一切의 人爲的이고도 후천적인 文明을 거절함과 동시에 原始時代로 回歸할 것을 주장하는 것 등은 현실에서 실현 불가능할 뿐 아니라 일종의 自我陶醉로 흐르는 소극적인 인생관을 배태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러나 諸子百家 중 中國文學과 가장 긴밀한 學派를 꼽으라면 당연히 道家다. ≪老子≫는 韻文에 거의 가까운 문장 형태로 學者에 따라서는 일종의 哲學詩로 간주하기도 한다. 반면 ≪莊子≫는 散文인데 奇異한 想像力과 氣勢가 넘치는 論說文이다. 문장이란 比喩가 適切하고 特異하면 호소력이 강력하다. 論說文인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莊子≫의 문장은 비단 중국 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 어느 시대를 통틀어 가장 적절하고 가장 특이한 比喩를 寓言의 형태로 발표하고 있다.
) 물론 서양에는 ≪이솝 우화≫가 있다. 그러나 ≪莊子≫처럼 신기한가? ≪莊子≫의 寓言은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신기한 比喩로 일관하고 있다.
賈誼, 李白, 韓愈, 蘇軾 등등 무릇 중국의 이름 있는 文學家치고 ≪莊子≫를 熟讀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다. 文壇 怪傑 金聖歎은 수천 년 中國文學史를 통틀어 "六才子書"라 하여 단 여섯 권의 작품을 뽑은 적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莊子≫였다.
) 나머지 다섯은 屈原의 楚辭 <離騷>, 司馬遷의 ≪史記≫, 杜甫의 詩, 施耐庵의 ≪水滸傳≫, 王實甫의 ≪西廂記≫.
文學家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움이다. 특히 정신적인 속박이 없는 逍遙遊
) ≪莊子≫ 篇名의 하나가 바로 <逍遙遊>다.
의 정신이다. 古代中國文學에서 이점을 가장 많이 제공한 學派가 바로 道家라고 하겠다.
) 자세한 것은 과제나 토론으로 대신할 것임 ☞ 대학원생.
文字는 둘째치고 모든 문명의 성과를 반대했던 道家에게서 文字로 작품 활동을 하는 文學家가 가장 큰 은혜를 입었다는 것도 참으로 歷史의 奇妙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참고: 'Lao-tzu's tips for Clinton' (Korea Herald '93.7.3)

키워드

제 2 부,   제자백가,   내용,   영향,   법가
  • 가격3,300
  • 페이지수85페이지
  • 등록일2002.09.29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