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글을 시작하면서.. : 너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2. 글의 한가운데서..

3. 끝마치면서 ..: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본문내용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바르트의 역사개념에 있어서 세속사가 구속사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발견한다. 여기에 대해 루터 신학자 글뢰게(Gloege)가 지적한 대로 바르트는 세속사를 구속사의 선험성에 환원시킴으로써 고유한 세속사를 위축시키고 있다. 그리고 오토베버는 바르트의 기독론을 평가하기를 아래의 것이 너무나 엄격하게 위의 것으로 주입되어 생략되고', 지상의 사건으로서의 역사는 단지 너무 쉽사리 그 앞서 놓여 있는 것의 단순한 목록이 된다'라고 했다.
여기서 기독교 신학의 핵심인 구속론의 본질적 구조는 하나님의 심판과 진노를 야기시키는 불순종하는 현실적 인간의 죄를 제거하는 구체적인 역사성을 상실하고 있으며 그대신 새로운 범기독론적인 구조, 즉 삼위일체적 신의 내적 과정과 그리스도 보편주의적 은총의 자기 운동이 지배적이 되므로 바르트 신학은 범기독론적 관념주의에 직면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 김 영한, op.cit., pp.63-68.
다음은 바르트에게 있어서 십자가는 왕적인간의 대관식이다. 십자가는 왕적 인간의 왕관이며 예수가 대관식을 갖는 자리이다. 제자들이 십자가에 의하여 절망에 빠져 버렸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후에 십자가는 모든 이생의 소망과 영원한 소망에의 굳건한 기초와 상징이 되었고 이러한 소망가운데 그들은 살았으며 그것을 세상에 선포할 수 있었다. 바르트에게 있어서 모든 신학이 중심은 십자가 더욱이 십자가는 대속의 교리의 중심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하신 일은 곧 우리를 위하여 하신 일이다.
십자가와 관련하여 부활을 보면 첫째, 부활은 십자가 만큼 중요하고 인간의 결정과 행동의 영역을 넘어서 발생 둘째, 십자가와 부활은 관계가 있고 하나님께서 자신과 우리를 화해하신 사건으로서 함께 속하여 있다. 셋째, 바르트는 부활이 역사적 사건이라고 믿는다. 넷째, 십자가와 부활은 한 사건을 형성한다.
. 윤 철호, op.cit., p.197-208. 요약.
3. 끝마치면서 ..: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있어서 기독론적 고백의 의미는 무엇인가? 발타잘이 말한 모래 시계의 비유에서 처럼 하나님의 계시에 있어서의 Initiative는 예수그리스도를 통해서 인간과의 계시의 접촉점을 가질 수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바르트의 신학을 기독론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바르트 그 스스로가 말했듯이 그의 신학은 고요한 어두움을 깨운 커다란 종소리의 반향만큼 실로 컸다.
바르트의 기독론의 특징은 단순히 그의 신론과 창조론과 나란히 하여 그리스도론(인격과 사업)을 다룰 수 있는 성격이 아니다. 그것은 그의 신학이 기독론적'이라는 것이다.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이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가 그의 신학의 중심을 이룬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중심적 강조는 직접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대하는 하나님 자신을 가리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교의학(전체로서나 부분적으로)을 끌고 나가야 하는 것이다.
바르트에게 있어서는 기독론의 문제는 예수의 인격에서 참으로 하나님과 참으로 인간이 하나가 된다'는 주장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리스도론은 시간의 한 가운데서 예수의 존재의 시간적인 사건에서 우리와 같은 한 인간 속에서 주 하나님이 진정으로 유일회적으로 행동의 주격이 된 그 사건으로 보는 문제이다.
. 박 봉랑, 신학의 해방, (대한 기독교 출판사:1991), pp.496-497.
혹자는 그리스도 중심주의(Christocentrism)가 지나쳐 그리스도 유일주의(Christomonism)가 되고 말았다고 비판하기도 하며, 또 혹자는 바르트가 그리스도 안의 계시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주권성과 주체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계시 실증주의 (revelationary positivism)에 빠졌다고도 비판한다.
바르트의 기독론은 칼세돈 신조의 두본성 교리와 케노시스 기독론의 두 상태교리를 절묘하게 연합하고 칼빈의 삼중적 직무와 전통적인 화해의 교리와 크리스찬의 실존등을 특유의 천재적 솜씨로 관련시키고 체계화 한 점에 독특한 새로움이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고대 에큐메니칼 신조와 중세, 개혁주의의 전통적인 기독론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 윤 철호, op.cit., p.211.
바르트의 화해론에 나타난 기독론
교회 교의학
제 4부 1권
제 4부 2권
제 4부 3권
두 본성 교리와
두 상태 교리
화해하시는 하나님 (신성)
화해된 인간(인성)
하나님 - 인간
(신인연합)
겸허
인간이 되신 하나님, 종으로서의 주
고양
하나님이 되신 인간, 주로서의 종
화해
현실
진리
화해자 중보자 계시자
삼중적 직무
제 사 장

예 언 자
화해의 세차원
칭 의
성 화
소 명
그리스도인의 실존의 3단계
믿 음
사 랑
소 망
그리스도안의 화해르 거부하는 조의 본질
교 만
<-->예수 그리스도의 겸허
태 만 <-->
예수그리스도의
고양
거 짓 <-->
예수그리스도의 진리
참 고 문 헌
1)연구 저작
1. EBERHARD BUSCH, KARL BARTH, (TRANSLATION, SCM PRESS Ltd, Londonand fortress press. philadelphia)1976.
2. D.L. Muller, 이 형기 역, 칼바르트의 신학사상,(서울; 엠마오 1986)
3. 신 옥수, 칼 바르트의 신학개론, (크리스챤 다이제스트:1994)
4. 오토베버 저, 김 광식 역, 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 대한 기독교서회:1976)
5. 목 창균, 현대신학 논쟁, (두란노: 1995)
8. 오스카 쿨만 지음, 김 근수 옮김, 신약의 기독론, (나단:1988)
7. 김 균진, 헤겔과 바르트, (대한기독교 출판사:1983)
8. 김 영한,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대한기독교 출판사:1982)
9. 조성노 편, 현대신학 개관(현대신학 연구소1994), 중에서 최 종호, 바르트의 하나님 말씀의 신학.
10. 박 봉랑, 신학의 해방, (대한 기독교 출판사:1991)
2) 연구 논문
1. 김 명용, 칼바르트의 로마서 강해, (교회와 신학 20: 1988)
2. 윤 철호, 교회교의학에 나타난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과 기독론, 장신논단(92.8)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0.0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