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바르트 예정론의 근거 및 출발점.
1. 잘못된 근거
2. 올바른 근거
3. 교의학에서의 예정론의 위치
Ⅲ 선택의 주체와 객체인 예수 그리스도
1. 선택하는 하나님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2. 선택된 인간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Ⅳ 그리스도의 선택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원한 의지
1. 예정의 인식론적 근거
2. 계시된 하나님의 영원한 예정
3. 이중의 예정
4. 영원한 사건으로서의 예정
Ⅴ 공동체의 선택
1. 이스라엘과 교회의 선택
2. 하나님의 심판과 자비
3. 하나님의 약속과 공동체의 신앙
Ⅵ 개인의 선택
1. 예수 그리스도의 약속과 수납.
2. 선택받은 자와 버림 받은 자.
3. 선택 받은 자의 규정
4. 버림받은 자의 규정
Ⅶ 결론
Ⅱ.바르트 예정론의 근거 및 출발점.
1. 잘못된 근거
2. 올바른 근거
3. 교의학에서의 예정론의 위치
Ⅲ 선택의 주체와 객체인 예수 그리스도
1. 선택하는 하나님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2. 선택된 인간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Ⅳ 그리스도의 선택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원한 의지
1. 예정의 인식론적 근거
2. 계시된 하나님의 영원한 예정
3. 이중의 예정
4. 영원한 사건으로서의 예정
Ⅴ 공동체의 선택
1. 이스라엘과 교회의 선택
2. 하나님의 심판과 자비
3. 하나님의 약속과 공동체의 신앙
Ⅵ 개인의 선택
1. 예수 그리스도의 약속과 수납.
2. 선택받은 자와 버림 받은 자.
3. 선택 받은 자의 규정
4. 버림받은 자의 규정
Ⅶ 결론
본문내용
를 원하지 않는다. 그가 원하시는 것은 하나님의 버림받은 바로 그 사람이 복음을 듣고 그의 선 택의 약속을 듣는 것이다. 그에게 이 복음이 선포되기를 그는 원하신다. 복음을 통하여 그에게 주어진 희망을 그가 붙들고 이 희망으로부터 살 수 있기를 원하신다.
) KD., Ⅱ/2. p. 532.
Ⅶ 결론
이상의 논의에서 예정론에 대한 칼바르트의 견해들을 알아보았다.
바르트의 예정론을 한마디로 말하라고 한다면,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은혜의 영원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전통적인 예정론자들이 말한 하나님의 절대적 결정 및 이중예정을 수용하여 하나님의 원 결단 및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이중 예정으로 해명하고 있음을 보게된다. 그래서 전통적인 예정론을 수용하지만, 바르트에게 있어서 이중예정은 절대적 결정 즉 두려움과 공포를 동반하는 이중예정이 아니라 새로운 빛으로 조명된 복음으로서의 예정이다.
) KD., Ⅱ/2. pp. 175-177.
따라서, 우리는 바르트의 예정론을 고찰함으로서 예정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도록 해야겠다. 예정론은 일군의 무리는 심판, 일군의 무리는 구원으로 나누는, 다시 말해서, 좋은 그리스도인과 나쁜 그리스도인들을 구분하는 수단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영원한 은혜의 선택임을 알게 했다.
)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p77.
그러나 바르트의 예정론은 '만인구원설'이 아닌가 하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인간의 거부가 아니라 선택이 결정되었다는 주장을 이끌고 나가면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에서 모든 사람의 구원이 결정된다는 결론이 되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만인 구원론의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불신앙이 선택에서 제거된 가능성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만인구원론은 거부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르트의 결정적 선택의 승리와 만인 구원론의 거부 사이에 해결되지 않은 긴장이 없어질 수는 없는 것 같다.
) J.L.니이브, 기독교 교리사, 서남동 역(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86) p. 153.
그러나 바르트의 선택론이 만인 구원설로 비판을 받느냐 안 받느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최후 심판의 이중 결말과 만인 구원이라는 두 가지 신학적 논제를 어떻게 결부시킬 수 있는가라는 과제를 앞으로의 신학의 과제라고 믿는다.
)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p79.
바르트의 예정론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은혜와 은총은 그를 믿고 따르는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주시는 은혜이다. 특권층이나 일부의 무리만이 구원을 받도록 선택된 제한된 은혜가 아니다. 자신들만이 선택받았다고 착각하며 사는 우매한 집단들에게 있어서 바르트의 예정론은 구원으로 향하는 진리의 길을 제시하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p80.
참고문헌
김명용,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pp62-83.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데이비드 L. 뮬려, 칼바르트의 신학 사상, 도서출판 엠마오, 1886, pp112-129.
김균진, 헤겔과 바르트,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pp. 303-352.
전경연 편, 은총의 선택과 복음과 율법, 복음주의 신학 총서 2집(서울 : 향린사, 1985), p. 8
) KD., Ⅱ/2. p. 532.
Ⅶ 결론
이상의 논의에서 예정론에 대한 칼바르트의 견해들을 알아보았다.
바르트의 예정론을 한마디로 말하라고 한다면, 그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은혜의 영원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전통적인 예정론자들이 말한 하나님의 절대적 결정 및 이중예정을 수용하여 하나님의 원 결단 및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이중 예정으로 해명하고 있음을 보게된다. 그래서 전통적인 예정론을 수용하지만, 바르트에게 있어서 이중예정은 절대적 결정 즉 두려움과 공포를 동반하는 이중예정이 아니라 새로운 빛으로 조명된 복음으로서의 예정이다.
) KD., Ⅱ/2. pp. 175-177.
따라서, 우리는 바르트의 예정론을 고찰함으로서 예정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도록 해야겠다. 예정론은 일군의 무리는 심판, 일군의 무리는 구원으로 나누는, 다시 말해서, 좋은 그리스도인과 나쁜 그리스도인들을 구분하는 수단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영원한 은혜의 선택임을 알게 했다.
)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p77.
그러나 바르트의 예정론은 '만인구원설'이 아닌가 하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인간의 거부가 아니라 선택이 결정되었다는 주장을 이끌고 나가면 결국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에서 모든 사람의 구원이 결정된다는 결론이 되지 않는가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만인 구원론의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불신앙이 선택에서 제거된 가능성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만인구원론은 거부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르트의 결정적 선택의 승리와 만인 구원론의 거부 사이에 해결되지 않은 긴장이 없어질 수는 없는 것 같다.
) J.L.니이브, 기독교 교리사, 서남동 역(서울 : 대한 기독교 서회, 1986) p. 153.
그러나 바르트의 선택론이 만인 구원설로 비판을 받느냐 안 받느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최후 심판의 이중 결말과 만인 구원이라는 두 가지 신학적 논제를 어떻게 결부시킬 수 있는가라는 과제를 앞으로의 신학의 과제라고 믿는다.
)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p79.
바르트의 예정론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은혜와 은총은 그를 믿고 따르는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주시는 은혜이다. 특권층이나 일부의 무리만이 구원을 받도록 선택된 제한된 은혜가 아니다. 자신들만이 선택받았다고 착각하며 사는 우매한 집단들에게 있어서 바르트의 예정론은 구원으로 향하는 진리의 길을 제시하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p80.
참고문헌
김명용,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pp62-83.
조익홍, [칼바르트의 예정론 연구-교회 교의학 Ⅱ/2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데이비드 L. 뮬려, 칼바르트의 신학 사상, 도서출판 엠마오, 1886, pp112-129.
김균진, 헤겔과 바르트,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pp. 303-352.
전경연 편, 은총의 선택과 복음과 율법, 복음주의 신학 총서 2집(서울 : 향린사, 1985), p. 8
추천자료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
바르트 삼위일체론
칼바르트의 생애와 신학사상
어거스틴, 칼뱅, 칼 바르트의 예정론 비교
[칼 바르트][칼 바르트 신학][칼 바르트 하나님 인식론][칼 바르트 예정론][칼 바르트 화해론...
[예정론][예정론 본질][예정론 목적][예정론 특징][예정론 교리][하나님][칼 바르트 예정론]...
[구원][구원 조건][구원 필요성][죄][구원과 신앙][구원과 예정론][구원과 성화론][구원과 성...
칼 바르트 신학의 특징, 칼 바르트 신학의 배경, 칼 바르트 신학의 인간학, 칼 바르트 신학의...
[신학][군켈][칼빈][칼뱅][루터][캅][바르트][라드][어거스틴]헤르만 군켈의 신학, 존 칼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