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복지의 한국적 전개 ( 케어복지사 )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케어의 개념
2. 케어복지사와 방문간호의 차이
3. 케어복지사와 사회복지사
Ⅲ. 케어복지사의 필요성
1. 케어와 간호의 관계
2. 케어복지사의 제도적 도입방법
Ⅳ. 케어복지사의 교육훈련
1. 교육훈련의 필요성과 의의
2.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Ⅴ. 제안 및 결론

본문내용

좋은 교과과정과 교과목, 기간, 실습 등이 협의되어 훌륭한 케어복지사가 양성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수영, "우리 나라 민간 사회복지 분야 교육훈련 현황과 문제점", 『계간 사회복지』, 통권 제138호, pp.7-22
대한간호협회 서울특별시지부 학술위원회, "가정간호사업의 수요측정과 모형설정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 제30권 제2호, 1991.
보건복지부, "보건소근무보건간호사의 업무지침서", 자료, 1995.
보건사회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가정간호시범사업관리운영지침", 1994.
신섭중,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계간 사회복지』, 통권 제129호, 1996, pp.7-22
이해영 안향림 편역, 『개호복지론』, 학문사, 1998.
최재성 김재엽, "전문직에 대한 규제특성의 측면에서 본 미국의 사회복지사제도", 『계간 사회복지』, 통권 제129호, 1996, pp.23-40
한혜빈, "한국 사회복지 대학교육의 과제", 『계간 사회복지』, 통권 제130호, 1996, pp.7-26
鎌田ケイ子, "看護と介護", 佐藤智 古瀨徹 編, 『長壽社會のト タルケア<長壽社會總合講座⑤>』, 第一法規, 1993, pp.27-38
古川孝順 외, 『介護福祉』, 有斐閣, 1996.
奧田いさよ, 『社會福祉專門職性の硏究』, 川島書店, 1992.
津久井十 編, 『介護福祉槪論』, 建帛社, 1997.
<부록 1> 케어복지사 교육과정 시안
-케어복지사에 대하여-
1. 케어의 개념
케어복지사(care worker)란 노령 또는 심신장애자와 사회적 원인에 의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곤란한 상태에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대인원조를 기반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생활의 확보와 성장, 발달을 목표로 대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생활의 자립을 위해 생활측면에서의 개조, 가사, 건강관리 등의 원조활동이다.
2. 케어복지사의 역할
케어복지사의 역할은 어떠한 건강상태에 있더라도 그 사람이 일상적으로 살아온 자립생활에 지장이 있다면 그것을 보충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어복지자가 개입하는 방법은 그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자립하여 스스로 보통의 생활을 유지하는데 신체의 각 부분의 활동에 지장이 있다면 그것을 보충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3. 장래의 발전성
신체적/정신적으로 장애인이 많이 발생하는 21세기에는 각광받는 업종이 될 것이다. 이러한 장애는 고도산업사회에서 산업재해로 인한 장애인, 인구의 평균수명 연장에 의한 장애노인의 발생, 환경오염에 의한 선천성 장애인의 발생 등에 의한 것이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에는 이미 국가 인정자격증으로 규정되어 인기있는 직종이 되었다.
4. 수강료
본 과정은 일주일에 6시간을 수강하므로 180,000원 정도가 될 것이다.
5. 케어복지사 과정 강의내용
강의 수
강의주제
강사 및 직위
제 1강의
제 2강의
제 3강의
제 4강의
제 5강의
제 6강의
제 7강의
제 8강의
제 9강의
제 10강의
제 11강의
제 12강의
제 13강의
제 14강의
제 15강의
제 16강의
제 17강의
제 18강의
제 19강의
제 20강의
제 21강의
제 22강의
제 23강의
제 24강의
제 25강의
제 26강의
제 27강의
제 28강의
제 29강의
제 30강의
제 31강의
제 32강의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개론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
개호개론
개호개론
개호개론
개호기술론
개호기술론
기본간호
기본간호
기본간호
사례관리
사례관리
응급처치론
응급처치론
재활론(물리치료)
재활론(물리치료)
영양/조리
영양/조리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론
동양의학 및 민간요법
동양의학 및 민간요법
상담심리
상담심리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장영숙 혜원장애인복지관 관장
장영숙 혜원장애인복지관 관장
장영숙 혜원장애인복지관 관장
이은주 현도대 교수
이은주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이명희 연풍초등 보건교사
이명희 연풍초등 보건교사
문혜리 청주과학대 교수
문혜리 청주과학대 교수
문혜리 청주과학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조추용 현도대 교수
노대호 충북적십자사
노대호 충북적십자사
손여정 충대병원 물리치료사
손여정 충대병원 물리치료사
조민자 충대병원 영양사실장
조민자 충대병원 영양사실장
남기민 청주대 교수
남기민 청주대 교수
김선영 성심한의원 원장
김선영 성심한의원 원장
정명숙 현도대 교수
정명숙 현도대 교수
<부록 2> 케어복지사 자격취득 관련과목
1. 과목
케어복지사 자격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한 15과목 이상의 케어관련 과목을 취득해야하며 그 중 8과목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1) 필수이수과목(8과목): 사회복지개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케어개론, 케어기술, 기본간호(성인간호,노인간호, 의학일반), 케어실습
2) 선택관련과목(7과목): 노인 장애자 심리, 상담심리(상담기술), 레크리에이션(치료레크리에이션), 응급처치론, 치매노인의 케어, 케이스매니지먼트(사례관리), 장애형태별케어기술, 재활론(재활치료), 물리치료, 동양의학 및 민간요법, 수치료, 작업치료, 가족복지, 가족치료, 가정학개론, 영양 조리, 정신건강(정신보건),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간호, 자원봉사론, 재가복지론,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정책(사회보장), 의료사회사업
단, 명칭이 조금 다르나 내용이 유사한 과목은 해당과목으로 인정한다.
2. 케어복지사 자격증 수여 규정
1) 케어복지사는 1,2 급으로 구분하며 위의 15과목의 학점 이수자(8과목 필수)에게 한국케어복지협회에서 케어복지사자격을 수여한다.
2) 케어복지사 1급: 전문대학 이상에서 위의 15과목 학점 이수자, 케어복지사 2급으로 3년의 케어실무경력자
3) 케어복지사 2급: 공인 양성소에서 300시간 이상 수료자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0.0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