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 배경
2. 조직유형론
Ⅲ. 학교운영위원회의 유형화
1.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 분석
2. 유형 탐색
Ⅳ.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한글97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 배경
2. 조직유형론
Ⅲ. 학교운영위원회의 유형화
1.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 분석
2. 유형 탐색
Ⅳ.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음 학교장의 의사결정권의 공유와 학교운영위원의 참여의 수준을 양 축으로 하여 4개의 학교운영위원회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은 초·중등학교의 경영체제에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것이기에 계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겠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한 유형을 현장과 연관시켜 보는 것이 다음의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교육개혁위원회(1995).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김명수(1997). "학교교육의 구조적 개혁." 한국교육행정학회소식. 제56호.
김성열(1997). "학교교육행정 체제와 조직 발전." 교육행정학연구, 제15권 제1호.
박덕제(1998). "신자유주의 정책의 공정성." 교수신문. 7. 13.
박종렬(1996). "중등학교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평가기준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14권 제2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1998). 교육학대백과사전. 서울 : 도서출판 하우.
Sergiovanni, T. J. & Staratt, R. J.(1993), Supervision (5th ed.), New York: McGraw-Hill, Inc., P.186을 인용한 오은경(1996). "교육개혁의 실현을 위한 변화 방안의 모색 : 단위학교 운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제14권 2호.
양승실(1997). "학교운영위원회 운영현황과 활성화의 길." 새교육, 5월호.
유영옥(1991). 조직형태론. 서울 : 홍익제.
이기우(1998). "교육자치와 학교자치 및 지방교육행정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교육법학회, 교육현실과 교육법적 대응 세미나 보고서.
이창원, 최창현(1997). 새조직론. 서울 : 대영문화사.
이형행(1988). 교육행정-이론적 접근. 서울 : 문음사.
이화진(1998). "학교공동체 의미를 되새기며." 교육개발, 1월호.
임연기(1997). "수요자 중심 교육운영의 의미와 실천적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소식, 제55호.
정태범(1998). 학교교육의 구조의 개혁. 서울 : 양서원.
한국교육개발원(1996). 학교운영위원회 시범운영 평가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신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 1998. 9. 21.
Cameron, K. S.(1984). "The Effectiveness of Ineffectiveness."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6, Staw, B. M. and G. R.
Salancik(ed.). Greenwich, Connecticut : JAI Press.
Hoy, W. K. and Miskel, C. G.(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5th ed.). New York : McGraw-Hill, Inc..
Sergiovanni, T. J.(1994).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 Changing the Metaphor Changes the Theo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0 no.2(May).
Simon Herbert A.(1974), Administrative Behavior(New York : MaCmillian), Hoy, W. K., Miskel, C. G.(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5th ed.). New York : McGraw-Hill, Inc.
Abstract
Study on the Typology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Lim, Jong-Cheol
Though local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 has been operated since 1991, school management has not changed. Then, the school governing body was submitted as a part of a "May 31 Education Reform" for the autonomous manage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t was more than two years since establishing the school governing body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fter that. Thereupon, there are a lot of studying parts on the school governing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ypology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The employed methods were analysis of reference book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In the school governing body, participation of the school governors and empowerment of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are very important components. Separating the components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combination of the two components. If each component is dichotomized, as shown in Figure, then four types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such as Ideal Type(Ⅰ), Principal Leading Type(Ⅱ), School Governors Leading Type(Ⅲ), and Enervating Type(Ⅳ) are presented.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은 초·중등학교의 경영체제에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것이기에 계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겠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한 유형을 현장과 연관시켜 보는 것이 다음의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교육개혁위원회(1995).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김명수(1997). "학교교육의 구조적 개혁." 한국교육행정학회소식. 제56호.
김성열(1997). "학교교육행정 체제와 조직 발전." 교육행정학연구, 제15권 제1호.
박덕제(1998). "신자유주의 정책의 공정성." 교수신문. 7. 13.
박종렬(1996). "중등학교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평가기준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제14권 제2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1998). 교육학대백과사전. 서울 : 도서출판 하우.
Sergiovanni, T. J. & Staratt, R. J.(1993), Supervision (5th ed.), New York: McGraw-Hill, Inc., P.186을 인용한 오은경(1996). "교육개혁의 실현을 위한 변화 방안의 모색 : 단위학교 운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제14권 2호.
양승실(1997). "학교운영위원회 운영현황과 활성화의 길." 새교육, 5월호.
유영옥(1991). 조직형태론. 서울 : 홍익제.
이기우(1998). "교육자치와 학교자치 및 지방교육행정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교육법학회, 교육현실과 교육법적 대응 세미나 보고서.
이창원, 최창현(1997). 새조직론. 서울 : 대영문화사.
이형행(1988). 교육행정-이론적 접근. 서울 : 문음사.
이화진(1998). "학교공동체 의미를 되새기며." 교육개발, 1월호.
임연기(1997). "수요자 중심 교육운영의 의미와 실천적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소식, 제55호.
정태범(1998). 학교교육의 구조의 개혁. 서울 : 양서원.
한국교육개발원(1996). 학교운영위원회 시범운영 평가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신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 1998. 9. 21.
Cameron, K. S.(1984). "The Effectiveness of Ineffectiveness."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6, Staw, B. M. and G. R.
Salancik(ed.). Greenwich, Connecticut : JAI Press.
Hoy, W. K. and Miskel, C. G.(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5th ed.). New York : McGraw-Hill, Inc..
Sergiovanni, T. J.(1994).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 Changing the Metaphor Changes the Theo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0 no.2(May).
Simon Herbert A.(1974), Administrative Behavior(New York : MaCmillian), Hoy, W. K., Miskel, C. G.(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5th ed.). New York : McGraw-Hill, Inc.
Abstract
Study on the Typology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Lim, Jong-Cheol
Though local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 has been operated since 1991, school management has not changed. Then, the school governing body was submitted as a part of a "May 31 Education Reform" for the autonomous manage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t was more than two years since establishing the school governing body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fter that. Thereupon, there are a lot of studying parts on the school governing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ypology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The employed methods were analysis of reference book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In the school governing body, participation of the school governors and empowerment of the principal's decision-making are very important components. Separating the components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combination of the two components. If each component is dichotomized, as shown in Figure, then four types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such as Ideal Type(Ⅰ), Principal Leading Type(Ⅱ), School Governors Leading Type(Ⅲ), and Enervating Type(Ⅳ) are presented.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경영계획과 운영
학교사회사업 운영모형
방과후 학교 운영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중요...
초등학교 5학년의 교육과정 운영계획, 초등학교 5학년의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의 ...
초등학교2학년 교육과정 법적기저와 교육과정 편성운영, 초등학교2학년 중점교육활동, 초등학...
초등학교 3학년의 교육과정운영중점, 초등학교 3학년의 교과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의 재량...
학교조직 운영의 원리를 관료제적 차원에서 논술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고교)의 교육과정 자율운영, 실업계고등학교(실업계고교)의 진로지도(...
[학교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의의,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분류와 특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운영방침...
학교사회복지의 운영모형과 실천전략
투명하고 민주적인 학교 운영을 위한 제도화 방안 검토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