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목차
목차
Ⅰ. 테니스의 개요
Ⅱ. 테니스 단식 경기
Ⅲ. 복식 경기
Ⅳ. 테니스의 혼합복식
Ⅴ. 테니스의 기초기술
Ⅵ. 작전의 개요
....
본문
테니스가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 기원은 대략 지금으로부터 약 600~700년 전 프랑스에서 왕후귀족과 승려들에 의해 성행되었던 라 뽀므(La paum)란 볼 게임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것이 정평이다. 물론 오늘날과 같은 형식의 것은 아니었고 라뽀므를 기원으로 해서 발달, 변천해 오늘날의 테니스가 만들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경기방법은 여러 가지 였지만, 그러나 공통된 점은 볼을 던지는 것이 아니고 때리는 경기였다는 것이다.
Ⅰ. 테니스의 개요
Ⅱ. 테니스 단식 경기
Ⅲ. 복식 경기
Ⅳ. 테니스의 혼합복식
Ⅴ. 테니스의 기초기술
Ⅵ. 작전의 개요
....
본문
테니스가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 기원은 대략 지금으로부터 약 600~700년 전 프랑스에서 왕후귀족과 승려들에 의해 성행되었던 라 뽀므(La paum)란 볼 게임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것이 정평이다. 물론 오늘날과 같은 형식의 것은 아니었고 라뽀므를 기원으로 해서 발달, 변천해 오늘날의 테니스가 만들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경기방법은 여러 가지 였지만, 그러나 공통된 점은 볼을 던지는 것이 아니고 때리는 경기였다는 것이다.
본문내용
ide spin : 라켓과 볼이 닿을 때 라켓을 전방과 몸 쪽으로 끌어 당기면서 스핀을 넣는 것
40. slice : 역회전을 준 타구
41. smash : 머리 위의 높은 볼을 강하게 내려 치는 것
42. snap : 손목의 빠른 운동
43. spin : 볼에 회전을 거는 것을 말하며 톱 스핀, 백 스핀, 사이드 스핀이 있다.
44. stop volley : 네트 바로 가까이에 떨어뜨리는 발리
45. tennis elbow : 테니스를 함으로써 팔꿈치에 받는 상해
46. tie break system : sudden death, long game에 의한 시간 소모를 막기 위해 게임 스코어가 6:6, 또는 8:8 일 때, 12개의 서브를 교대로 넣어 7포인트를 먼저 얻으면 승리하는 것으로 하는 경기 규칙
47. top spin : 볼의 상부에 많은 회전을 주는 타구
48. volley : 볼이 지면에 닿기 전에 치는 타구
49. toss : 서비스 때 볼을 던져 올리는 동작
50. watch : 복식 경기에서 파트너에게 아웃되는 볼이라고 일러주는 경고의 말
Ⅷ. 주심의 역할과 콜 방법
1. 심판 상의 주의 사항
심판은 모든 테니스 규칙에 정통해야 하며 항상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언제나 공정한 판단을 내려야 하며 감정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정확하고 공정한 판정을 내려 시합 운영을 원활히 해야 한다.
콜의 타이밍을 시합 진행에 잘 맞추어야 한다. 예를 들면 서브를 넣고 난 다음에 스코어를 콜한다든가 fault된 지 한참이 지나 콜을 하는 것은 잘못이다.
콜은 선수나 관중이 들을 수 있도록 분명하고 크게 한다.
시합 개시 전 또는 필요에 따라 세트가 끝난 후, 반드시 네트의 높이를 확인해야 한다.
인 또는 아웃을 확인하기 위하여 심판대에서 내려가지 말아야 한다.
시합 전의 연습시간은 별도로 정하지 않는 한 4분이므로 이를 사전에 주지시킬 것. (1분 전에 알려준다)
여자는 Miss, 또는 Mrs의 호칭을 붙이지만 남자의 경우는 Mr.라고 붙이지 않아도 된다.
최초의 2 게임(복식에서는 4게임)은 반드시 서버의 이름을 불러주어 관중이 선수의 이름을 알거 한다.
복식 또는 혼합 복식에서 듀스 후의 어드벤티지의 콜은 서브 측일 때는 서버의 이름을, 리시브 측일 때는 리시버의 이름을 부르고 두 사람의 이름을 다 부르거나 and his partner란 말은 쓰지 않는다.
혼합 복식일 때는 남자의 이름을 먼저 부를 것
서브시 let일 때에는 let, first service라고 부르며 one more, two more 라고 하지는 말 것.
net man이 있을 때에는 net man이 "let"이라고 콜하고 주심이 이를 "let, first service"라고 콜 한다.
네트에 걸린 서브는 fault라고 콜 하지 않는다.
듀스가 반복되어도 "deuce again" 또는 "again deuce"라고 하지 않고 항상 "deuce"라고만 부른다.
듀스 후 첫 포인트를 "advantage sever(또는 receiver)" 라고 부르지 말고 반드시 선수의 이름을 부를 것
주심이 "set point" 또는 "match point"라고 콜 해서는 안 된다.
포인트 스코어는 서버부터 콜 하지만 게임 스코어는 많은 쪽부터 콜한다.
포인트, 게임, 세트 등 모든 스코어의 0 은 러브(love)라고 부르며 "nothing"이라고 부르면 안 된다.
스코어를 잘못 콜 했을 때에는 반드시 "correction" 이라 하고 올바른 스코어를 다시 콜 하도록 한다.
두 번 바운드 된 볼을 쳤다면 그 즉시 "not up" 이라고 빨리 콜을 해야 한다.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해서 잘 알아두고 이 때의 스코어는 one, two, four,...등으로 콜을 해야 한다.
2. 콜의 실례
국제 경기에서의 표준적인 아나운스 방법은
게임을 시작할 때에
"Ladies and gentleman, your attention, please. This is a second-round match in all Korea Lawn tennis championships, men's(or women's) single. On my left (or, in the court nearer the boxes), Mr. A ; on my right (or, in the far court), Mr B. This will be the best of five sets match. Mr. A Serving play."이라고 길게 되어 있지만 간략히 할 때에는,
"This will be the best of five sets match, Mr. A serving play!" 라고 한다. 여기에서 "Play ball"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첫 게임을 A가 이기면
"game to A ; One game to love A leads (in the) first set"이라고 하며 "game (to) A"를 "game won by A"라고 해도 좋다. 단, love 대신 "nothing"이라고 콜 해서는 안 된다.
B가 이겨 게임 스코어가 4:4가 되었을 때
"game (to) B, games are four all(in the first set)" 여기에서 4:4를 "four to four"라고 하지 않는다.
첫 세트를 6:4로 A가 이기면
"game and first set (to) A, six game to four"
2nd 세트가 시작될 때
"B serving second set"
세트 스코어의 콜은
"game and third set (to) A, seven games to five, A leads (by) two sets to one."
휴식 후 재개 할 때
"With Mr. A (or B) leading, two sets to one Mr. B will serve first in the fourth set, play!"
매치 종료 시
"game set and match Mr. A, Score is six games to four, two games to six, seven games to five, and six games to love."
40. slice : 역회전을 준 타구
41. smash : 머리 위의 높은 볼을 강하게 내려 치는 것
42. snap : 손목의 빠른 운동
43. spin : 볼에 회전을 거는 것을 말하며 톱 스핀, 백 스핀, 사이드 스핀이 있다.
44. stop volley : 네트 바로 가까이에 떨어뜨리는 발리
45. tennis elbow : 테니스를 함으로써 팔꿈치에 받는 상해
46. tie break system : sudden death, long game에 의한 시간 소모를 막기 위해 게임 스코어가 6:6, 또는 8:8 일 때, 12개의 서브를 교대로 넣어 7포인트를 먼저 얻으면 승리하는 것으로 하는 경기 규칙
47. top spin : 볼의 상부에 많은 회전을 주는 타구
48. volley : 볼이 지면에 닿기 전에 치는 타구
49. toss : 서비스 때 볼을 던져 올리는 동작
50. watch : 복식 경기에서 파트너에게 아웃되는 볼이라고 일러주는 경고의 말
Ⅷ. 주심의 역할과 콜 방법
1. 심판 상의 주의 사항
심판은 모든 테니스 규칙에 정통해야 하며 항상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언제나 공정한 판단을 내려야 하며 감정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정확하고 공정한 판정을 내려 시합 운영을 원활히 해야 한다.
콜의 타이밍을 시합 진행에 잘 맞추어야 한다. 예를 들면 서브를 넣고 난 다음에 스코어를 콜한다든가 fault된 지 한참이 지나 콜을 하는 것은 잘못이다.
콜은 선수나 관중이 들을 수 있도록 분명하고 크게 한다.
시합 개시 전 또는 필요에 따라 세트가 끝난 후, 반드시 네트의 높이를 확인해야 한다.
인 또는 아웃을 확인하기 위하여 심판대에서 내려가지 말아야 한다.
시합 전의 연습시간은 별도로 정하지 않는 한 4분이므로 이를 사전에 주지시킬 것. (1분 전에 알려준다)
여자는 Miss, 또는 Mrs의 호칭을 붙이지만 남자의 경우는 Mr.라고 붙이지 않아도 된다.
최초의 2 게임(복식에서는 4게임)은 반드시 서버의 이름을 불러주어 관중이 선수의 이름을 알거 한다.
복식 또는 혼합 복식에서 듀스 후의 어드벤티지의 콜은 서브 측일 때는 서버의 이름을, 리시브 측일 때는 리시버의 이름을 부르고 두 사람의 이름을 다 부르거나 and his partner란 말은 쓰지 않는다.
혼합 복식일 때는 남자의 이름을 먼저 부를 것
서브시 let일 때에는 let, first service라고 부르며 one more, two more 라고 하지는 말 것.
net man이 있을 때에는 net man이 "let"이라고 콜하고 주심이 이를 "let, first service"라고 콜 한다.
네트에 걸린 서브는 fault라고 콜 하지 않는다.
듀스가 반복되어도 "deuce again" 또는 "again deuce"라고 하지 않고 항상 "deuce"라고만 부른다.
듀스 후 첫 포인트를 "advantage sever(또는 receiver)" 라고 부르지 말고 반드시 선수의 이름을 부를 것
주심이 "set point" 또는 "match point"라고 콜 해서는 안 된다.
포인트 스코어는 서버부터 콜 하지만 게임 스코어는 많은 쪽부터 콜한다.
포인트, 게임, 세트 등 모든 스코어의 0 은 러브(love)라고 부르며 "nothing"이라고 부르면 안 된다.
스코어를 잘못 콜 했을 때에는 반드시 "correction" 이라 하고 올바른 스코어를 다시 콜 하도록 한다.
두 번 바운드 된 볼을 쳤다면 그 즉시 "not up" 이라고 빨리 콜을 해야 한다.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해서 잘 알아두고 이 때의 스코어는 one, two, four,...등으로 콜을 해야 한다.
2. 콜의 실례
국제 경기에서의 표준적인 아나운스 방법은
게임을 시작할 때에
"Ladies and gentleman, your attention, please. This is a second-round match in all Korea Lawn tennis championships, men's(or women's) single. On my left (or, in the court nearer the boxes), Mr. A ; on my right (or, in the far court), Mr B. This will be the best of five sets match. Mr. A Serving play."이라고 길게 되어 있지만 간략히 할 때에는,
"This will be the best of five sets match, Mr. A serving play!" 라고 한다. 여기에서 "Play ball"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첫 게임을 A가 이기면
"game to A ; One game to love A leads (in the) first set"이라고 하며 "game (to) A"를 "game won by A"라고 해도 좋다. 단, love 대신 "nothing"이라고 콜 해서는 안 된다.
B가 이겨 게임 스코어가 4:4가 되었을 때
"game (to) B, games are four all(in the first set)" 여기에서 4:4를 "four to four"라고 하지 않는다.
첫 세트를 6:4로 A가 이기면
"game and first set (to) A, six game to four"
2nd 세트가 시작될 때
"B serving second set"
세트 스코어의 콜은
"game and third set (to) A, seven games to five, A leads (by) two sets to one."
휴식 후 재개 할 때
"With Mr. A (or B) leading, two sets to one Mr. B will serve first in the fourth set, play!"
매치 종료 시
"game set and match Mr. A, Score is six games to four, two games to six, seven games to five, and six games to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