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배경
1)이동전화 산업의 성장과 핸드폰 사용자들의 엄청난 증가
2)무선인터넷의 보급
3)M-비즈니스의 급속한 발전
Ⅱ. 휴대폰을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유형 및 사례
1)기존의 휴대폰 가입자들에게 휴대폰 외적인 서비스를 제공
2)핸드폰에서 즐길수있는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사례
3)핸드폰을 광고 및 홍보 수단으로 사용 사례
4)핸드폰을 유통에서 활용 사례
5)위치기반 서비스를 바탕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 사례
Ⅲ. 결론
1)이동전화 산업의 성장과 핸드폰 사용자들의 엄청난 증가
2)무선인터넷의 보급
3)M-비즈니스의 급속한 발전
Ⅱ. 휴대폰을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유형 및 사례
1)기존의 휴대폰 가입자들에게 휴대폰 외적인 서비스를 제공
2)핸드폰에서 즐길수있는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사례
3)핸드폰을 광고 및 홍보 수단으로 사용 사례
4)핸드폰을 유통에서 활용 사례
5)위치기반 서비스를 바탕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행사나 그룹 비즈니스 등을 위한 단체 고객의 경우에 특히 가치가 높다. 베네티앙의 경우 무선 체크인의 55%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이처럼 편리함과 비용 면에서 무선 체크인 및 아웃 서비스는 호텔이나 고객에 모두 매력적이다. 따라서 무선 서비스를 채택하는 호텔이 계속 늘어날 것이다.
♠직원과의 커뮤니케이션
무선 체크인은 고객들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게 할만큼 획기적인 것이다. 하지만 무선 시스템의 진면목은 그 이면에 있다. 예를 들어 엠버시호텔의 객실관리 및 유지보수 직원들은 저렴한 양방향 호출기인 모토로라 T9000을 통해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이 장비의 가격은 개당 1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런 소리 없는 커뮤니케이션은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처럼 고객을 방해하지 않으며, 넓은 지역을 사용하는 대형 호텔의 경우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는데 대단히 비용 효과적이다. 배관담당 직원이나 전기수리 직원을 찾아 헤맬 필요 없이 메시지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포레스터의 하테벨트는 "관리 업무의 효율성이 눈에 띄게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몇몇 호텔은 이런 장비에 대한 투자에 대해 오랫동안 선입견을 가져왔다. '고객들이 메시지를 보고싶어 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투자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도 '그리 특이한 생각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호텔들은 무선 시스템에 투자하기 전에 이득을 명확히 가늠 할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장애요소는 일부 직원들이 사용하는데 있어 실수를 할지 모른다는 점이다. 이런 장비는 반드시 사용법이 간단해야 하고, 직원을 별도로 교육시킬 필요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하지만 심볼의 하커는 이런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그는 "직원 교육은 단 몇 분이면 끝난다"며 "이것은 체크리스트와 같은 일종의 휴대용 서류와 같기 때문에 교육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칼슨호텔은 이미 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컴퓨터에 연결해 예약이나 객실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서비스 MACH-1을 직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호텔은 독점적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는 포켓PC를 통해 메인 컴퓨터에 연결, 예약이나 자산 관리 등과 같은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매니저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는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룸서비스에 얼마의 시간이 걸리는지, 객실 요금이 얼마인지 등 관리자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는 무선 장비를 통해 얻어지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칼슨호텔의 CIO인 하인츠만은 "매니저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이 우리가 무선을 채택한 결정적인 이유"라고 밝혔다.
현재는 25명의 임직원이 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연내에 사용자 수를 10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인츠만은 이 시스템의 확산이 그리 빨리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MACH-1을 전반적인 기술 계획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칼슨호텔은 지난 3년간 MIS와 예약 시스템에 200만 달러를 투자했다. 하이츠만은 "MACH-1은 이러한 시스템의 토대에 위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적용확대를 위한 도전
호텔 업계가 무선 시스템의 도입을 늦추는 다른 요인으로 경기 침체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호텔 체인은 수많은 체인점을 두고 있는데, 이 체인점의 경영진이 입증되지 않은 기술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다. 수익성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서기전에는 투자 역시 천천히 이뤄질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러한 장애에도 불구하고 호텔들은 무선 시스템 도입에 계속 나설 것으로 보인다. 포레스터의 하테벨트는 무선 시스템에 대한 호텔 업계의 투자가 올 하반기에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가 증가해 호텔들이 어쩔 수 없이 수용하는 상황이 와야 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기도 하다.
아직 걸음마 수준인 무선 시스템이 침체기를 겪고 있는 호텔 업계에 활력소가 될 것인가. 아이러니하게도 시장의 침체는 오히려 호텔들로 하여금 무선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도록 자극하고 있다. 이에 대해 KPMG 컨설턴트 나르도자는 "호텔에게 고객이란 생명과 같은 것이다. 고객이 원하고 그 고객들을 잡기 위해 호텔들은 계속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Ⅲ. 결론
계속 진행되고 있는 휴대폰 기술의 발전과, 급속히 향상되는 휴대폰의 성능을 고려해 볼때, 휴대폰을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은 계속 연구되고 적용 될 것이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들은 위에서 본 형태 외에도 변형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형태는 역시, 휴대폰 기술과 성능의 제약을 받게 될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의 성능은 계속 향상될 것이며 그에 따른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도 다양해 질 것이며, 앞으로의 전략은 휴대폰 기술과 성능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휴대폰과 함께 모바일 비즈니스의 핵심적인 도구로 급부상하고 있는 PDA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지도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들 도구들이 어떠한 형태로 변하게 될지도 예측이 힘들고, 일부 기업에서는 휴대폰 기능과 PDA기능을 접목시킨 새로운 단말기를 이미 출시한 바 있다.
현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에서 기업들이 풀아야할 과제로서 들수 있는 것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보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이다. 자신의 정보가 새어 나가지나 않을까, 혹은 기존의 해커, 크래커와 마찬가지로 기업이나 고객들의 무선 시스템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들이다. 이를 막기위해서 기업들은 계속 연구를 하고 있으나, 과연 그 보안성이 완벽할 지는 의문이다.
나머지 하나는 사생활의 침해이다. 특히 휴대폰은 24시간 대기 상태로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 보내오는 광고가 100% 전달되는 장점이 있으나, 이 장점이 역설적으로 사생활의 침해라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스팸메일과는 다른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직원과의 커뮤니케이션
무선 체크인은 고객들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게 할만큼 획기적인 것이다. 하지만 무선 시스템의 진면목은 그 이면에 있다. 예를 들어 엠버시호텔의 객실관리 및 유지보수 직원들은 저렴한 양방향 호출기인 모토로라 T9000을 통해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이 장비의 가격은 개당 1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런 소리 없는 커뮤니케이션은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처럼 고객을 방해하지 않으며, 넓은 지역을 사용하는 대형 호텔의 경우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는데 대단히 비용 효과적이다. 배관담당 직원이나 전기수리 직원을 찾아 헤맬 필요 없이 메시지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포레스터의 하테벨트는 "관리 업무의 효율성이 눈에 띄게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몇몇 호텔은 이런 장비에 대한 투자에 대해 오랫동안 선입견을 가져왔다. '고객들이 메시지를 보고싶어 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투자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도 '그리 특이한 생각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호텔들은 무선 시스템에 투자하기 전에 이득을 명확히 가늠 할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장애요소는 일부 직원들이 사용하는데 있어 실수를 할지 모른다는 점이다. 이런 장비는 반드시 사용법이 간단해야 하고, 직원을 별도로 교육시킬 필요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하지만 심볼의 하커는 이런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그는 "직원 교육은 단 몇 분이면 끝난다"며 "이것은 체크리스트와 같은 일종의 휴대용 서류와 같기 때문에 교육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칼슨호텔은 이미 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컴퓨터에 연결해 예약이나 객실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서비스 MACH-1을 직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호텔은 독점적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는 포켓PC를 통해 메인 컴퓨터에 연결, 예약이나 자산 관리 등과 같은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매니저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는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룸서비스에 얼마의 시간이 걸리는지, 객실 요금이 얼마인지 등 관리자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는 무선 장비를 통해 얻어지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칼슨호텔의 CIO인 하인츠만은 "매니저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이 우리가 무선을 채택한 결정적인 이유"라고 밝혔다.
현재는 25명의 임직원이 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연내에 사용자 수를 10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인츠만은 이 시스템의 확산이 그리 빨리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MACH-1을 전반적인 기술 계획의 한 부분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칼슨호텔은 지난 3년간 MIS와 예약 시스템에 200만 달러를 투자했다. 하이츠만은 "MACH-1은 이러한 시스템의 토대에 위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적용확대를 위한 도전
호텔 업계가 무선 시스템의 도입을 늦추는 다른 요인으로 경기 침체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호텔 체인은 수많은 체인점을 두고 있는데, 이 체인점의 경영진이 입증되지 않은 기술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다. 수익성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서기전에는 투자 역시 천천히 이뤄질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러한 장애에도 불구하고 호텔들은 무선 시스템 도입에 계속 나설 것으로 보인다. 포레스터의 하테벨트는 무선 시스템에 대한 호텔 업계의 투자가 올 하반기에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가 증가해 호텔들이 어쩔 수 없이 수용하는 상황이 와야 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기도 하다.
아직 걸음마 수준인 무선 시스템이 침체기를 겪고 있는 호텔 업계에 활력소가 될 것인가. 아이러니하게도 시장의 침체는 오히려 호텔들로 하여금 무선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도록 자극하고 있다. 이에 대해 KPMG 컨설턴트 나르도자는 "호텔에게 고객이란 생명과 같은 것이다. 고객이 원하고 그 고객들을 잡기 위해 호텔들은 계속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Ⅲ. 결론
계속 진행되고 있는 휴대폰 기술의 발전과, 급속히 향상되는 휴대폰의 성능을 고려해 볼때, 휴대폰을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은 계속 연구되고 적용 될 것이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략들은 위에서 본 형태 외에도 변형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형태는 역시, 휴대폰 기술과 성능의 제약을 받게 될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의 성능은 계속 향상될 것이며 그에 따른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도 다양해 질 것이며, 앞으로의 전략은 휴대폰 기술과 성능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휴대폰과 함께 모바일 비즈니스의 핵심적인 도구로 급부상하고 있는 PDA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지도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들 도구들이 어떠한 형태로 변하게 될지도 예측이 힘들고, 일부 기업에서는 휴대폰 기능과 PDA기능을 접목시킨 새로운 단말기를 이미 출시한 바 있다.
현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에서 기업들이 풀아야할 과제로서 들수 있는 것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보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이다. 자신의 정보가 새어 나가지나 않을까, 혹은 기존의 해커, 크래커와 마찬가지로 기업이나 고객들의 무선 시스템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들이다. 이를 막기위해서 기업들은 계속 연구를 하고 있으나, 과연 그 보안성이 완벽할 지는 의문이다.
나머지 하나는 사생활의 침해이다. 특히 휴대폰은 24시간 대기 상태로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 보내오는 광고가 100% 전달되는 장점이 있으나, 이 장점이 역설적으로 사생활의 침해라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스팸메일과는 다른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