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의 한문학 (동문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조선전기의 한문학에 관한 인식
--고려와 조선의 차이

2.동문선에 관한 평가
--최치원에 관한 평가

본문내용

의 견해는 문학이 추구하는 목표의 중요한 부문이다. 조선조의 개국을 문학으로 뒷받침한다는 의지의 발로이다. 문학을 통한 治敎와 世敎의 구현은 조선의 우문정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민족고유의 것과 외래의 장르를 종합하여 민족문학으로 정립시킨 성종대에 이룩된 업적은 칭송되어야 한다. 성종은 한문학 장르에 근거한 민족문학에만 관심을 가진 것이 아니라 민족 고유의 가곡과 악무에도 유의했다. [악학궤범]과 [동문선]은 국어표기 국문학과 한자표기 국문학을 종합 정리한 귀중한 저술이다. 성종대에 이르러 명실상부한 朝鮮文學이 확립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동문선]과[속동문선]은 조선전기 민족문학을 정리하는 중요한 저술이라 할 수 있다. 이 두저술로 말미암아 중원과 대등한 자리에 어깨를 부비며 횡행할 조선문학의 입지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동문선]은 2000년의 시간을 포괄하면서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를 지나 조선에까지 이르고 있다고 자긍했다. [속동문선]은 삼국시대보다 고려시대가 고려보다 조선의 문학이 훌륭하다는 발전론에 근거하여 삼국시대, 고려시대의 문학을 높이 평가한 사실에 주목할만 하며 이는 오늘의 지식인들에게 경종이라 할 수 있다. [동문선]의 서문을 쓴 서거정과 [속동문선]의 서문을 쓴 김전의 견해는 당대 지식인의 문학적 긍지를 대변했다 할 수 있으며, 서거정은 우리의 조선문학이 중화의 문학과 대등하다고 말했다. 김전 역시 동방의 문학을 중국문학의 종속적인 것으로 보지 않았다. 이러한 자긍심은 고려시대 역시 마찬가지 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민족적 자긍심에 있어 고려가 조선보다 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키워드

한문학,   조선전기,   인식,   차이,   평가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