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도입
Ⅱ. 인간의 타락
1. 원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
1) 인류가 처한 악
2) 원죄의 유전성
2. 구원의 범위
1) 용서받을 수 있는 죄
2)용서 받을 수 없는 죄
3. 타락으로 인한 결과
1) 웨슬리가 말하는 죄의 의미
2) 죄로부터의 자유
Ⅲ. 결론
참고문헌
Ⅰ. 도입
Ⅱ. 인간의 타락
1. 원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
1) 인류가 처한 악
2) 원죄의 유전성
2. 구원의 범위
1) 용서받을 수 있는 죄
2)용서 받을 수 없는 죄
3. 타락으로 인한 결과
1) 웨슬리가 말하는 죄의 의미
2) 죄로부터의 자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화되고, 그 변화의 성장 과정 중에서 보다 높은 혹은 깊은 또 한번의 은총의 경험을 통하여 온전한 그리스도인의 단계, 즉 그리스도인의 완전(Christian Perfection)에 이른다.'라고 하였다.
조종남, 『요한웨슬리의 신학』,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84), p.135-136.
위에서 얘기 했듯이 우리의 원죄가 예수그리스도의 이 땅에 오심과 십자가 사건으로 인해 모두 소멸 되었을 때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시 발전 시켜 나아갈 수 있었다. 이는 곧 구원과 결부 된다는 소리인데 구원에 대해서도 잠간 살펴보면, 구원의 삼대 요소엔 하나님께서 나오는 은혜와 자비와 그리스도의 피의 보상과 인간의 참 신앙이 있다.
Ⅲ. 결론
우리는 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과 그에 따른 원인으로부터 타락한 인간이, 결국 영원한 죄에 빠져서 헤어 나올 수 없는 것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원죄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계승되어 오는 것은 무엇 때문인지도 서두부분에서 잠간 얘기하고 이를 연구했다.
원죄는 아담과 하나님과의 첫 번째 언약에서 나온 결과인데 그로인해 우리 인간은 죄로 인해 타락하기 시작하고 결국은 영원한 죽음을 맛 볼 수밖에 없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하나님의 외아들 독생자 예수그리스도의 보내심으로 인해 십자가 부활 사건이 발생되고 그것의 결과가 바로 우리에게 주어진 영원한 형벌인 원죄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이다. 하지만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으로부터 원죄가 해결되었다고 해도 영원히 죄짓지 않고 천국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을 아직도 사랑하시고 기대하신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회개하면 이 땅에서의 또 다른 수많은 죄들을 용서 해주신 다고 했다. 한 가지 용서 받지 못하는 죄가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사역에 훼방하는 것이요, 성령님의 이름을 모독하면 이 같은 결과가 주어진다.
이러한 자비의 하나님으로부터 우리는 죄에서부터 영원히 자유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며, 이것에 대해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신앙생활 해야 하겠다. 웨슬리는 "만약 우리가 죄의 용서를 받는다면, 그리고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인정된다면, 그것은 우리가 그런 은총을 받을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믿음으로 가능한 것이다.
한영태, 『웨슬레의 조직신학』, (서울:성광문화사,1996), p. 13.
참 고 문 헌
<번역서>
찰스 W. 카터역음. 「현대웨슬리신학」, 김영선 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6.
T.오토 놀. 「웨슬레의신앙」, 라사행 역, 서울 : 보이스사 1985.
<한서>
조종남, 「요한웨슬리의 신학」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한영태. 「웨슬레의 조직신학」 서울 : 성광 문화사, 1996.
조종남. 「요한웨슬레 설교선집」 서울 : 서로사랑, 1998
이성주. 「웨슬리神學」 서울 : 문서선교성지원, 2001.
목 차
Ⅰ. 도입 --------------------- 1
Ⅱ. 인간의 타락 ---------------- 1
1. 원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 --------- 1
1) 인류가 처한 악 --------------- 1
2) 원죄의 유전성 --------------- 2
2. 구원의 범위 ----------------- 2
1) 용서받을 수 있는 죄 ----------- 2
2)용서 받을 수 없는 죄 ----------- 3
3. 타락으로 인한 결과 ------------ 4
1) 웨슬리가 말하는 죄의 의미 -------- 4
2) 죄로부터의 자유 -------------- 4
Ⅲ. 결론 -------------------- 5
참고문헌 -------------------- 7
조종남, 『요한웨슬리의 신학』,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84), p.135-136.
위에서 얘기 했듯이 우리의 원죄가 예수그리스도의 이 땅에 오심과 십자가 사건으로 인해 모두 소멸 되었을 때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시 발전 시켜 나아갈 수 있었다. 이는 곧 구원과 결부 된다는 소리인데 구원에 대해서도 잠간 살펴보면, 구원의 삼대 요소엔 하나님께서 나오는 은혜와 자비와 그리스도의 피의 보상과 인간의 참 신앙이 있다.
Ⅲ. 결론
우리는 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과 그에 따른 원인으로부터 타락한 인간이, 결국 영원한 죄에 빠져서 헤어 나올 수 없는 것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원죄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계승되어 오는 것은 무엇 때문인지도 서두부분에서 잠간 얘기하고 이를 연구했다.
원죄는 아담과 하나님과의 첫 번째 언약에서 나온 결과인데 그로인해 우리 인간은 죄로 인해 타락하기 시작하고 결국은 영원한 죽음을 맛 볼 수밖에 없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하나님의 외아들 독생자 예수그리스도의 보내심으로 인해 십자가 부활 사건이 발생되고 그것의 결과가 바로 우리에게 주어진 영원한 형벌인 원죄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이다. 하지만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으로부터 원죄가 해결되었다고 해도 영원히 죄짓지 않고 천국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을 아직도 사랑하시고 기대하신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회개하면 이 땅에서의 또 다른 수많은 죄들을 용서 해주신 다고 했다. 한 가지 용서 받지 못하는 죄가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사역에 훼방하는 것이요, 성령님의 이름을 모독하면 이 같은 결과가 주어진다.
이러한 자비의 하나님으로부터 우리는 죄에서부터 영원히 자유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며, 이것에 대해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신앙생활 해야 하겠다. 웨슬리는 "만약 우리가 죄의 용서를 받는다면, 그리고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인정된다면, 그것은 우리가 그런 은총을 받을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단지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믿음으로 가능한 것이다.
한영태, 『웨슬레의 조직신학』, (서울:성광문화사,1996), p. 13.
참 고 문 헌
<번역서>
찰스 W. 카터역음. 「현대웨슬리신학」, 김영선 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6.
T.오토 놀. 「웨슬레의신앙」, 라사행 역, 서울 : 보이스사 1985.
<한서>
조종남, 「요한웨슬리의 신학」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한영태. 「웨슬레의 조직신학」 서울 : 성광 문화사, 1996.
조종남. 「요한웨슬레 설교선집」 서울 : 서로사랑, 1998
이성주. 「웨슬리神學」 서울 : 문서선교성지원, 2001.
목 차
Ⅰ. 도입 --------------------- 1
Ⅱ. 인간의 타락 ---------------- 1
1. 원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 --------- 1
1) 인류가 처한 악 --------------- 1
2) 원죄의 유전성 --------------- 2
2. 구원의 범위 ----------------- 2
1) 용서받을 수 있는 죄 ----------- 2
2)용서 받을 수 없는 죄 ----------- 3
3. 타락으로 인한 결과 ------------ 4
1) 웨슬리가 말하는 죄의 의미 -------- 4
2) 죄로부터의 자유 -------------- 4
Ⅲ. 결론 -------------------- 5
참고문헌 -------------------- 7
키워드
추천자료
사기의죄와 공갈의죄
형법각론 핵심요약노트(살인의 죄부터 약취와유인의 죄까지)
성경적(성서적) 리더십(리더쉽), 생명 성경적(성서적) 이해, 독서치료 성경적(성서적) 근거, ...
성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 이념과 배경, 성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 인간론과 수학적 예...
[성경][성서][그리스도][심판][주님][과정신학]성경(성서)의 지질학, 성경(성서)의 토지법, ...
니체의 철학 (허무주의, 영원회귀, 초인, 윤리, 양심, 금욕주의, 도덕의 계보, 죄의식)
[서평/독후감] 어느 지식인의 범죄동기를 찾아서 - 도스토예프스키(도스토옙스키/Dostoevskii...
[요약, 분석] <복음주의 조직신학> (중) - 제5부 인간, 제6부 죄, 제7부 그리스도의 인격, 제...
변증학발표-이슬람,이슬람의 신관,알라의 거룩성과 도덕성,알라의 사랑과 용서,꾸란의 특징 ...
성범죄의 현황과 문제점(성범죄유형, 성범죄자, 아동성범죄, 사이버성범죄, 직장내성범죄, 성...
[기독교상담 독서보고서] 『상담론』 [요약 및 서평] 존 맥아더 (John MacArthur) 저 {성경적...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5장 5-10절] 이웃에 대한 죄의 해결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25장 1-5절] 성도들이 늘 직면하게 되는 죄의 유혹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9장 20-22절] 반드시 회개해야 하는 죄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