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이 사용한 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A. 바울의 윤리적 배경
1. 바울이 사용한 윤리 중심 개념
2. 유대적 배경과 구역
3. 헬라 사상과 신약
4. 역사적 예수의 교훈

B. 바울의 윤리의 신학적 토대
1. 기 독 론
2. 바울의 율법관
3. 직설법과 명령법의 관계성

C. 결 론

본문내용

것을 보며 동시에 그리스도인들은 새로운 율법 즉 '그리스도의 법(갈6:2)'(명령법)와 '성령의 법(롬8:2)';(직설법)를 볼 수 있다.
바울에게 있어서 존재(직설법)와 행위(명령법)는 그리스도안에서 하나님에 의해서 의롭게 된 사람이 가지는 하나의 통일체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한편으로 믿음의 공동체 안에 있는 구원의 현실을 선포한다. 그런가 하면, 행동도 역시 구원의 현실의 일부이다. 바울에게 있어서 구원은 총체적인 인간에 관련된 것이었으므로, 세상에 대한 사명도 또한 정신적일 뿐만 아니라 물질적이고, 타인들의 총체적 자아에 영향을 주는 모든 섬기는 일에 관련된 것이다.
그래서 존재(구원)가 바울의 선포의 핵심이면서 동시에 바울은 기독교인들이 쇠하지 않는 사랑을 증명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은 인간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며 화해하고 통일되는 창조의 심오한 내용을 의미한다. 구원받는 하나님의 자녀의 신분을 가지는 그리스도인은 사랑을 통하여 그리스도와 인간을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인의 윤리의 업무는 자유를 보존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두려움 속에서, 절망 속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쁨과 즐거움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C. 결 론
바울에게 있어서 윤리는 하나님의 행위를 보충하거나 완성하는 인간의 반응이 아니다. 오히려 그리스도인의 행위는 하나님의 행위를 통해서 근거되어지고 움직이다. 그래서 바울의 전체적인 윤리는 종말 윤리(Telos-Ethik), 성령 윤리 (Tneuma-Ethik), 성례전 윤리(Sacraments-Ethik)로 묘사된다.
또 바울의 윤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 속에서 잉태되어, 십자가의 복음 속에 담겨 복음과 함께 선포되어진 그래서 복음과 분리되어서는 그 의미를 상실하는 「복음으로서의 윤리」이다. 그의 윤리적 진술들은 철저히 그리스도 중심적이고 종말론적이다.
참 고 문 헌
◎ 신약총론, 성종현, 장로회신학대학출판사
◎ 신약성서신학, 전경연외 4인
◎ 신약성서신학, 박창환외역, 한국신학연구소. 1982
◎ 신약성서신학, 박창건역, 성광문화사. 1985
◎ 바울의 기독론, 전경연역, 한신대출판부. 1986
◎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바울의 윤리원칙, 이준원, 한신대학원
◎ 신약성서의 윤리, 전경연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 바울의 신학과 윤리, V.P 퍼니쉬
◎ 최근 바울해석의 신학적 제문제, P. 스툴마허, 한국신학연구소 신학사상10집

키워드

바울,   윤리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