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증언 - E.케제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그리스도의 영광

2. 말씀아래 있는 공동체

3. 그리스도인의 하나됨

결론

본문내용

전이 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요한은 종말론의 의미를 강조 하였지만 교회론과 만남으로써 결국 종말론 본연의 희망을 강조하려는 것이 아닌가 ? 하는 것이다.
결론
케제만은 요한이 요한 공동체의 향연으로의 초대장으로 요한복음을 집필 하엿으며, 향연의 목적에 거추장 스러운것은 과감히 삭제 하엿고 또한 필요 하다 하더라도 향연의 성격에 맞지않는 것은 대폭 손질하엿다는 것을 강조 하고있다.
여기에 대하여 우리는 매우 새로운 관점으로 더욱 연구를 하여야 할것이다. 하짐 중요한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은 그러한 상황신학에 필요성에서 기독론을 희생시키지 않앗으며, 종말론의 미래적 궁극적인 희망을 변형시키지 않앗다는 것이다.(요 17장, 요 21장) 또한 향연에로의 초대에 필요한 결단을 강조하면서도,그의 반대되는 거추장 스러운 물건들(전승에 근거는 정통교리 진술)들을 버리지 않앗다는 것이다..
요한은 종말론은 의미 새로게 봄으로써 심판의 긴장을 현재로 이동 시켯으며, 이원론적인 창을 통하여 교회론에새로운 장을 열엇다고 할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요한의 입장은 우리시대에 다시금 재 해석 되어야 하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세계 여러 교회들에게 귀감이 되어야 할것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